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지식

    · 기타지식

    [질문/답변] 우리나라 민물자생새우 종류는 몇가지인가요?

    연날리기 / 2011-06-14 18:22 / Hit : 10603 본문+댓글추천 : 0

    낚시 하면서 채집되는 새우가 저수지 마다 틀리더군요.

    우리나라 자생 새우는 몇종류인지 궁금합니다.

    아시는 분들 알려주시면 감사 하겠습니다.--징거미.새우( 새뱅이= 토화?)제가 아는 전부입니다.

    찌의올림 11-06-14 20:53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새우는 약 70~80여종이고 그중 14종 이상이 담수에 서식하는것 같습니다..

    우리가 쉽게 볼수있는 민물새우는 보통 생이. 줄새우. 징거미 정도로 구분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그중에서 가장 작은 2~3cm 크기의 생이새우는 수초어항에서 이끼제거용으로 기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4~6cm 크기의 줄새우는 주로 겨울철에 낚시점에서 낚시 미끼용의 살아있는 줄새우를 쉽게 구할수가 있는데요.. 이끼를 잘 제거해주긴 하지만 연약한 수초를 먹어치우기도 하고 또 집게로 작은 물고기를 공격하기도 하므로 어항에선 좀 부담스러울수 있는 녀석들이구요.. ^^;

    징거미는 마치 작은 가재같은 느낌마져 들 정도로 긴 집게가 특징인 새우로.. 작은 물고기들을 사냥하는 습성이 있습니다..

    생이와 줄새우는 크기와 무늬로도 구별할수 있지만.. 줄새우는 등이 굽어있고 눈과 눈사이가 멀고 가위 모양의 집게를 가지고 있는것으로도 구별할수 있습니다.. 생이의 집게는 너무 작아서 눈으로 확인하긴 어렵지만 가위 모양이 아니라 붓모양입니다..

    생이는 집게가 붓모양이기 때문에 수초를 뜯거나 다른 생물을 공격하지 못합니다만.. 줄새우나 징거미는 수초를 뜯어 먹을수도 있고 다른 생물을 공격할수도 있습니다만 그렇게 대단한 포식자는 아니구요.. 대부분의 물고기들보다 느리기 때문에 건강한 물고기를 공격하진 못합니다..

    병에 걸리거나 쇠약해지 물고기 또는 깊은 잠에 빠져 미처 새우의 공격을 알아채지 못한 경우엔 잡히기도 하겠습니다만.. 일반적인 경우라고 보긴 어려울것 같습니다..

    모든 새우. 갑각류들은 탈피라는 과정을 통하여 성장을 하는데요.. 탈피후엔 껍질도 말랑 말랑해지고.. 또 탈피로 인한 체력의 소모 때문에 상당히 위험해집니다..

    이럴때 다른 물고기나 새우류 또는 동족의 공격을 받게되면 바로 죽음이죠.. 그러니 녀석들을 기를땐 안전하게 탈피할수 있는 장소를 충분히 마련해주는것이 좋습니다..

    생이는.. 수초어항에서 기르면 안전하게 기를수 있을겁니다.. <- 울창한 수초가 생이의 은신처 역활도 하고.. 어항에서 발생하는 이끼와 찌꺼기 등을 먹으면서 살기 때문에 아주 쉽게 기를수 있습니다.. <br/>
    줄새우와 징거미는 수초를 해칠수도 있으므로 섬세한 수초어항에서 기르긴 어려울겁니다..


    출처 아쿠악스
    까꿍붕어 11-06-16 11:06
    네이버에 민물새우종류로 검색해보세요

    예전에 저도 궁금해서 검색해 보았는데

    궁금증이 확 풀렸습니다
    연날리기 11-06-16 22:11
    글주신 두분 감사드립니다.

    검색을 먼저 해보면 될것을 . 네이버.다음.야후 검색 해보겠습니다.



    2024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