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물낚시

    · 생미끼 붕어 대물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전자찌 질문입니다.

    이태리닥발 / 2020-06-14 10:14 / Hit : 4800 본문+댓글추천 : 0

    .

    전자찌 사용해볼려고합니다..

    요#2점등 6g 이상 이정도면  바닥 수초  뚫고 내려갈수있나요?

    수초 파고드러니까  4g으로  잘  안되는듯합니다.

    아님 다른찌 판매처 추천 부탁드립니다...부력 많이 나가는걸루다

    가요^^

     


    ♀️기다림 20-06-14 10:40
    찌 무게가 무거우면 수초 뚫고 내려 가는데 좋지만요
    둔해 집니다
    저는 5g 찌를 사용합니다
    찌맞춤 무겁게 하시면 수초 뚫고 내려 갑니다
    찌맞춤을 수조 에서 케미 빼고 찌 봉돌 달고 서서히 내례 가게 하시면 잔챙이도 거르고 수초 뚫고 내려 갑니다
    그러나 수초가 너무 빽빽 하면 수초 작업을 하셔야 합니다
    부처핸섬 20-06-14 14:12
    수길찌 추천드립니다
    부처핸섬 20-06-14 14:25
    전자찌군요ㅜㅜ
    이태리닥발 20-06-14 16:53
    기다림에 답변에 대한 의문입니다.
    찌 맞춤을 무겁게 하는게 아니라 어떠한 무게의 찌부력이라도 0점 으로 부력을 맞추기 때문에 입질 둔한건 이해가 안되구요..가벼운 수초 뚫고내려가려니 4g으론 수초 언저리에 걸쳐지는 현상들이 생기는것 같아 조금더 무거운 비중의 찌를 쓰려는겁니다.거기에 요# 2점등 찌 관한 질문이구요..^^ 오해의 소지가 있다면 양해구합니다 ~~
    GOLDMOON 20-06-15 12:15
    찌의 부력(봉돌의무게)이 높아지면,
    투척시점에 중력가속도가 증가하므로, 좀더 풍덩 안착되면서 물속 미생수초를 뚫고들어갈 확률이 높아집니다.

    허나, 봉돌이 수초를 뚫고 들어갔다해도, 목줄에 달려있는 바늘은 바닥근처 수초위에 올라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가장 바닥에 있어야하는건 봉돌이 아니라, 미끼입니다.


    기다림님의 댓글의 내용을 대변해드리자면,
    봉돌과 연결된 목줄끝의 바늘에 달려있는 미끼를,
    붕어가 흡입과정으로 시뮬레이션 해보시면,
    완전한 수직형태의 움직임이 아닌,
    살짝 사선이 지는 흡입이 이루어 집니다.
    때문에 봉돌이 수직(Y축)으로 뜨려는 힘은 찌의 부력이 상쇠시켜주지만,
    수평(X축)으로 움직이려는 힘까지 상쇄시켸주진 못한다는 결론이 나옵니다.

    이때문에 같은 영점맞춤 이라도, 고부력 원봉돌 보다,
    저부력찌나 분납채비를 사용했을 때,
    더 이물감을 줄여줄 수 있습니다.
    미끼흡입과정에서 이물감이 적다는건, 그만큼 오래도록 대상어의 입속에 미끼와 바늘이 머문다는 얘기이기도 합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객주 20-06-15 20:50
    영점이 아니라 마너스 찌 맞춤을 해도 가벼운 봉돌 보다 이물감을 더 많이 느낀다고 봅니다

    6그람 아래 위 1그람 정도면 수초낚시에 적당 하다고 봅니다
    l장군l 20-06-15 22:54
    부력이 100g찌에 100g봉돌 달아도
    수초를 뚫지 못합니다
    1g찌에 5g봉돌 달면 수초를 뚫고 내려갑니다
    부력이 높다고해서 수초에서 만능은 아닙니다
    적당한 부력의 찌에
    찌맞춤을 잘 조정 하셔서
    상황에 맞게 때론 가볍게 때론 무겁게
    이렇게 하시는게 정답입니다
    이태리닥발 20-06-15 23:35
    많은 조언과 관심에 감사드립니다..좋은 정보 얻어갑니다 ^^~
    adamos 20-06-15 23:43
    낚시하다 보면, 찌 부력 무게에 가끔은 착각을 하게 됩니다.
    질문의 요지는? 4g보다 6g 봉돌 무게가 수초를 뚫고 내려가는데 훨씬 유리합니다.

    흔히 착각에 빠지는 이유는 생각보다 단순합니다.
    수초 언저리는 대부분 수심 1m 안팎일 것입니다.

    요즘은 유동체비를 주로 사용하시지요.
    투척했을 경우 봉돌의 무게는 바로 침력이 되기 때문에 포인트에 바로 내려가는 것입니다.
    수심 깊이를 측정한 찌 멈춤 지점에서 찌는 부력이 발생하기에 고정지점에서 봉돌의 무게는 영점이 되는 것이지요.

    봉돌은 가라앉고 찌는 부력으로 떠 오르면서 자리 잡기에 찌 부력이 영점이 되기 전에는 봉돌의 무게로
    포인트에 빨리 내려갑니다.
    가벼운 봉돌보다는 무거운 봉돌이 수초를 무게로 누르고 내려가기 훨씬 유리한 경우입니다.

    순수하게 수초가 장애라고 한다면 4g보다는 6g 무게가 바닥까지 안착하는데 빠르고, 유리합니다.
    찌 무게의 영점은 봉돌과 찌의 거리를 측정한 지점까지 찌가 부력으로 올라올 상황에 해당 된다고 할 수 있는 것입니다.

    요* 전자 2점등 찌라면 낮은 수심이라 해도 물밑아래 불빛으로 크게 지장은 없을 것같습니다.
    동2피싱홀릭 20-06-16 07:22
    저도 부력 6g정도의 찌로 수초대 공략하지만,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윗분께서 말씀하신대로 수심에 해당하는 깊이에 봉돌이 내려갔을 때는 4g이나 6g이나 차이가 없지만, 수면이나 수심의 중간에 있는 수초는 얘기가 다르지요.
    바닥에 닿기 전까지는 봉돌이 무거울수록 침력이 크게 작용할 것이므로, 수초를 뚫는데 유리하다고 생각되네요.
    아니면 말구요^^
    자기만의 생각으로 채비를 꾸미는 것 또한 낚시의 재미가 아닐까요? ㅎㅎ
    행복한 낚시 하세요~
    실전븅어낚시 20-06-16 08:45
    수초를 누르고 내려가서 입질을 받는다..

    이거 과연 재대로 입질 받을수 있을까요??? 안들어가는자리는 피해야 할것같습니다만... 오해를 하시는게.. 봉돌이 무거우면 바닥에 가까워지기 전까지는 무거운봉돌이 유리합니다.. 적정수심까지 내려가지 전에는 찌의 부력의 영향을 받지 않게 때문입니다..

    근데.. 이건 아닌듯합니다.. 수초작업을 하던지.. 깨끗한구멍을 찾아야지요.. 봉돌로 뚤고 내려가서 낚시가 될까요?? 스트레스 받아서 못할것같은데요. 바늘이 깔끔하게 노일지도 의문이고..

    여튼 이건아닙니다,,
    Zara1 20-06-16 10:04
    수초를 파고든다라.. 수초낚시 할때 가장 중요한게 깨끗한 바닥 찾기와 정확한 캐스팅이 중요한거 같은데요...낚시방송에 나오시는 프로님들도 수초를 파고들정도로 무거운 채비하시는게 아니던데.. 방송준비하면서 바닥찾는다고 3시간넘게 캐스팅하실때도 있다던데요...
    adamos 20-06-16 10:20
    몇 분의 말씀 옳은 말씀입니다.
    수초가 밀집한 포인트에서 어렵고, 피곤한 낚시하긴
    권하지 않습니다.

    어쩔 수 없는 일명, 뽕치기낚시는 비교가 아니구요.
    하지만, 포인트는 마음에 드는데 몇 가닥의 수초가
    문제일 경우 덜 피곤하고 유리하단 말 입니다.



    2024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