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지식

    · 기타지식

    [질문/답변] 어제 승부사 보신분 계세요?

    월마니 / 2009-02-06 09:07 / Hit : 5867 본문+댓글추천 : 0

    중간쯤 부터 봤는데 강에서 끝보기 낚시를 하는데

    붕어가 잘 올라 오더라구요.

    그 채비는 어떻게 하는 것인지 좀 알려 주세요.

    봉돌을 유동으로 하는것 같은데...

    자세한 채비법 지도 바랍니다.

    출조꽝 09-02-06 09:21
    저도 궁금했습니다.

    그것보다 그곳이 어디인지 정확한 위치를 알고싶네요.
    중부지방에서 물낮시 가능한 곳이 드물고 또한 그렇게 깨끗한 수질을 가지고있는 곳도 찾기 힘듭니다.

    어제 승부사 이택상씨 정말 화이팅 하시던데......저도 그프로그램을 보고 궁금했습니다.
    갱신 09-02-06 10:02
    초리끝보기 낚시 이니깐 초 저부력찌 않쓴 빨채비랑 같다고 보심 됩니다.^^

    사람마다 틀리겠지만....만약 그런조건에서 낚시한다면....

    전 그렇게 안했을겁니다.ㅎㅎ

    똑같이 10마리를 잡아도 사람마다 채비법은 틀립니다.

    어느게 더 조과가 좋고...더 좋은지는 판가름하기 힘든거 같습니다...

    수로는 아산에 좋은곳 있습니다. 이름이 뭐더라....ㅠㅠ
    월척중독자 09-02-06 10:59
    어제 보니까 유동봉돌을 원줄에 그대로 끼워서 사용하던데...
    자세히 보니까 원줄에 유동봉돌끼우기전에 멈춤고무를 위에 끼운다음
    유동봉둘끼우고 회전도래하고 2봉바늘했던데...(원줄은2호)
    끝보기 낚시도 긴장감있고 괜찮아보이던데요 ㅎㅎㅎ

    이틀전에 플라이 낚시로 잉어붕어 잡는거 보셨나요? ㅎㅎㅎ

    바다 흘림낚시 처럼 빨간 찌하나 띄워놓고 미끼는 송충이로 그냥 흘려보내면서 입질받아서

    잉어와 붕어를 낚아내던데...

    신기하더라구요^*^
    하늘님 09-02-06 11:33
    강낚시중 유속이 많은곳에서 끝보기 낚시 하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저 또한 몇번 경험해 보았는데 그냥 재미삼아 해볼만 하다고 생각듭니다.

    기존 유동찌 채배중 유동찌고무를 초릿대 끝에 까지 밀어 올려줍니다.
    왜냐하면 초릿대의 휨새로 고기가 낚였는지 알수밖에 없기 때문이지요?
    씨알이 큰 고기의 경우는 휨새의 정도를 판단이 쉽지만 잔고기의 경우는 그렇지 못합니다.
    유동찌고무를 초릿대 끝까지 올려주면 유동찌고무가 초릿대 끝정도에 위치하고
    고기의 입질시 유동찌고무가 흔들리겠지요.
    다만 봉돌 및 채비의 경우 일반으로 하셔도 무방하나
    유속의 정도에 따라 봉돌의 크기를 조정하셔야 할 겁니다.
    물론 근자에는 봉돌을 유동식으로 하여 하는 경우도 있고, 가지바늘을 추가로 매는경우도 있습니다.
    여건에 따라 다양하게 해보시면 또하나의 재미를 느끼실수 있다고 생각되네요
    파란물고기 09-02-06 12:01
    저도 예전에 끝보기 낚시채비를 한동안 했었습니다..

    유속이 있어..찌보기가 어려울때 쓰는 채비법인데...

    원줄에 유동추(구멍환추2호)를 장착하고 위아래 멈춤고무를 10cm~20cm 간격을 둡니다..

    간혹 중츶에 사용하는 편납홀더를 사용하시는 분이 계시는데..

    낚시를 하다보면 편납홀더는 구멍이 쉬 막히는 현상이 자주 발생합니다...

    해서 구멍이 좀 넉넉하고 짧은 구멍환추 또는 바다구멍봉돌을 사용하시면 좀 더 나을겁니다...

    초릿대끝에 케미꽂이를 달고 하시면 밤낚시도 무난하게 하실수 있답니다....^^*

    아마도 입질 반응은 찌낚시보다 훨씬 빠르게 전달될것이니다....
    어처구니 09-02-06 20:35
    제가 곡교천 앞에 살고 있는데요 사계절 낚시 가능하구요 붕어 잉어 메기 뱀장어 동자개 등 많이 잡았어요
    짬 낚시로 그만이죠 현충사 정문 부터 삽교천 까지 낚시 할수 있는곳 많고요
    수질은 많이 깨끗해졌지만 아직도 좀,,,
    전 그냥 채비에다 뒷 꼿이 만 든든히 사용 고기 힘이 대단해서 낚시대 전체가 움직여요
    먼저 베스 히트 방송된곳 인데 요번엔 못봤는데 아마 맞을거예요 날씨만 좋으면 사람들 많아요
    현충사로 오시면 됩니다
    일편단심 09-02-07 00:15
    다른건 잘 모르겠고 이택상씨 화이팅 하시는 모습이 참으로 보기 좋았습니다.
    겨울 내내 추위에 떨면서 시청자들에게 뭔가를 보여주려고 애쓰시는 모습이 한편으론 좀 안타까웠는데
    오랜만에 참으로 시원한 모습 보여주셨습니다.
    제 속이 다 시원합니다. ㅎㅎ
    shimanoman 09-02-07 00:23
    끝보기낚시도 많은 낚시 장르중 하나의 기법입니다..!!
    여름 휴가철,, 산속 계곡으로 휴가를 가면.. 한번쯤,, 끝보기낚수놀이로 맴탕거리 잡심더~~(거진,, 빠가 넘으로,,ㅋ)
    흐르는 물가선,, 끝보기가 쵝오~~!! ^^
    김빠이 09-02-07 16:34
    충남 아산 현충사 앞에 있는 곡교천입니다.
    낚시대 길이가 길면 길수록유속이 심하구요.
    그래서 끝보기 낚시와 빨채비를 주로 사용합니다.
    출조꽝 09-02-08 11:33
    아하 아산 현충사 앞에 곡교천이요.......정보감사합니다/
    39번 국도타고 가면되겠네요.

    그리고 월척중독자님 말씀대로 그전방송 홀리피셔맨인가?
    플라이 낚시로 잉어 붕어를 잡데요.......잔챙이는 못건딜고 준척급 아니면 잉어를 걸던데...

    가짜 송충이로 띄울낚시.................추운 겨울날 화이팅하는 모습 정말 멋있더군요.
    수엽 09-02-09 01:20
    끝보기 낚시는 어느 낚시터든지 가능합니다.
    큰 비가 와 물이 급속이 불어나
    물고기가 상류 수로로 이동한다 싶을 때..
    물이 흐르는 관계로 찌낚시가 어려울 때 하시면 좋습니다.

    채비는 별도로 끝보기 채비를 준비하셔도 되나
    일반 채비에서 찌만 빼낸 후, 찌고무를 초리 끝으로 올려
    초리끝 보기 편하도록 하신 후 간편 방법으로 낚시하셔도 됩니다.

    제일 중요한 점은 낚시대 강도와 물살의 세기에 따른 봉돌의 무게입니다.
    물살이 셀수록 봉돌 무게가 무거워야 하므로 봉돌 무게를 가감하면서
    최적의 봉돌 무게를 맞춥니다.

    낚시하시다 보면 쉽게 봉돌 최적 무게 마추실 수 있습니다.

    봉돌은 유동이든 고정이든 다 괜찮습니다.
    이때의 물고기는 대부분 최상의 활성도를 보이기 때문에
    왠만한 채비이면 쭉쭉 물어줍니다.

    특히 큰 비가 와 물색이 흙탕물이 흐를 때 최적의 낚시 방법중 하나 입니다.
    지렁이 미끼 하나면 붕어, 메기 , 가물치, 대형 잉어... 다 물어줍니다.

    낚시대를 끝보기 편하도록 옆으로 45도- 60도 정도 비스듬이 하여보면
    초리끝이 적당히 휘고 잎질 어신도 잘 보입니다.

    큰 비가 와 저수지 상류에서 흙탕물이 유입될 때..
    물 유입구 쪽에서 끝보기 낚시 해보시면 홈런 칠때 많습니다.

    강에서는 비가 적당히만 와 물이 흘러줘도
    끝보기 낚시 잘 됩니다.
    하늘소99 09-02-09 19:46
    중통낚시로 검색해보시면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중통낚시에서는 찌를 달지만, 찌를 제거하고 초릿대 끝보기를 하신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찌를 달아도 무방합니다.
    입질이 오면 찌는 올라오지 않고, 내림낚시처럼 쑥하고 끌려 들어갑니다.
    중요한점은, 반드시 봉돌과 초릿대 사이의 원줄이 슬랙라인이 있으면 안됩니다.
    팽팽하게 긴장감이 있어야 합니다.
    봉돌은 구멍봉돌을 사용해도 되고, 구하기 어려우면 일반 고리추의 한쪽 고리로 원줄을 통과 시켜서
    사용해도 됩니다.
    저의 경우는 지그헤드(루어용 바늘 - 납봉돌에 바늘이 달린 것)바늘을 제거하고 고리만 남겨두고
    사용합니다.
    유동이 아주 좋습니다.
    찌를 달 경우 찌 맞춤은 할 필요가 없으며, 찌 부력보다 30 ~ 50% 이상 무거운 봉돌을 다시면 됩니다.

    이택상님의 경우는, 사용하신 구멍봉돌은 루어낚시 장비중 텍사스리그에 사용되는 총알형 싱커를 사용하셨고..
    무게는 약 3/8온스(11g정도)로 보여집니다.
    밥플 20-06-04 21:20
    ㅣㅣ



    2024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