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물낚시

    · 생미끼 붕어 대물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얼음낚시 찌맞춤?

    수문장 / 2009-01-09 12:11 / Hit : 6048 본문+댓글추천 : 0

    안녕하세요.

    얼음낚시 찌맞춤에 궁금한점을 문의 드립니다.

    얼음낚시를 할대 어떠한 찌맞춤을 하시나요~

    무거운찌맞춤을 하는 조사님들도 계시고 또는 0점 지맞춤을 하시거나 가벼운 찌맞춤을 하시는

    조사님들등.. 다양한 찌맞춤을 하시는것 같습니다.

    얼음낚시를 할경우 대부분 맨바닥 보다는 부들사이사이를 포인트로 정하는 경우가 많은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물론 현장 상황에 맞는 찌맞춤이 제일 이상적인 찌맞춤이겠지만...

    월척 회원님들의 조력과 노하우를 토대로 어떠한 찌맞춤이 제일 이상적인지 궁금합니다.

    저수지풍경 09-01-09 12:45
    가벼운 찌맞춤이 찌올림이 좋아서 가급적 영점 찌맞춤합니다.

    바닥 말풀로 내리기 힘든경우나 수심이 깊은경우.... 편납을 조금 더 감아사용하고

    기본.... 고패질시 툭툭 바닥과 부딧치며 나는 소음도 작을것이고...... 천천히 입수하는 찌톱모습도 안정되보이는.....
    공룡알 09-01-09 13:24
    수평 굿
    pgapark 09-01-09 13:39
    우선 지렁이 낚시을하는냐 떡밥 낚시을 하는냐에 따라서 찌맞춤하여야 합니다

    보편적으로 지렁이 낚시는 수평맞춤을 하여도 좋고 약간 무겁게 쓰셔도 좋습니다

    하지만 떡밥 낚시는 혹 구르텐 낚시는 아마 입질이 미약한 상황에서

    사용하면 정말 예민 하게 하셔야 입질을 볼수 있을것 같습니다

    예로 작년에 예당지 어름낚시에서 구르텐 으로 낚시하는데 거이 마이나스 맞춤으로

    해서 입질을 봐습니다~~~
    붕어선수 09-01-09 14:42
    몇일전에도 간단히 말씀 드렸습니다만......

    찌맞춤은 현장상황과 대상어에 따라 약간 다릅니다

    토종붕어를 대상으로 할때는 수평이 좋습니다
    지렁이를 주로 사용 하신다면 약간은 무겁게 할때가 유리할때가 많습니다
    일정시간 입질이 없을때 약간의 고패질도 해주어야 하지만 안정적인 입질을 받으시려면 가벼운 찌맞춤보다는
    약간 무겁게 해보세요
    그리고 입질의 패턴에 따라 약간씩 조절하시면 됩니다

    떡붕어가 많은곳이라면 기본적인 예민한 찌맞춤이 좋습니다

    다만, 찌맞춤도 중요하지만 채비도 중요 합니다

    아시다시피 동절기 입니다
    입질패턴이 하절기에 비해 예민 합니다

    원줄도 과감하게 1호까지 낮추어 주시면 좋고 찌도 카본재질에 찌탑이 가늘수록 좋습니다
    바늘 또한 기존보다1-2호 적은 것을 사용하는것이 유리하구요

    모든 채비는 하절기에 비해 약하다고 생각될 정도로 하시면 입질시 유리합니다

    채비가 약해서 터지는일은 거의 없습니다
    활동량이 적은 관계로 하절기에 비해 힘을 약하게 쓰기 때문 입니다

    선택의 여지가 있으시면 사람이 많은곳은 아무래도 조황이 떨어집니다
    그리고 빙질이 깨끗할수록 유리합니다
    얼음위에 눈이 덮혀 있거나 산이 가로막아 햇빛이 빨리 차단되는곳 또한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마지막으로 안전사고 유의하셔야 합니다
    현장 도착후 제일먼저 빙질상태 확인하시고 안전을 확인후 낚시를 하셔야 합니다
    가끔 목격하는데 빙판위에서 미끄러지거나 얼음이 깨지면 상당히 위험하거든요

    건강관리에 유의 하시고 즐거운 얼음낚시 하시길 기원드립니다

    제가 하는 기준으로 말씀 드렸는데 가장 기초적인 정보 입니다
    좀더 좋은 정보 노하우는 고수님들께 패스 입니다.... ^^*
    붕어똘이 09-01-09 15:30
    제가 작년에 경험한바로는 가벼운 찌맞춤이 나을듯 십습니다. 한번은 바늘,낮케미달고 케미꽃이 하단에 맞춘찌를 가지고
    갔는데 마침 낮케미를 안가지고가 수심맞추는데 상당히어려움을 격었습니다. 지렁이로 수심을 겨우맞추고 낚시를 하는데
    대박터트렸습니다. 물론 그때그때 입질이 다르겠지만 저의 경험으로 볼때는 가벼운 찌맞춤이 좋을듯합니다.
    잠깐바리 09-01-09 15:54
    실제 얼음/겨울낚시를 해보면..입질 나타나는것이 2~3미리가 겨우 움직입니다.
    미세한 입질로 나타나기 때문에..찌맞춤도 0또는(-)로 맞춤하시는 것이 좋을듯
    대편성도 많으면 4대.. 적게는 2대 정도..

    안출하세여~
    일동맨 09-01-09 17:56
    저는 얼음낚시시 대물 스기목 찌 맞춤 하듯히 수조에서 서서히 가라않는 찌맞춤을 합니다..

    가벼운 찌맞춤을 사용 하였으나 바닥 안착이 용이치 않고 간혹 중층 낚시를 하는등...

    깊은 수심층을 공략하는 경우도 많은데 서서히 안착 되는 찌맞춤을 하여도 토종 붕어는 좋은 입질 패턴을 보여 주더군요...

    단 동절기에는 빠는 일집 유형이 많고 한두마디 올리는 입질이 많이 있으니 챔질 타이밍을 빨리 찾는것이 중요 하다는

    지극히 주관적인 제 생각 입니다...^^*

    보니 한두마디 올리고 한마디 정도 더올리면 무조건 챔질확률 90%는 되ㅡ는듯 합니다..^^*
    수문장 09-01-09 19:11
    월척님들의 노하우와 정보 감사드립니다.
    대체적으로 약간은 가벼운 찌맞춤이 좋을것같다는 의견과 정보의 말씀 진심으로 감사를 드립니다.
    내일 새벽 사성수로에 가서 월척님들께서 알려주신 귀한 정보로 이뿐 붕순이 만나보고싶네요 *^^*
    혹 만나지 못하여도 서운한 마음은 없습니다. ㅋㅋ 다음에 다시 가면 되니까요~~*^^*

    월척님들의 출조에 항상 안전과 행복이 함께하시길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
    케이비 09-01-09 19:28
    정해진 정석은 따로 없는것 같습니다
    상황에 따라서 봉돌 무게도 가감이 필요한것 같습니다
    맨바닥(수평 맞춤) 상류 수초 (무게를 줘야 안착 합니다)
    제방권(수심이 깊어 한단계 낮은 원줄을 사용하고 봉돌은 편납을 무리할 정도로 감아줘야 헛챔질이 줄어듭니다)
    이상 제경험 보고입니다.
    통삼봉 09-01-09 21:05
    나는요
    대물낚시하던그채비[원줄5호]에다가
    바늘만 작은걸로 바꿔서 지롱이한두마라달아서 얼음구명에넣어도 찌만 잘올라 옵디다.
    찌 올리고 끌고가는거는 붕어맘이요.
    디따리 09-01-09 21:43
    수문장님~

    화이팅을 기원 합니다

    담주쯤에 지인이 사성이나 출포리로 간데요

    다녀 오시고 정보 부탁 드립니다^^

    안출 하시구요~~~
    찌의매력 09-01-10 14:43
    저같은 경우는
    원줄 = 1-2호
    바늘 = 6-7호
    목줄 = 1호
    낚시대 = 2대 (떡밥낚시)
    생미끼낚시에서는
    원줄=3호 (카본)
    목줄=2호

    찌는 케미고무 미부착.
    케미고무를 끼게 되면 살얼음이 케미고무에 얼어 붙어 찌가 무거워짐.

    모란지=구루텐(딸기)
    강포지 = 떡밥
    소류지에서는 =지렁이.
    남양호 = (텐트 밤낚시) 밀루텐.

    이상
    찌의매력 09-01-10 17:41
    아/

    지맞춤은
    바늘까지 달고 . 수평입니다.
    상황에 따라 찌톱 1마디 나오게도 맞추고요.
    참고하세요/
    여유롭게 09-01-11 19:15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수문장 09-01-11 20:08
    얼음낚시의 찌맞춤에 대한 월척님들의 귀하고 친절한 말씀에 다시한번 감사드립니다.

    지난 토요일 사성2번수로로 다녀왔습니다.

    날씨가 너무 춥고 새찬바람이 불어서 인지는 모르겠지만 이렇다할 입질이 없었습니다.

    출조하신 조사님들도 많이 계셨는데... 붕순이는 보이지 않더군요~~ *^^*

    이번 출조에서는 어떠한 입질과 찌올림을 보지 못했네요 ㅎㅎ

    월척님들의 귀한 정보를 바탕으로 좀더 공부를 해야겠습니다. *^^*

    언제나 즐겁고 멋진 추억이 남는 출조길 되시길 바랍니다. *^^*

    감사합니다.



    2024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