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낚시장비

    · 자신의 낚시장비를 오픈하고 이를 통해 서로간 장단점을 비교하고 보완해 가면서 자신의 취향을 찾아가는 과정에서
    회원 서로간 공유를 통해 불필요한 낭비요인을 최소화하여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낚시장비를 구비해 가는 취지의 게시판입니다
    · 낚싯대는 낚싯대포럼, 찌는 월척지식-낚시용품, 동영상은 동영상게시판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찌,찌맞춤] 카본줄 찌맞춤용 3미리 왕케미

    bellsun / 2013-06-26 00:59 / Hit : 18501 본문+댓글추천 : 0

    my_equip_12335459.jpg


    카본줄 사용하시는분들 찌맞춤 어떻케 하시나요?
    모노와 카본줄의 장단점은 논외루 하구...

    카본줄의 강인함에 매료되어 모노줄 버린지 오래되었습니다(바닥낚시,장대)
    카본줄은 물에 가라않는 성질이 있습니다
    때문에 찌맞춤이 무지 어렵습니다
    수심맞추구,찌맞추구...
    찌올림역시 모노줄에 비하여 제한적이라 생각됩니다
    찌올림이 약하면 아무래두 챔질,조과에서 뒤질수 밖에 없을듯합니다
    최근에 찌올림,찌맞춤을 여기저기 뒤적거리며 공부하였는데
    머리속만 더아파집니다
    어느하나 실전에서 사용해서 효과본것이 없어서요
    (오해마세요,찌맞춤잘해두 입질업음꽝, 활성도좋으면 무거운맞춤두 오케이,가벼운맞춤은 흐르구...등등)
    참 머리아픕니다
    한동안 낚시 못하다가 다시 낚시대 잡으니 초심으로 돌아갔습니다
    하여 찌맞춤부터 공부 하는중입니다
    모노줄이 아닌 카본줄 찌맞춤입니다
    카본줄 찌맞춤은 상당히 어렵다 판단됩니다
    수심측정하여야 하고,측정한들...무용지물가능성 높습니다
    특히나 카본줄 호수가 높을수록... 무게감은 더욱 심할듯합니다
    때문에 잔머리 굴리다보니 가진 소품중에 대형3미리케미,찌고무(자작) 가지고 만들어 봤습니다

    통상은 초릿실>원줄>찌멈춤고무>찌고무>찌멈춤고무>원줄 >각자의 채비 ,봉돌,사슬,스위벨...등등

    찌맞춤은 찌멈춤고무에 찌를 꼽고 수심측정하고...등으로 끝맺음합니다

    찌맞춤은 각자의 개성에 맞게 하시면 되지만

    초릿실부터,찌고무까지의 원줄(카본사)의 무게로 찌누름현상은 ?

    과학적인 데이터는 아니고,최하 1마디부터 10마디 까지 천차 만별의 차이를 보일듯합니다(찌올림시)
    원줄의 찌누름현상을 간단히 해결하자는 취지에서 초릿실>찌멈춤고무+3미리주간케미>찌멈춤고무>찌고무+찌>찌멈춤고무>각자의채비
    로 구성하여 실전 테스트 하려합니다
    수조에 담궈서 테스트 결과 양호한 결과가 나왔으며 고정으로 할지,유동으로 할지는 고민중이며 두가지 모두 해보려 합니다

    예상되는 결과는 초릿실서,찌 까지의 카본원줄의 무게감없애기 에 중점을 두어 찌올림이 좋아 질꺼란 예상입니다
    찌누룸현상을 없애기 위한 방법입니다

    그러면 모노줄만큼일지 그보다 못할지는 모르지만 찌올림은 훨씬 부드러워 질거라 예상됩니다

    재미있는건 찌따로,케미따로 2개가 물에 둥둥 떠있어서 좀 헷갈릴수 있다는점입니다만
    그정도는 극복가능하리라 판단됩니다

    일단 주말 실전테스트 해보구 (활성도 좋아야할텐데)결과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테클주셔두 겸허히 받아들입니다

    bellsun 13-06-26 01:01
    찌맞춤은 현장에서 맞춘후 원줄의 무게를 살짝들어줄 주간 케미입니다(찌맞춤후 장착예정)
    초릿실>>찌 까지의 원줄무게 를 줄이기 위한 소품입니다
    bellsun 13-06-26 01:09
    찌맞춤을 먼저 하는이유는 찌>>>봉돌>>>바늘 까지는 찌맞춤을 하였기에 카본줄이라도 모노줄 못지않케 정확하다 판단됩니다
    다만 가장큰문제는 초릿실>>>찌 까지의 원줄 무게감이 가장큰문제라 판단 됩니다
    때문에 그부분을 없애기 위한 작은 소품입니다
    붕어,잉어가 입질하면 찌까지의 전달은 잘되지만... 찌부터는 원줄의 무게감 압박이 시작되어 긴 원줄의 무게감을 이겨
    내야 한단 판단됩니다
    때문에 작은소품이지만 제역할을 잘해낼거라 판단됩니다
    오르라 13-06-26 11:11
    저는 모노줄로 수조맞춤하여 현장어딜가도 똑같이 사용합니다.
    단 활성도나 조류, 수심관계에따라 쇠링으로 약간의 가감방식을 적용하구요.
    굳이 카본줄로 쓰면서 복잡하게 생각하실필요가 있는지 모르겠네요?
    저렴한 모노줄쓰면서도 고기걸어 터지는경우는 없었습니다.
    ㅎ 물론 큰고기를 못잡아서 그렇겠지만.... ?
    절대 모노줄 카본줄에 뒤지지 않습니다.
    부처핸섬 13-06-26 12:40
    저도연주찌생각했었는데높은호수의모노줄이낳더라구요
    하늘바다별 13-06-26 13:21
    요즘 모노줄 좋은거 많은데,,
    굳이 카본사를 고집해서 채비를 복잡하게 할 필요성을 못느낍니다...

    그리고 찌>>봉돌>>바늘 까지 찌맞춤을 하셨다면 바늘달고 찌맞춤을 하셨다고 보이는데,
    기본적으로 바늘을 빼고 찌맞춤을 하는것이 맞습니다.

    또한 좀더 생각해야 할 부분은 초리실 >> 찌고무까지 원줄의 침력만 볼것이 아니라
    찌>>봉돌까지 원줄의 침력도 봐야됩니다.

    간결한것이 좋은 채비라 생각하는 1人 이라 모노사를 추천합니다. ^^
    말뚝쟁이 13-06-26 13:34
    위의 고민을 해결하기위해..세미플로팅을 많아들 쓰시는것 같습니다
    bellsun 13-06-26 21:15
    댓글에 감사합니다
    모노줄은 잉어 건질때 많이 늘어나게되어 채비를 바꺼야하게됩니다
    때문에 카본줄을 사용하게되는것입니다
    제가 주로 잉어,향어를 해서요...
    세미플로팅 은 아직 사용은 안해봤습니다
    전 카본줄이 좋습니다
    튼실함에 카본줄 찾게됩니다
    침력계산은 이론상으론 찌>>> 봉돌 까지는 찌맞춤으로 해결가능하지만
    초릿실>>> 찌 까지의 원줄 침력을 감안한 3미리 케미를 이용하려 하는것입니다
    정확하게 맞추면 좋치만 그또한 어렵다 판단됩니다
    때문에 수중에서 더이상 침력하지 않는방법을 고안 하던중...3미리 왕케미를 이용 하려하는것입니다
    복잡한 채비일수 있으나 카본줄의 단점을 보안하는 차원에서 잔머리 굴리다보니
    특이한 채비가 하나 탄생하게 되는것입니다
    카본5호줄 가지구 더더더 채비의 만세를 위한 방법을 고안중입니다
    bellsun 13-07-01 02:17
    오늘 현장에서 테스트 결과
    왕케미는 부력이 과해서 찌톱을 끌어올리는 부작용발생
    3미리 미니케미로 교체하여 찌올림 감상
    부력이 약간 부족 하여 3미리 야간케미로 교체
    적당한듯 합니다
    다만 문제점은 수심에 따라 부력(침력)계산을 하여야 한다는점이 문제점으로 대두
    됩니다
    너무 예민하게 마춘다구 편납가지구 2시간 놀았더니 결정적 한방
    수심체크 미스를 범하게 되네요

    하지만 이내 수정하여 3미리야간방울케미로 카본5호줄의 침력을 부력으로 만회 하여
    아주좋은 찌올림 감상 하였습니다

    좀더 가다듬어서 카본줄두 찌올림이 모노줄 못지 않은 방법을 강구 하구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bellsun 13-07-06 23:45
    오늘 또다시 테스트 결과...
    메기두 근사한 올림찌맛을 구경하였습니다
    메기맘이겠지만 어쨋든 찌올림 근사함에 자체 만족하였습니다

    채비: 릴리안사>원줄카본5호> 찌멈춤고무 1 >3미리야간케미 >찌멈춤고무1> 찌멈춤고무 3>찌90cm 찌멈춤고무3>분할봉돌 약 80%>

    스위벨 약20%>2봉채비(목줄 10센티정도) 카본5호줄의 침력을 3미리 야간케미로 상쇄시키기 위한채비 입니다

    헛챔질이 4번 있었서 고기 구경은 못했지만 찌올림이 몸통이 들어나는 찌올림에 만족하였습니다
    찌올림열시 총알처럼 빠르지 않았구... 적당한수준으로 올려줘서 찌감상 잘하였습니다

    찌가 천천히 올라오길래 정점에서 챔질하였더니 메기였습니다(메기는 통상 빠는입질로 찌를 끌구 들어가는데...)

    찌마춤은 바늘뗴고,케미달구 1목 나오게 맞추었습니다
    분할봉돌과 스위벨간 간격은 약 50센티 정도 주었습니다(처음엔 바닥채비형으로 아래로 내려서)
    입질이 들어오자 50센티 정도 올려두구 찌감상 (찌에편납을 감지않았습니다)

    현재까지는 만족합니다만
    찌올림후 만세를 부르고,버티기 를 노렸으나 오래버티지못하구 잠수~
    이래저래 혼자 공부하려니 참힘드네요
    입질두 확실히 덜들어오니...재미두 없구요

    제가 노리는 어종은 잉어,향어 등 입질이 좀 지저분한 어종입니다
    다만 노리는 이유는 당찬 힘... 때문입니다
    가끔 잉어,향어두 찌를 잘올려주지만 대체적으로 붕어와 같지않으므로...(고기맘이니까)
    조금이나마 확실한 찌올림을 보기 위한 채비 입니다

    감사합니다
    정지원 13-08-09 17:52
    개선 하려는 열정에 노고에 비할수 있는 성과가 있기를 바랍니다


    2024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