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물낚시

    · 생미끼 붕어 대물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질문 올립니다...^^

    오직붕어잡이 / 2006-10-24 12:03 / Hit : 4229 본문+댓글추천 : 0

    비가 오고 다소 바람이 많이 불어 기온이 다소 떨어진거 같습니다...

    선배 조사님들께서는 다들 건강하신지요?

    제가 영천권에 있다 보니 가을이고해서 비오기 전까지 집중적으로다가 한 소류지에 공락을 했습니다...

    다행이 턱거리 월척한수와7~9치 마리수 했습니다...

    다 선배님들의 조언을 얻은 결과인듯 싶네요...고개 숙여 감사 드립니다..^^

    다름의 아니오라 기온이 떨어지면서 수온도 조금은 떨어졌을거라 생각 됩니다..

    이럴때 포인트 선정을 어떻게해야 할까요?

    제가 아시는 분은 지금보다 조금 수심이 나오는 곳을 노려 보라고 하던데...

    메타에서 메타50권정도에서 새우로 공략을 해도 될까요??

    부족한 초보 조사가 엉뚱한 질문을 드리는건 아닌지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요즘철에 대 편성은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지...??궁굼합니다...

    선배님들의 조언 부탁 드립니다...^^

    노랑붕어 06-10-24 13:53
    네....
    기온이 떨어지고수온이 내려가면 붕어들도
    깊은 곳으로 이동을 합니다.
    먹이들도 기온이 높은 곳으로 이동을 하겠고요.
    1~1.5미터면 할만합니다.
    때론 더 깊은 곳에서도 대물낚시는 가능합니다.

    더 심도있는 내용은 2번 주자에게 바통 건네겠습니다.ㅎㅎ
    조포 06-10-24 14:52
    가을은 기온이 밤낮으로 무쌍하게 변해 포인트 잡기가 힘든 시기임에 틀림없지만 분명 대물을 노릴수 있는 최고시기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일반적인 가을철 포인트 잡는 요령(?)을 보면,

    첫째.. 수초가 밀생한 상류를 노려라.
    수초는 사계절내내 붕어의 은신처 일뿐만 아니라 먹이공급처로 붕어의 회유로가됩니다..
    가을에도 낮빛은 따뜻해서 붕어들은 수초의 경계지점에서 회유하며 휴식을 취하다가 밤이되면 수초지역에서 먹이 활동을 하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낮에 햇빛이 짱짱할때는 밤의 수온은 급격하게 떨어지지 않으니 봄, 여름과 마찬가지로 수심이 80~1m50권의 수초 지역을 노리는것이 대물을 만날 확률은 커집니다..
    그리고 붕어들이 가장 활성도가 좋은 수온이 17~20도 정도이므로 봄철(4월~5월중반)과 현재의 가을철(10월~11월초) 수온과 거의 일치합니다.. 봄철에는 대물붕어들이 산란을 위해서 "알자리"를 찾으러 연안으로 회유하는 시기이며, 가을에는 봄철과 거의 같은 수온으로 겨울철 혹한기에 대비하여 먹이활동을 위해서 연안으로 회유하는 시기라고 볼수 있습니다..이런 경우를 노리는것을 "가을특수"라고 부르는 분들도 있습니다..그만큼 대물을 만날 확률이 크다는 뜻이겠죠?

    두번째.. 주변에 수초가 없더라도 저수지의 곶부리를 노려라..
    어떤 저수지에 가더라도 다른지역보다 앞으로 튀어나온 곶부리 지역이 있습니다..
    곶부리 지역이 일급포인트가 되는 이유는 곶부리 앞쪽 수심이 일정하며 붕어들은 먹이 활동을 시작할 경우 곶부리지역을 회유로로 삼아 이동하기때문입니다.. 또한 그 지역은 붕어들이 좋아하는 토양(황토, 마사토...)으로 되어 있는 경우가 많고 새우나 다른 수서 곤충들 많이 자생하는것도 일급포인트가 되는 또 한가지 이유가됩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황토나 붉은 흙으로 덮혀진 곶부리지역을 저는 최고의 포인트로 삼고 있습니다. 반드시 하루에 한두번은 소나기입질이 이어질 수 있는 포인트이기 때문입니다..
    오직붕어잡이님이 시간적으로 여유가 있으시면 황토와 겉보리 밑밥작업을 해서 회유하는 붕어들이 곶부리주변에서 흩어지지 않고 머물게 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면 무더기 월척도 가능한 지역입니다..^^

    세번째.. 날씨가 흐리고 기온이 전날보다 많이 하락할때는 제방끝 지역을 노려라..
    날씨가 않 좋은 시기는 수초 지역보다는 제방의 양쪽끝에서 깊은 수심을 노리는 것이 다른 지역보다는 그래도 확률이 큰편입니다..흐리거나 기온이 급락할 경우 수초지역은 잔챙이 놀이터로 변해 입질은 많이 받겠지만 원하는 대물의 입질은 받아내기 어려워집니다.. 대물은 날씨와 기압에도 민감해서 기압이 저기압으로 바뀔때, 수온이 급격히 떨어질 경우에는 깊은 수심으로 은신하며 먹이 활동을 하지 않습니다..이런 경우는 새우 낚시라해서 수초지역이나 얕은 지역만 고집할것이 아니라, 2~3m이상의 급수심대를 노리는것이 오히려 좋은 결과를 가져올 수도 있습니다..

    이상은 제가 알고 있는 또한 여러 대물조사님들이 가을철에 대물을 노리는 지역입니다...
    하지만 전혀 엉뚱한곳에서도 좋은 결과가 있을 수 있고 최고의 포인트라고 생각했던곳에서도 아무런 조과가 없을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단 한가지 분명한 사실은 "가을은 대물을 만날 수 있는 연중 최고의 시기"임에 틀림없다는것입니다..

    오직붕어잡이님.. 가을에 꼭 대물하시고 안출하세요^^
    http://www.wolchuck.co.kr/img/best05.gif>
    오직붕어잡이 06-10-24 16:33
    노랑붕어님,조포님 감사 합니다...

    이렇게 상세하게 말씀해주시는 너무나 감사 드립니다...

    혹 수초말고 갈대가있는곳인데 수심이 40~50입니다...이시기에 수심이 좀 낮긴하지만 이런곳은 어떤지 궁굼합니다...

    지금 수초가 많이 싹아 내려서 맹탕으로 변할라고 해서리...^^
    조포 06-10-24 16:42
    혹 수초말고 갈대가있는곳인데 수심이 40~50입니다...이시기에 수심이 좀 낮긴하지만 이런곳은 어떤지 궁굼합니다... <===== <br/>
    === 가능은하나 물색을 봐야합니다.. 물색이 좋을 경우는 받침대를 물가에서 2~3m밖에 꽂고 갓낚시를 하시는것이 좋습니다..

    수심이 50정도면 갓낚시가 구미에 당기는데요?? 그리고 그 정도 수심은 해진후 2~3시간후에 입질이 들어올수 있고, 밝아지면

    바로 접으셔야 할껍니다... 지금 시즌이 가을이라 너무 낮은곳은 입질시간대가 짧다고 보시는것이 옳습니다.. 물색이 아무

    리 좋아도 약간의 바람에도 물색은 맑아질 수 있다는것 잊지마시고..^^
    오직붕어잡이 06-10-24 16:48
    감사 합니다...^^

    요번주에 다시 대물급 붕어를 만나려고 다시 떠납니다..^^

    조포님두 가을 왕~대물하십시요~~^^
    낚귀 06-10-24 16:49
    날이 갑자기 추워졌으나..

    이정도가 원래 가을 날씨이지 않을런지 싶습니다.

    작년 이맘때쯤은 서리도 많았던 것 같거든요.

    갑자기 추워진 것은 그날 조과에도 분명 영향은 있을 수 있다고 봅니다.

    허나 이정도의 날씨가 3일정도 전후로 유지가 되어 준다면..

    전에 잡으셨던 포인트 위주로 보셔도 됩니다.

    물론 갑자기 날씨가 추워져 조금한 수온 변화에도 민감한 붕어에게 한발짝 더 다가가려면..

    수심에 따른 포인트 선택도 중요하겠지만...

    그 정도가 지속되어진다면...지금 생각하시는 곳의 포인트와도 크게 영향은 없으실 듯 싶습니다.

    허접한 댓글이라 지송합니다.
    유토피아 06-10-24 17:23
    안녕 하세요 오직 붕어잡이님

    먼저 월척 하신것을 축하 드립니다. 역시 열심히 하시니 결과는 꼭 따라주네요

    오래 간만에 대구 경북지역에 가을단비가 내려 가을농가에나 저수위를 유지하던 저수지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리라 생각합니다

    몇 일전 부터 이번 비가 낚시에 주는 영향에 대해서 얘기를 질문이나 답으로 많은 정보들이 오갔읍니다

    이번 비로 외부온도가 비오기전보다 제법 내려갔고 바람도 북동풍이 불어와 아마도 물속수온도

    조금은 더 떨어졌다고 보지만, 글쎄요 낚시하는데는 그다지 큰 지장은.....

    이러한때 외부기온이 떨어지면 상류(수심이낮은지역)에도 그영향이 받아 수온이 전보다는 낮아지게 되고,

    따라서 낮아진 외부기온의 영향을 덜받는 수심이 깊은 곳은 상류보다는 높은 수온을 유지하게 되는데

    이때 붕어들은 안정적인 (수심이 깊은 )곳으로 이동을 하게 보통은 알고 있읍니다

    그래서 위에 조포님 께서 말씀하신 상류권에서 가끔 큰고기에 쫒긴 잔고기들이 많아 잔고기입질을 많이

    만나게 되는 원인도 그 중에 하나일수도있읍니다 .

    하지만, 저수지에는 물돌이(대류현상)가 하루중 한두번정도는 이 시기라도 일어납니다, 따뜻한 물은 윗쪽으로

    차가운물은 아랬쪽으로 흐르는 물이동 현상이 바로 그것인데 이때가 상류쪽에서 좋은 입질받을 확률이 높다는데

    있읍니다

    저 개인적인 생각입니다만, 수심이 나오는 중하류보다는 상류권수초대가 아직(지금시기)까지는 더 마음이 갑니다

    추상적으로 생각해봐도 수온의 하락으로 깊이 들어간 고기가 많은 움직임보다는 적게움직여 먹이 활동이 오히려


    더 적어질수 있겠다고 생각하며 , 우리가 바다낚시를 할때도 조류가 움직이면 먹는다는 말이 있지요

    물의 움직임에 따라 포식활동에 영향을 주는 것은 바다나 저수지에서나 별반 차이가 없다는 것을 알수가

    있지만, 때론 상대가 자연이다보니 쉽게 단언하지는 못하지만, 아뭏든 저의 생각은 아직까지는 상류쪽으로 아직은

    무게를 더두는 게 저 갠적인 의견입니다

    제가 상류의 수초대를 말 하는 이유는 수초는 보온 역할을 하며 수초주변을 보면 얼음이 언다해도 가장늦게

    얼며 봄이되어 녹을때도 가장먼저 녹는 것을 보았을때 수초가 없는 곳 보다는 있는곳이 더 따뜻하다는 걸

    알수가 있고 아직은 상류가 더군다나 아직은 냉수대에 들지 않았다 생각 되므로 이번 비로 인한 그다지 큰영향은

    없다고 보며 물론 내일까지는 약간의 북동풍이 분다고하지만, 모레부터는 좋은 날씨가 이뤄진다니 이번주말에

    는 오히려 더 좋은 예감이 드네요.
    http://www.wolchuck.co.kr/img/best05.gif>
    기리지 06-10-24 20:13
    추워죽겠심더... 갑자기 하강한 날씨 땜시 붕어들은 몸을 움츠린듯 안나오네요.
    2~3후 부터 본격적인 대물이 나오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월척도 좋치만.... 단독 수초군을 형성한 곳에서 4짜 나오길 쪼아 볼랍니다. 수심은 저도 50에서 80정도 나오던데.... 새벽 4시정도에 올꺼 같은 예감이 들어서리...ㅋㅋ
    월척님들 안출하십시요..
    조포 06-10-24 21:05
    역시 유토피아님 대단하신 댓글입니다...^^

    항상 저도 많이 읽고 배우고 있습니다...
    오직붕어잡이 06-10-24 21:07
    낚귀님,유토피아님,기리지님 모두 감사 드립니다...^^

    조은 지식 대물지식 주셔서 감사 합니다..많은걸 배웁니다..^^

    이제 점점 겨울이 다가 오는데 왕~대물하시고 감기 조심하십시요~^^

    아~!그리고 저는 왠만하면 겉보리를 뿌리지 않는데 요번 출조때는 한번 뿌려 볼려 합니다...

    호우4~5시쯤 저수에 도착할꺼 같은데 그때 겉보리를 뿌려도 효능이 잇은지요?

    아님 하루 전날 뿌려 두는것이 좋을지...?궁굼합니다...
    조포 06-10-24 21:12
    겉보리는 붕어를 모으는것이 아니라 붕어가 좋아하는 새우나 참붕어 납자루등을 겉보리 근처에 모이게해서, 저녁시간이나 새벽에 회유하는 붕어들이 먹이감이 모여있는 겉보리 근처로 먹이 활동을 나서게됩니다... 겉보리 근처에 붕어가 나타나면 아주 빠른속도로 새우나 참붕어는 사라지고 바늘에 매달려 있는 새우를 붕어가 공격해서 입질이 나타나게 됩니다...

    겉보리 작업은 필수가 아니라 선택입니다...
    저의 경우도 토요일 새벽에 들어가서 일요일 아침까지 낚시를 할경우, 토요일 점심(12시)경에 조용하게 겉보리를 뿌려줍니다...
    토요일 근무가 있어서 오후에 들어가는 경우는 밑밥(겉보리)을 뿌리지 않습니다..
    물론 밑밥작업을 하면 확률은 더 커지겠지만, 오후 늦게 들어가서 겉보리 작업을하면 타 조사님들에게 방해가 될 뿐더라 제가 귀찮아서 하질 않습니다..

    겉보리를 낮에 작업하면 보통은 저녁때나 다음날 새벽까지 겉보리 근처에는 새우나 다른 수생 생물이 남아있게되어서 효과가 있겠죠? 떡밥류와는 달리 겉보리는 쉬 사라지지 않고 그자리에 오랜시간 남아있습니다... 단, 피라미가 너무 극성 인곳은 순식간에 겉보리도 사라지니 피라미, 참붕어가 많은 저수지는 효과를 거의 보진 못합니다..

    정통 낚시는 없으나, 새우를 사용하시는 분이라면 대물 회유로나 상류 수초지역에서 조용히 대물이 올때까지 기다리다, 하루밤 한번의 입질으로도 만족하고 다시 조용히 잡은 고기는 돌려보내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낚시는 못하나 입으론 매일 낚시터에 있는, 말만 많은 조포가 주저리 주저리 썼습니다
    ====> 지송합니당... 예전에 제가 올린글인데 도움이 될까해서 복사해서 올렸습니다...^&^
    오직붕어잡이 06-10-24 21:25
    감사 합니다,,조포님 항상 저의 질문에 이렇게 상세히 말씀해 주셔서...^^

    초보인 제가 많은 도움을 얻습니다...감사 합니다..
    백번김구운 06-10-25 00:17
    오홋 제가매번궁금해하던 질문을 해주시니 너무나 감사드립니다 좋은 답변주신님들과 좋은질문해주신님 정말감사합니다



    2024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