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좌(Tip)

    · 테크닉, 미끼운용, 용품, 역사, 문화 등 낚시 장르에 구애 없이 낚시와 관련된 모든 실용적 강좌나 TIP이 해당됩니다.

    · 기존제품의 개조 또는 자작용품의 경우 나의낚시장비를 이용해주시기 바랍니다.
    · 본인이 저작권을 가지는 게시물만 게시하여 주십시오.
    · 질답 게시판이 아니오니 질문은 월척지식을 이용하십시오.
    · 동영상은 동영상게시판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비브리오패혈증(Vibrio Vulnificus Septicemia)

    BL피싱 / 2011-09-27 11:19 / Hit : 10116 본문+댓글추천 : 0

    비브리오패혈증(Vibrio Vulnificus Septicemia)
    비브리오 불리피쿠스균(V.vulnificus)에 오염된 어패류를 생식하거나 균에 오염된 해수 및 갯벌 등에서 피부 상처를 통해 감염되었을 때 나타나는 질환이다.
    특히 만성질환자, 소모성 질환자, 알코올중독 및 습관성 음주자, 면역기능 저하자에게서 발생률이 높은 급성 세균성 질환이다.
    6~9월에 해안 지역을 중심으로 발생하며 일단 감염되면 병의 진행이 빨라 사망률(60%)이 높은 질환이므로 조기진단 및 신속한 치료가 생존율에 큰 영향을 미치게된다다.
    생식하였을 경우 잠복기는 1~2일이나, 피부 감염의 경우는 약 12시간 이다.
    피부 감염의 경우는 상처 부위에 부종과 홍반이 발생한 뒤 급격히 진행되어 대부분의 경우 수포성 괴사가 생긴다.
    기저 질환이 없는 청장년의 경우에는 항생제 및 외과적 치료로 회복된다.
    오염된 해산물을 생식하였을 때에는 급작스런 오한·발열·전신쇠약감 등으로 시작하여 때로는 구토와 설사까지 동반한다.
    잠복기는 12~24시간이며, 대부분의 환자에게서 발병 30여 시간 전후에 피부병소가 나타나는데, 특히 넓적다리와 엉덩이 등에 부종·발적·반상출혈·물집·궤양·괴사 등이 나타난다.
    만성 간질환이 있는 40∼50대 남자의 경우 치명률이 높다.
    환자의 격리나 환경소독·검역은 필요 없다.
    치료에는 페니실린·엠피실린· 세팔로틴·테트라시클린·클로로마이세틴 등 감수성 있는 항생물질을 투여하고, 상황에 따라 절제·배농·절개 등 외과적 처치를 시행한다.
    예방을 위해 어패류 보관시 다른 식품과 분리해서 냉장보관하고, 56℃ 이상의 열로 가열하여 충분히 조리한 후 섭취해야 한다.
    특히 간질환 환자, 알코올중독자, 당뇨병, 만성신부전증 등 만성질환자는 6~10월에 어패류 생식을 금하고, 해안 지역에서의 낚시나 갯벌에서의 어패류 손질 등을 피해야 한다.
    여름철 해변에 갈 때 피부에 상처가 나지 않도록 주의하며, 상처가 났을 때에는 맑은 물로 씻고 소독을 해야 한다.
    횟집에서는 18℃ 이하의 원거리 심해수를 수족관 물로 사용하고, 어패류 조리 기구를 끓이거나 염소소독을 해야 한다.
    비브리오균은 십이지장 부위로 침입하여 혈액속에서 자라나서 , 패혈 즉 피가 제기능을 하지못하게한다.
    똑같은 비브리오자가 붙는 비브리오 파라헤몰리피쿠스 ( Vibrio parahemolyficus ) 는 생선회 먹은후 화장실을 자주 다녀오게 만드는 장염의 원인균이기도 하다 .
    이러한 통칭적 의미의 비브리오균은 그람음성균으로서 여러종이 바닷물에 존재하며 특히, 기수와 해수가 만나는 연안의 갯벌에서 수온이 20도 이상되는 7월에서 9월 에 검출율이 가장높으며 , 수온이 17도이하가 되면 이균은 표층수에서는 거의 검출되지 않는다 .
    여름철부터 늦가을까지가 기승을 부리는 시기인데 , 생선이나 조개등에 많이있다.
    한 마리라도 섭취하면 모두 발병되는것이 아니고 균은 산에 약하기 때문에 먹은 후 2-3시간에 걸쳐서 위를 통과 할때에 위산에 위하여 대부분 사멸되고 살아남은 극히 일부가 장으로 내려가서 간기능이 약한 경우에 증식하여 발병한다는 것이다 .
    간장이 약하거나, 술을 많이 먹어 항력이 저하되었거나, 당뇨병환자등이 특히 잘걸린다는것인데, 상온 5도 이하에서는 증식이 불가능한 특성을 가지고 있으나 25도 이상에서는 증식이 대단히 빨라서 2시간 후에는 4,000 배 이상으로 급속히 증식이 된다 .
    횟집의 썰어놓은 생선회는 가급적 빨리먹는 게 좋다.
    생선회를 실내온도하에서 방치하는 것은 1시간을 넘지 않는것이 좋다.
    여름철에 부페같은 곳에서의 생선회나 초밥은 피한다.
    횟집에서는 나오는 생선회는 빨리먹는것이 좋다 .
    비브리오균은 생선의 아가미나 , 비늘 , 내장등에 붙어 있으며 , 조리단계가 가장 중요하다 .
    수돗물로 깨끗하게 어체를 씻어서 , 비늘에 붙어있는 비브리균을 없애고 도마는 2개를 준비하여 사용하는것이 위생적이다 .
    첫번째 도마는 피를 빼고 내장등을 정리하노라. 깨끗이 씻는다 하여도 비브리오균등이 묻어 있을 개연성이 크므로, 전처리는 이곳에서 하고 두번째 도마를 사용하는 것이 위생적이다 .
    비브리오균이 많은곳은 어패류가 있는데 , 멍게, 해삼, 낙지 , 기타 조개류가 되겠다 ,
    여름철에 산낙지를 잘 씻지 않으면 비브리오균이 많다.
    생선횟집 수족관은 멍게 , 해삼 , 낙지 등 하고 다른 횟감용 생선과 한곳에 넣어두는 횟집이 있는데 이런집은 이용하지마시길...
    생선은 건강하게 살아있을때에는 살속으로는 세균이 잘 침범하지 못한다 ,
    그러나 죽고나서는 급속하게 각종 세균등이 살속에 자리잡게 되는데 생선은 살아있을때 , 피를빼고, 내장등을 긁어낸 후 바로 먹던가 5도 이하의 저온으로 보관한다면 비브리오균 염려 없이도 안전하게 먹을 수 있다는 것이다 .
    아니사키스충이 아니라도, 비브리오의 경우도 마찬가지가 되겠다 , 깨끗하게 처리하여 먹는다면 비브리오는 안심해도 된다 .
    국립보건원 자료에 의하면 1995년부터 2001년 까지 7년동안 비브리오 패혈증에 의한 사망자가 총 88명이란 보고가 있으며 1년에 평균 12.6명이 사망한 것으로 되어있다

    각씨붕어 11-09-27 12:44
    끔찍하면서도 올바른 정보 감사합니다....^^*
    쌍마™ 11-09-28 08:54
    비브리오
    쯔쯔가무시
    유행성출혈열등등 조심해야 할것들이
    너무 많습니다

    다들 조심하세요
    자이언트킴 11-09-28 18:38
    좋은정보 감사드림니다
    수성21 11-09-29 18:20
    정보 감사합니다. 추천드립니다. ^^
    선두리 11-09-29 18:28
    정보 감사합니다..
    비계덩어리 11-10-01 20:13
    무시무시하네요. 좋은상식얻어갑니다.
    내꼬당 12-04-21 14:31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2024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