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물낚시

    · 생미끼 붕어 대물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겨울이 되면 새우가 없어지나요?

    바람같이 / 2007-11-27 17:48 / Hit : 8419 본문+댓글추천 : 0

    안녕하십니까 대물 초보.. 바람입니다......
    8월에 정출 간 소류지가 있는데 새우가 엄청나게 많았습니다.......
    거의 그때쯤에 대물.. 아니 낚시 자체를 시작했다고 봐야죠.. 첨시작을 아시는분들 따라
    대물을 하게 됐는데 채집망 그 큰 망에 1/4이 차있더군요.. 놀랐습니다..

    어릴적 집앞에 도랑에서 손이나 소쿠리(채? 머라고 해야죠?)로 고기를 잡으면 제일로
    귀하게 쳐준게 새우였습니다.. 그도랑이 좀 더러웠거든요.. ㅎㅎ
    그 귀하게 생각하던 새우가 .. 그곳엔 망에 1/4 정도 차있으니.. 그것도 3시간정도 넣어뒀는데요..

    24일날 그곳에 낚시를 가서 옥수수미끼에 낚시를 시작했습니다.당연히 대를 피기 전에 채집망먼저 던져두었는데요
    ... 새우가 3마린가/ 들어와있더군요..
    지식검색 보니깐 민물 새우가 참 맛있다는 말씀에... 남는건 가져가서.. 새우탕 해묵자 생각해서
    두개나 넣어 뒀는데.... 3마리 ㅠㅠ 5시간동안 ㅠㅠ... 그것도 새우들 죽으면 하얀색으로
    변하는데.. 거의 하얀색을 띤 3마리의 새우.. 입질도 한번 못받고 철수했습니다.......
    그많던 새우가 다 어디간건지.. 궁금해서 이렇게 글을 올려봅니다..

    겨울잠 자러.. 깊은 곳으로 ?/
    아니면 기온이 낮아져서.. 다 죽은건지//
    알려주세요 ㅠㅠ

    미니케미 07-11-27 18:24
    전에 자주가던못에 통발을 담그놓으면 두손 가득히 잡히곤 했는데 추워질수록 새우는 깊은곳으로 이동을합니다
    그래서 통발놔서 생업을 하시는 분들도 이맘때쯤이면 통발을 다 걷더군요 넣어도 거의 채집이 않되니깐..
    지금 낚시방에 남아있는건 그전에 잡아놓은거겠죠 그래서 두어군데 뒤져서 새우를 사곤합니다
    올해는 날이 덜 추어서인지 아직 새우를 파는곳이많더군요
    상주IC498 07-11-27 18:30
    안녕하세요...바람님...^^ 반갑습니다...

    먼저 낚시병원에 입원하신걸을 진심으로 축하드리며 반갑게 환영하는 바입니다~!

    민물새우는.. 단년생( 1년생 ) 으로써 초여름에 산란을 하며 1년에 4번 탈피를 합니다..

    그리고 산란을 하고나면 죽어버립니다...

    새우가 제일 활발하게 활동하는 수온은 17도 ~ 21도 사이를 제일좋아하며 활발하게 활동합니다..

    초겨울 저수온기의 시기에는 최대한 깊은곳으로 이동을 하며 죽거나 없어지는것은 아닙니다..

    그러니 내년 봄에 그저수지를 다시 찾으셔서 새우탕을 해드시면 될것같습니다~! ^^

    그럼 앞으로 낚시하시면서 어복충만하시구요.. 498 하시길 바랍니다....건강하세요~
    꿈틀 07-11-27 19:16
    상주IC498님 ~~

    좋은 정보 감사 합니다
    대물콩에금붕어 07-11-27 19:25
    오늘 야식은 새우탕면으로...........ㄱㄱ
    교통사고 07-11-27 21:03
    감사합니다 역시 공부를 해야합니다..
    chosa 07-11-27 21:22
    상주 ic 498님
    항상 많은 지식 회원님들께 주셔서 감사합니다
    님의 말씀대로라면 새우채집망에 긴 줄을 연결해서 수심 2미터 이상 3미터 정도에
    던져놔야 하는지요? 아니면 훨씬 깊은곳에 던져야 하는지요?
    혹시 글 읽으시면 설명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추운 날씨에 안출하시고 즐거운 낚시하세요
    새벽♥부들 07-11-28 03:31
    상주IC498 사장님 안녕 하시죠^^.

    지난주 일요일에 가게 놀러 갔는데 안계시던데요 ㅎ

    저는 올해 낚시 정리하고 총 잡았습니다.ㅋ

    지난주에도 지나가다 오리 몇마리 드릴려고 들렀는데요.

    다음주에 함 들리겠습니다.

    저 누군지 아실지 모르겠습니다. ㅡㅡ?
    돌체 07-11-28 03:32
    요즘은 날이 추워서인지 가까운 물가에서 목격이되어 망을 담가도 잘 들어가지 않습니다. 십자천 새우망이 보통 많이 올라갔었는데 이것마져 채집이 안되는 상황입니다.그레서 저는 어두워진 초저녁에 고운망으로 만든 붕어뜰채를 가지고가서 먹이를 바닥에 뿌리고 새우가 모여들면 긁어내는 방식으로 낚시미끼감을 구합니다.
    바람같이 07-11-28 11:35
    아궁..... 선배님들 좋으신 정보 감사드립니다.
    상주IC498 07-11-28 14:17
    안녕하세요~ chosa 님~

    새우를 꼭 채집을 하고 싶으시다면... 줄을 길게 하시는것보다...

    저한데..연락을 주시는게~ 편할거 같아요~

    잡아보고 싶으신거라면 얼음이 얼때를 기다리셔도 되요..

    얼음 깨고.. 저수지의 젤 깊은곳을 찾으셔서 채집망 넣어보시면 채집이 됩니다...

    줄을 길게해서 하는 방법은 해보지 않았습니다.. 채집망을 날리기도 힘들테구요..^^

    그럼 즐거운 하루 되세요~
    chosa 07-11-28 16:03
    상주ic498님
    글 남기실때마다 유익한 정보 주셔서 뭐라 감사의 말씀을 드려야할지
    모르겠습니다
    얼음 얼면 꼭 시도해보겠습니다
    항상 행복한 일만 가득하시길 빕니다
    잉붕 07-11-28 16:16
    퍼온글입니다.
    참고하세요.

    새우 종류는 징거미새우과·새뱅이과·가재과 등 종수가 적고 대부분은
    바닷물에서 삽니다. 이 가운데 질문자가 올리신 민물새우란 새뱅이를
    말하고 있는듯 하군요.
    새뱅이과 새우는 우리나라에 4종류가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저 있습니다.
    새뱅이의 수명은 1년 입니다. 5 - 7월에 알을 낳은 후 일제히 죽습니다.
    <새뱅이>
    몸길이 약 25mm이다. 민물새우이다. 몸빛깔은 어두운 갈색이고 윗면 가운데선에 등뼈모양 얼룩무늬가 있다. 갑각에 더듬이윗가시가 있고 눈윗가시는 없다. 갑각의 앞쪽 옆모서리는 가시모양이다. 이마뿔은 곧고 작은더듬이자루의 끝에 이르거나 지난다. 이마뿔 윗가장자리에 10∼20개, 아랫가장자리에 1∼9개의 이모양 돌기가 있다.

    꼬리마디 윗면에는 3∼5쌍의 가시가 있고 끝 가장자리에 12∼14개의 가시가 있다. 눈자루는 짧고 굵다. 제1·2 가슴다리는 집게를 갖는다. 집게의 부동지와 가동지 끝은 숟가락모양이며 가장자리에 털이 촘촘하다. 수컷의 제1 배다리의 안다리는 끝부분에서 부풀어 부채꼴이다.
    하천이나 연못·호수에 살며 5∼7월에 알을 낳는다. 한국·일본·중국에 분포한다.

    <네이버 백과사전>

    1. 징거미새우
    학명 Macrobrachium nipponense
    분류 십각목 징거미새우과
    부속지수 10개(가슴다리)
    크기 몸길이 수컷 약 9cm, 암컷 약 6cm
    생식 난생
    서식장소 바다에 가까운 하천 유역
    분포지역 한국·일본·중국·타이완
    2. 새뱅이과 [Atyidae]
    학명 Atyidae
    분류 갑각강 십각목
    종수 2속 4종(한국)
    부속지수 10개(가슴다리)
    생식 난생
    서식장소 민물
    분포지역 한국·일본·중국
    3. 가재과 [Cambaridae]
    학명 Cambaridae
    분류 갑각강 십각목
    종수 1속 2종(한국)
    생활방식 저서생활
    부속지수 10개(가슴다리)
    생식 난생
    서식장소 민물
    분포지역 전세계



    2024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