포럼 공통

    · 포럼 공통게시판으로서 낚싯대 추천, 비교 등의 정보가 제공되는 곳입니다.

    [정보/팁] 낚시점 마다 낚시대 가격이 다른이유.

    만능글루텐 / 2016-06-27 09:59 / Hit : 13556 본문+댓글추천 : 0

    모르는 분들이 있기에 오랜만에 글을 씁니다.
    정확하게 알고있는 팩트이며, 테클은 사양 합니다.

    낚시대 조구회사 소비자가 00만원짜리 낚시대를 만들었습니다.


    1. 유통업자(싸게 받기위해 조구업체에 10억을 몰아 넣었습니다.)
    50% 마진율로 받았습니다.


    2. 거래를 오래 해온 대형 유명낚시점(보통 1~5억을 조구업체에 몰아 넣고 물건 받습니다)
    45% 마진율로 물건을 받았습니다.


    3. 일반 낚시점 ( 그나마 돈이 많아서 한번에 대량으로 주문합니다)
    40% 마진율로 물건을 받았습니다.

    4. 일반 낚시점( 돈도 없고, 이제 시작했습니다)
    35% 마진율로 물건을 받았습니다.

    정확한 %가 아니며, 더 높은 %마진율도 있고, 그렇지 않은것도 있습니다.
    비슷 비슷 합니다. ㅎ 예를 들은겁니다.
    70%짜리도 있고 그렇습니다.

    이런 조건이면, 3~4번의 낚시점은 물건을 팔수가 없습니다.
    조구업체의 차별 때문에 소규모 낚시점은 호객님 아니면 물건을 팔수가 없죠.
    조구 업체에선 몇% 이상 할인해주면 테클을 건다고 하며, 물건을 안준다고 합니다.
    그래도 전부 싸게 파는게 현실입니다. 먹고 살려니...

    그러나 보통 40% 이상 해주는곳이 많으므로 3,4번 낚시점은 그냥 망해야됩니다.
    그러나... 소규모 업체들의 방법은 1번 유통업자에게 45% 마진율로 받습니다.

    그래서 2번 대규모 유명 낚시점과 같은 마진율로 받아서 비슷하게 팔수가 있습니다.
    팔아 먹으려면 1번 유통업자의 갑질에도 어쩔수없이 불필요한 물건도 받아야됩니다.


    어쨋거나 3~4번의 소규모 낚시점은 힘듭니다.


    이와 같이 조구업체의 차별에 의해 물건도 못파는 낚시점이 상당합니다.
    할인 많이 해주는 낚시점에서 낚시대 1대 팔아서 남기는돈이 2천원~5천원사이 입니다.
    안남기고 주는경우도 있죠. 10대 세트로 팔아서 6천원남기는 경우도 있구요.
    그래도 팔아야 조금이라도 남기고 먹고 사니깐요 ㅎㅎ
    그런데서 2천원 남기는데.. 찌하나 서비스로 달라고...
    찌 하나 팔면 2천원보다 더남기는데 ㅎㅎ 그런분들 참 많더군요.


    아무튼 대부분의 조구업체 유통구조가 유사합니다.
    낚시대 원가가 대부분이 소비자가격의 50%가 안됩니다.
    이정도만 알면, 낚시 처음시작해도,
    소비자가 적혀있는 원가 다 주고 사는분은 없으리라 생각 합니다.

    조구관련 유통도 차별이 없어졌으면 좋겠네요.
    그럼 올바른 소비패턴이 나오겠죠.
    전부다 가격이 같으니, 살고있는 지역에서 가까운 낚시점에서 그냥 구입하면되니....
    그래야 지역경제도 0.000001%라도 발전하는데..ㅎㅎㅎ


    올해는 대낚시 휴식하고, 가끔 루어낚시 다니고
    운동하느라 자전거 열심히 타느라 월척 사이트도 안들어왓네요.

    취미는 취미일뿐이라는 생각으로 적당한선을 유지하며 즐기는 취미를 만들기 바랍니다 ㅎ
    즐낚하세요~

    딱조아 16-06-27 10:52
    일리있는 글입니다
    붕어ㄴrㄹr 16-06-27 11:39
    정답입니다 ᆞ낚시점 끼리도 가격단합하고 비공식적으로 현금가문의로 좀더할인해주고ᆢᆢ
    登龍門 16-06-27 11:53
    잘보고갑니다
    항상안출하세요
    天地不仁 16-06-27 11:54
    낚시대 원가얼마나 할까요?? 솔찍히 거품이 너무 많아요
    제이킥 16-06-27 12:32
    가격담합하면 과연 싸 질까요?지금 경쟁을하니 싼거지 다 똑같은 정찰제로 팔면 장사꾼들 주머니만 두둑해질뿐 소비자는 봉이 될뿐입니다.그래서 법적으로도 가격담합은 금지되어있습니다.
    삼각붕어 16-06-27 12:37
    낚시대60%거품 일거라고 생각하는 1인 입니다
    출시하자마자30.40%하고 조금지나면 더 내려가고
    우리는 봉입니다
    허구언날월척 16-06-27 12:58
    거품 70프로는 되안을 까요?
    심군 16-06-27 18:55
    낚시대뿐만 아니라 자동차 타이어도 같은구조더군요 타이어를 10억 씩 사더군요
    부처핸섬 16-06-28 21:53
    겨울비수기때 공장방문 현찰박치기로
    차떼기로 떼와 먹고사는데돚있으며
    모조구사 스텝하시는분중 낚싯방 겸업하시는분들이
    물건거의젤싸게 떼올겁니다
    그리고 낚시방돌면서 포터에 낚싯대나소품류
    대주시는분도계신데 그분도 할인율 ㅎㄷㄷ하구요
    이쁜붕어붕어 16-06-29 09:49
    제가보는 관점도 낚수대 거품이 많다는건 예전부터 알앗죠 70프로 거품도 있긴 할듯합니다 65프로까지 세일하는거 보믄 그이상도 가능할듯...
    강냉이ABC 16-06-29 11:23
    맞습니다. 추천합니다.
    꼴통메신져 16-06-29 11:24
    다맞는 말씀들이시지만 안남기거나 몇천원 남기고 파는곳은없습니다...
    꿈꾸는제국 16-06-29 12:49
    낚시용품 만 그런거 아닙니다.
    공장출고가가 사오십프로면 이상할것도
    없는거 같은데요.
    아이스크림 같은경우는
    공장출고가가 아니라 슈퍼에 들어가는 가격이
    이삼십프로 정도에 지원금도 주는경우도
    있습니다.
    서산낚시꾼 16-06-29 12:53
    낚시점에서 현금 .카드 결제시 가격이 차이나 현금주고 현금영수증 을 요구하면 가격이 달라 항상 의구심을 가져왔으나 오 늘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강마을 16-06-29 13:14
    아! 그렇구나. 윗 글을 읽고나니까 머리속에서 뭔가 정리가 되는듯한 느낌입니다.
    케미보면 16-06-29 15:31
    어떠한 재품을 사더라도 일단 인터넷으로 최저가격조회 싸이트몇군데 들어가서 시장조사 하구 낚시방가서 눈으로 보고 구입했습니다.

    그래도 호구가 되더군요 ㅋㅋㅋㅋ

    머~ 어떤 한 물건이든 다 똑같죠 최대한 싸게 구입위해서

    조회해서 대충 가격알고 현금가로 구입이 젤 착한구입하는것 같더라구용

    좋은정보 감사합니다...근데 4~50% 마진 겁나 마니 남는장사네요 ㅠㅠ

    잘보고갑니다.
    행복한 하루 되세요!
    얼쑤 16-06-29 17:54
    우리나라 유통 구조가 그의 다 이렇습니다. 정리 잘 해 주셨네요.
    하드락 16-06-29 18:14
    지금 만지고계신 핸드폰

    지금 타고계신 자동차 타이어

    비슷한 경우입니다

    핸드폰은 어느정도 정부에서 참견하여

    싫든좋든 정리가 되었죠

    아시는 분은 다 아시는 내용 입니다만

    타이어도 인터넷으로 구매하면 엄청 저렴 합니다

    동네에 타이어 신발보다 싼집. . .

    3+1 3짝사면 4짝드림 등등 많죠??

    조금 발전된 도시 가면 타이어전문점 3개 4개 몰려있지요??

    그거 전부 한사람 것일겁니다 동네가격 단합이지요

    타이어는 유통기한이 있는 제품입니다

    찍어내고 그 기간 지나면 폐기 해야하지요

    그렇다고 주문받고 찍어낼수도 없지요

    낚시대 하고 비슷하게 누군가 한방에 사와서

    유통시킵니다 그러다가 유통기한 가까이 오면

    인터넷 등을 통하여 싸게 유통 합니다

    여러분 타이어 교체 할때 유통기한 살피고 교체 하시나요??

    저는 동네 카센타로 인터넷 주문해서 공임비 드리고 교체합니다
    무인도낚시 16-06-29 18:32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귀촌붕어 16-06-29 18:37
    에구
    하나 갓이 거시기 한 놈들이 하는짓이란
    삼선 16-06-29 20:25
    짝짝짝~~~
    잡아보이머하노 16-06-29 21:44
    공감도 되고 합리화의 느낌도 드는 글이네요.

    분란이 일까 뭐라 더할 수는 없습니다만...
    붕어의달인4207 16-06-30 00:45
    낚시조구사만 그런게아니고 기업 전체 우리나라 유통구조가
    잘못된거지요 박카스1병 원가는50원도 안된다던데 이런걸보면 문제가 심각한거죠.
    60붕어 16-06-30 06:25
    항상낚시대원가가 얼마일까 생각하면서 낚시대 구입하고는 하는대 정말 궁금하네요
    성북동다방구 16-06-30 11:33
    우리나라에서 판매되는 공산품의 원가율이 30%정도가 되면 상당히 착한 축에 속합니다...
    판매대행 업체(온라인, 홈쇼핑, 소셜 등등...)가 가져가는 마진이 아주 적게는 10%... 많게는 45%정도를 가져갑니다.
    거기에다 공산품 A/S는 판매대행 업체에서 하는 것이 아니라, 제조사가 하기 때문에 그런 기타비용까지 생각하면 낚싯대의 거품... 있을지언정 폭리는 아니라고 생각하고 구매하고 있습니다...
    체체블 16-06-30 13:02
    흠,.
    대물조행 16-06-30 20:05
    조구업체만이 문제가 아니라
    모든 품목 그리고 대다수 유통업체의 문제이지요
    우리나라 그리고 대다수 자본주의 국가의 현실입니다
    현찰많으면 월말, 분기말, 년말에 덤핑물건 무지 싸게 받습니다 제조품목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지만 물론 차떼기로...
    비르투오스 16-07-01 10:20
    본문과 조금 다르지만 몇자 적습니다.
    시골서 부모님 농사짓는데 가을걷이 할떄쯤이면 정말 속상해 죽어요..
    양파 마늘 부츠 복숭아 감자 고구마 등등
    그나마 돈되는 건 고추입니다.
    왜 그럴까요? 고추는 다이렉트로 판매가됩니다.
    재배자가 소비자에게 바로 갈수있죠...
    그 왜 농산물은.......그나마 아는 지인분이 과일가게해서 몇 박스식 넘기기는 하나
    한계가 있고..........결국은 약광을 갑니다....복숭아 한박스에 만2천원에 가져가서 근처 도로가 좌판 피는 분들이
    팔때는 3만원이 넘어가죠....ㅎㅎ
    누굴 욕하기 보다는 재배자들의 피땀흘린 노고도 좀 알아봐줬음 합니다.
    암튼, 울나라 유통과정은 정말 큰 문제입니다.
    그래서 전북에서 나온게 로?푸드입니다.
    재배자와 소비자의 다이렉트 거래죠.......
    근데 초심을 많이 잃었나.....가격이 갈수록 후덜덜 해지더군요.
    그래도 정부자금도 좀 들어갔을텐데....................
    소리하늘 16-07-01 17:00
    한때는 낚시가계 한번 개업 해볼려고 생각 많이 했는데.... 생각만 해야겠군요 ㅎ
    가을의기도 16-07-01 20:31
    요번 천류사태 때
    장군낚시 사장님이 했던 말의 일부와 천류 대표님이 부정했던 비수기 선입금 부분이
    단번에 설명이 되는.....



    2024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