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지식

    · 기타지식

    [질문/답변] 붕어의 검은점들은 뭔가요

    배동이 / 2012-03-31 07:54 / Hit : 4680 본문+댓글추천 : 0

    작은 준계곡지의 붕어들 외부 표피와 지느러미에 검은반점들이 있네요
    병에 걸린건지 충에 감염된건지 아니면 붕어종의 하나인지 궁금합니다

    매초명월 12-03-31 08:10
    깨붕어라고 토종붕어의 한종류입니다ㅡ
    붕어국가대표♂ 12-03-31 08:14
    일명 깨붕어라고도 불리우고있는

    돌붕어가 검은점이 있다고 알고 있습니다.

    혹자는 박테리아 균에 감염된 붕어라고

    하시는 분들도 계십니다만...

    붕어힘이 유독 당차지 않던가요?

    제가사는 곳에서 가까운 계곡지나 수로에도

    이런 붕어들이 꽤 많이 있답니다.

    늘 행운이 함께 하시길...
    소쩍새우는밤 12-03-31 08:58
    주로 돌,자갈이 많은 강계의 상류에 서식하는 토종붕어로
    산골짜기에서 저수지로 유입되는 계곡지에서 발견됩니다.
    남강,낙동강의 하류지역 뻘,모래지역에는 보기 어렵고
    발원지 쪽으로 거슬러 올라갈 수록 발견빈도가 많습니다.
    엉터리꾼 12-03-31 09:42
    '메타고니무스'라는 흡충(붕어 피부에 기생)이 붕어의 피부에서 영양분을 먹고 난 배설물이 검정색으로 나타납니다.
    강계에 서식하는 붕어에게 주로 많고, 하천을 끼고 있는 상류 수로나 댐에서도 이런 붕어가 낚이기도 합니다. ^^
    마름 12-03-31 10:07
    돌붕어 깨붕어라고는 알고 있었지만 해박한님들 덕분에 정보 얻고 갑니다.
    전북김제꾼 12-03-31 12:37
    깨붕어나 , 돌붕어 ㅎ 같습니다^^ ㅎㅎ
    잉철 12-04-01 02:27
    엉터리꾼님 말씀이 정답이네요.
    붕어섰거라 12-04-01 14:27
    잘보고갑니다
    못나니 12-04-02 11:57
    질문하신 붕어는 통상 돌붕어라고 부르며 정식명칭은 깨붕어라고 합니다.

    주로 강계에서 서식하며 더러 계곡지에 있기도 합니다.

    웃분중 댓글에 기생충 배설물이라고 하시는분이 있는데.. 그것까지는 잘모르겠습니다.

    다만 확실한것은 육안으로 검은 점이 확인이 되면 만졌을때 비늘이 아주 거칠거칠 합니다.

    만약 그렇다면 100% 돌붕어(깨붕어) 이고요

    아참 힘이 다른 토종붕어에 동일사이즈에 비해 상당히 힘이 좋습니다.

    거칠하지 않다면 윗분 말씀처럼 의심정도는 해볼수도 있겠네요..
    족장 12-04-02 12:26
    돌붕어입니다 힘좋치요^^
    황금가물치 12-04-02 14:53
    방송에서 한번본적이 있는데 실물을 못봐서 윌척지식에 항상 많은것을 배우고 감니닺
    챈스 12-04-02 17:29
    예당저수지 본류권에서 청양방향으로 동산교를 지나 약3k정도 올라가다 보면 수로가 길게 이어집니다.
    90년대초에 합 십여년 2월중순부터 3월말까지 이른 봄 낚시를 한 경험이 있습니다.
    그곳의 붕어가 바로 흑점이 있는 돌붕어입니다.
    현지 할아버지들은 점백이 라고도 하시구요.
    힘이 꽤 좋은 편이 었구요.
    안가본지가 십년이 넘어서 지금은 어떤지 잘 모르겠군요.
    4짜이하는잡어 12-04-02 18:42
    돌붕어.깨붕어라 하지요..윗분들 말씀처럼 힘이 좋데요,^^
    행복쿠폰 12-04-02 22:40
    개천붕어라고도 한답니다 토종중토종 예전 장성댐 물내려오는곳에서 많이잡혔는데 그립습니다
    밤에만늑대 12-04-03 01:44
    월님들 안녕하세요~ 밤에만늑대 입니다

    깨붕어~ 돌붕어~ 점밖이붕어~ 등등 여러가지로 불리우고 있으나 통상적으로 맞은 말은 아니며 그냥 쉽게 불리우기 위해서 생겨난 말들입니다 즉 한 종으로 구분이 되지 않는다는 이야기 입니다

    붕어에 생기는 검은반점은 위에분께서 말씀하셨다시피 장흡충의 원인균인 요꼬가와흡중(학명 - 메타고니무스)에 의해서 발생합니다
    참고로 메타고니무스의 중간숙주인 다슬기가 많이 서식하는곳이라면 수로이든 저수지든 강계이든 간에 그곳에 사는 붕어들에게는 비늘이나 지느러미에 생깁니다
    즉 붕어에게는 일종의 피부병인 셈이지요 까만점은 수온이 낮아지면 많아지고 높아지면 줄어듭니다


    또한 붕어의 힘이 좋은것은 주로 서식지가 계류나 강계이다 보니 흐르는 물에 지속적으로 움직여야 하는 붕어로써는 힘이 좋아질수밖에 없습니다

    그밖에 아주 깨끗한 저수지나 수로에서도 간혹 잡히곤 합니다


    혹 어떤분의 말로는 다슬기 자체가 깨끗한곳에서 살며 이런곳에서 잡은 점밖이 붕어들은 먹어서도 아무런 해가 없다고들 하시는데
    지방 지역에서는 학술적으로도 주만들이 감염된 사례가 여러건 있으며 상복부 팽만감 , 무른변설사 , 변비 가 주된 위장관 증상이지만 이는 그곳에 사는 어류등을 먹어서 그런것이 아닌 그곳의 물을 식수원으로 사용하여서 생긴 것으로 생각됩니다
    밤에만늑대 12-04-03 01:53
    참고로 서울 경기권에서 깨붕어가 제일 유명한곳은 예당지의 한 수로인 청양수로에서 잡히는 깨붕어가 수도권지역에서 깨붕어를 볼수있는 최고의 터로 생각됩니다 ( 물론 천안쪽이나 근처 몇군데도 더 있을듯 합니다.. )
    밤에만늑대 12-04-03 01:58
    아.. 또 참고로
    피부가 거칠은 것은 윗분 말대로 기생충이 붕어 피부에서 영양분을 먹고 난 배설물이라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붕어의 피부병이지만 서도 쉽게 말해서 붕어의 피부트러블정도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래서 피부가 거친것입니다
    비맞은대나무 12-04-03 02:05
    밤에만 늑내님 좋은 정보 얻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소류지애 12-04-03 15:42
    돌붕어 정도로 알고 있는데.. 세세한 내막에 대해선 잘 모르겠습니다..

    아무쪼록 잘 보고 갑니다... ^^
    즐겨 12-04-04 16:08
    특성인줄 알았는데 그게 아니군요, 잘 배웠습니다.
    대물수색대 12-04-04 23:24
    붕어의 피부병이 절대아닌걸로압니다
    돌부어가맟는걸로 아옴니다
    골든스마일 12-04-05 11:46
    깨붕어,황금붕어 등은 결국은 붕어 나름대로의 생존을 위한 보호색이라고 보면 되더라구요.
    수초가 많은곳의 붕언 황금색이 많고 평택호 같은 뻘에 사는 붕언 회색 빛이 많이 돌고 자갈이나 물흐름이 있는곳에
    사는 놈이 깨붕어. 아무래도 물흐름이 있는곳에 살다보니 항상 지느러미를 움직여서 힘이 좋아요. 제가 어렸을땐 이놈을
    철갑붕어라고 불렀어요 힘이 좋아서. 그때가 그립네요...



    2024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