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럼 공통

    · 포럼 공통게시판으로서 낚싯대 추천, 비교 등의 정보가 제공되는 곳입니다.

    [질문/답변] 대물낚시대 구입시 강도를 아십니까?

    대구동생 / 2009-09-07 17:44 / Hit : 4403 본문+댓글추천 : 0

    혹시 쓰시고 계시는 낚시대 강도를 아시는지요?

    전 개인적으로 강도를 정확히 알고 구입하는 조사님이 대물꾼이라 칭하고 인정하고 싶습니다.

    오늘 실험해보십시요~ 2.0칸으로 1.5리터 콜라나 생수통들어 보셨나요?
    [이 게시물은 운영자님에 의해 2009-09-07 19:34:10 대물낚시에서 이동 되었습니다]

    까망붕어 09-09-07 17:52
    가지고 계신 제품이 몇가지인지는 모르나
    물통이나 기타물건을 들어 올리는것은 의미 없는 강도 테스트 입니다
    그것은 휨새의 정도만 가늠할수 있습니다
    찌의미학 09-09-07 18:00
    2칸으로 1.5들고 싶어도 혹시나 두려워 못들어 보겠습니다,,ㅜㅜ부러지면,,,,a/s가 무서버서.....
    별사랑 09-09-07 18:10
    말씀하신 것은 낚시대 강도 측정하는 방법이 아니라...

    까망붕어님의 말씀처럼 낚시대 휨새 측정 방법일 뿐입니다...

    낚시대 세우는 각도에 따라 더한 것도 들 수도 있고 못들 수도 있습니다...
    가을기러기 09-09-07 18:11
    ㅎ ㅎ 전 1.8칸으로 2KG 들어 봤슴니다.

    멀쩡하게 버텨주는게 기분 짱입니다
    대구동생 09-09-07 18:34
    테이블위에 서서 바닥에 물통놓고 지긋이 들어올립니다.
    휨세는 90도로 꺽여 들어가는데 상상을 초월합니다. 무게도 상당해서 있는 힘껏 들었던 기억이 납니다.
    고기걸어서 당기는 힘하고는 상당히 차이가 난다는걸 증명했습니다.

    의미없는 강도테스트라는 말은 이해를 못하겠습니다.
    제가알고 싶은 강도테스트는 의미는 부러지는 한계점을 알려는 것이지
    휨세테스트를 하기위함은 아니였으니까요~
    소쩍새우는밤 09-09-07 19:09
    낚싯대의 부러짐은 휨새탄력의 한계점(순간)에서 나타나므로
    물병을 매달고 천천히 들어올리면 휨의 최고치(더 휨이없음)에서 들리거나 작살나거나 하겠지요.
    낚시하다 밑걸림 생겼을 때 뒤도 제끼면 원줄이나 채비가 끊어지지 않으면 대가 부러지는것과 마찬가지로요.
    자기가 보유한 낚싯대의 강도를 어떻게 알겠습니까?
    그렇다고 모두 부러트려야 한계점을 아는데 대물 낚시꾼은 그런 무모한 방법으로 강도를 파악하지 않을겁니다.
    따라서 대의 어느부분엔가 스크레치가 없다는 전제로 대물(잉어)을 걸어 파이팅 하는 과정에
    휨새탄력의 한계점에서도 달했다고 감이오면(판단되면) 무모하게 버티지얺고 대를 부러트리지 않도록
    대를 줘버리고 지는 쪽으로 선택하는게 고수라 여깁니다.
    낙수불입 09-09-07 20:01
    소쩍새우는밤님의 말씀에 동의 합니다.
    어느 쇼핑몰을 보니 같은 방법으로 강도 테스트라고 해놓은 그림이 있더군요......
    사람이 낚시대의 휨새를 다 살려가며 지긋하게 들어 올리는 테스트와 , 살려고 앙탈하는 물고기를 들어 올리는것하고는
    조건 자체가 성립이 안된다라는 생각이 듭니다.
    제대로 보여주려면....... 낚시대를 수직으로 세워 들고 뽑아 올려야 설득력이 있다고 봅니다.
    살아 남는 낚시대 없을겁니다.......
    비슷한 맥락으로 모 사이트에서 낚시줄 강도 테스트 한다고 낚시줄로 볼펜케이스 절단 하는것 보여주던데....
    다른 낚시줄도 거의 다됩니다...... 그렇다고 그줄이 안끊어 지느냐?..... 파마도 엄청나고 잘 끊어 지네요.....
    붕어야콩먹자ㅋ 09-09-07 20:18
    생수통을 문제없이 들었다고 해서 강도가 큰 낚시대가 아니라고 봅니다

    1,5리터 생수통을 들어올려도 문제없던 낚시대가

    주위여건에 따라 6~7치에도 부러지는 경우가 발생하고 붕어전용대가 대물 잉어향어 걸어도 안뿌러 지는 낚시대 많습니다

    강한 낚시대란

    붕어를 걸었을때 탄성이나 휨새에 의해 제압이 빠르고

    순간적인 챔질충격에 버틸수 있는 낚시대가 강도 높은대라고 생각합니다 ^^
    사람도대물 09-09-07 20:55
    자신의 자동차가 얼마나 튼튼한지 꼭 사고를 내봐야 아는것은 아니지요...
    대구동생 09-09-07 21:21
    방금 ***님께서 전화가 왔습니다.1년전 실제로 낚시대가 자주 부러져서
    테스트해보셨답니다. 맨바닥에서 작은얼음물로 했는데도 힘들다 하시더라구요~

    높은곳에서 해보시면 더욱더 힘을가할수 있다고 보시면 될겁니다.단 원줄을 짧게 매야됩니다.

    조구업체 몇개제품을 다 부르뜨리고 정확히 안뿌러지는 낚시대가 있었는데 그중에 한제품을
    현제도 쓰시고 계시답니다. 억센수초를 상대로만 고집하는 선배조사님으로 보이십니다.
    전화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강도테스트를 무조건 하라고 한적없습니다. 혹시나 자기쓰는 낚시대 특성은 파악해야 되는게
    맞지 않나 정도의 취지라고 이해하시면 될것같습니다.고가에 대물대 선택해서 후회하고
    분양하는 사례가 심심치 않게 나오기 때문에 한번더 생각해보시라고 질문드렸고

    대물낚시 특성상 고탄성 카본대일수록 성격이 틀려서 강제집행보다 테크닉이 우선적이기에
    억센부들이나 수초에서 뽑아빼먹는식으로 쓰기가 아무래도 무리가 가지 않을까 생각을 해봤습니다.
    고가의 고탄성대라면 힘들거라 보여집니다.

    낚시대 선택에 관련해서 조금한 팁으로 생각해주셨음 합니다.
    낙수불입 09-09-07 21:27
    네 잘알겠습니다 ^^
    그런 깊은뜻이 있으셨으면 발제를 하실때...... 지금 댓글처럼 조금 더 설명을 해 주셨더라면.....
    생각의 방향이 서로 빗나가지 않았을것 같습니다................암튼 잘 알아 들었습니다.
    나그내 09-09-07 22:19
    동일한 조건에서 안부러지는대가 강한대가 맞습니다 몆대가지고 직접실험해보았읍니다 부러진 낚시대 레제마트에 AS받았고 비싼낚시대28대 3마디작살나고 동일한회사 조금싼대는 22대로 덜어올림 참고로 한대로 한것이 아니고 여러대로 해서 정확합니다 그다음날 한조구업체 전화해서 사실대로 설명하니 실제강도테스터 한답니다 30대 노상에서 2키로그램 버팁답니다 본인 스타일에 맞는대가
    가장좋은대가 아닐런지요
    뒤집힌무지개 09-09-07 22:40
    아...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뫄한머루님 09-09-08 01:00
    강도테스트 한다고, 대에 스트레스를 자꾸 주다보면 강도가 변하더군요..

    특히 휨새든 강도든 그 한계부근까지 접근하다보면 낚시대 변합니다.



    사람도 대물님에게 한표 드립니다^^
    김부장님 09-09-09 12:09
    ㅎ 항상 아끼고 있습니다 무리없이 ~~
    찬가 09-09-09 14:06
    좋은 정보 잘 잃어보고 갑니다요.........월척님들 화팅하세요?
    청념함을 09-09-09 15:31
    잘 보고 갑니다 ,

    조ㅎ은 정보네요.
    관태공 09-09-09 19:41
    글을 읽고 갑자기 실험하고 싶어지네여~ㅎ
    꼬지리 09-09-10 09:43
    저도 실험을 해보고 싶은 생각이 들지만~ 그냥 멈춰있는 물건을 드는것과 저항하는 붕어를 드는것은 다르다는 생각은 드네요.
    조사의 스타일에 따라 강하게 챔질하는분도 있고 여유있게 탬포를 맞혀서 하는분도 있을것이구요..
    그 순간의 제압력이 어떤지가 강도를 가름할수 있는게 아닐지 조사의 스타일에 딱 맞게 대를 생각하는게 좋을것 같은 생각이 듭니다. 저는 초보 조사이다 보니 일반 대 보다는 간단히 제압이 가능한 초경질대를 사용하는 편입니다.
    그래도 아직 준척급이 저항하면 확실한 제압을 못하니가요.. 본인의 스타일을 생각해보고 그 물건을 간단히 드는것 보다는 붕어를 낚을지 챔질하는 습관까지 고려해서 테스트해보면 어느정도 답이 보일것 같기도 하네요...
    순간 챔질시 탄력을 테스트 한다면요.. 연질대로 고기 잡던 시절과 경질대로 고기 잡던 시절이 확실히 차이가 있는것 처럼요.



    2024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