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물낚시

    · 생미끼 붕어 대물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바늘 목 길이에 따른 차이점~?

    붕심도교주 / 2009-06-14 20:20 / Hit : 4107 본문+댓글추천 : 0

    항상 안출하시고 어복 충만하시길 바랍니다~(_ _)

    다름이 아니오라 아직 더배워야 할것이 많아 이렇게 선배님들꼐 여쭈어 봅니다~^^

    여태 저는 지누5호~7호를 많이 써왔습니다.

    바늘이 굵고 굉장히 강한 바늘만을 골라서 써왔지요..

    이번에 채비를 교체하다 바늘 목 길이에 따른 차이점이 궁금해졌습니다.

    제 채비를 자세히 보니 목길이가 짧은것과 긴것이 섞여있더라구요.

    바늘 목 길이에 따라 미끼 타입이 어떻게 틀려지는지..

    바늘 목 길이에 따른 장단점이 어떠한것이 있는지..

    저는 미끼를 골고루 사용하는 편입니다.

    새우는 기본이며 콩..옥수수..참붕어를 두루 쓰는 편입니다.

    궁금한것이 늘다보니 고민할것 하나 더 느네요~^^

    선배님들의 조언 부탁드리겠습니다..좋은 휴일 저녁 보내십시요~(_ _)

    jazz 09-06-15 00:43
    저같은 경우엔 목줄은 카본4호줄에 감생이 4~5호 선호하구요..

    예신에 좀더 긴장감을 주기위해 길이는 15쎈 정도로 합니다..

    길이가 길면 긴장감이 더 할것 같다는 생각에서 입니다..^&^
    조디조사 09-06-15 03:45
    저는 7센치정도 줍니다...

    빠른 예신을 확인하기 위해 짧게 줍니다...

    본신으로 오기전에 챔질준비 합니다...
    피싱홀릭 09-06-15 10:02
    붕심도교주님 말씀은 바늘의 목 길이을 말하는것 같읍니다.
    목줄 길이에 따른 차이점은 윗분들 댓글처럼 장단점이 있으나 바늘 목길이에 따른 차이점은 저도 궁금..
    아시는분들의 리플을 저도 기다려 봅니다.
    새벽여명 09-06-15 11:28
    바늘의 목이 길면 바늘 묶을때 편하다외에 장점은? 궁금...
    vega201 09-06-15 11:48
    일요낚시에서 보니깐 지렁이같은 생미끼엔 7~10으로 짧게 주고 옥수수같은 식물성 미끼엔 15센티정도 준다고 하더군요....
    지렁이 같은 경우엔 먹이는 취이하는데 시간이 짧아 예신을 빨리 보기 위함이고 옥수수같은 경우엔 시간이 좀 걸려서 길게 준다고 본거 같은디...물론 저는 걍 대강 씁니다..어차피 안 잡혀 ㅠㅜ;;
    야채발이 09-06-15 12:17
    대체나 궁금하네요
    연지황금붕어 09-06-15 12:55
    10센치 정도로 걍~ 사용합니다~~

    많이 생각하면 머리가 아픕니다~~^^
    새벽여명 09-06-15 13:10
    에혀...저도 궁금해서 자꾸 보게되는데요...

    원 질문자의 질문은 "목줄의 길이"가 아닙니다.

    바늘의 목.....즉, ":바늘 묶을때 케블라 목줄이 감기는 부분의 길고 짧고에 대한 장단점입니다."

    궁금합니다.
    김부장님 09-06-15 16:21
    7센치 사용 합니다 그게 잴 맘에 듭니다그냥요 ~
    돌돌치기 09-06-15 17:06
    바다낚시를 할 때 보면,

    학공치처럼 완전히 삼키는 것을 싫어하면 긴목바늘을 쓰고,
    벵에돔처럼 입질이 약은 놈은 아주 짧은 목을 가진 바늘을 쓰더군요.

    우리가 주로 쓰는 망상어바늘이 민물에서는 붕어바늘이지요.
    상당히 약은 입질과 순식간에 가져가는 입질을 하는 경우도 있지요.

    무난하더군요.

    그리고, 지누바늘은 감성돔바늘이거든요.
    역시 무난해요...
    만강 09-06-15 17:45
    작년에 한번 바늘에 대해서 댓글을 달았던 기억이 있는데,

    현재 붕어 바늘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바늘은 다나꼬 바늘입니다.

    바다의 망상어를 잡을때사용되는 바늘로 바늘의 허리가 조금 길고 바늘 끝부분이 직선형을 띄고 있으며

    옆으로 살짝 비틀림이 있지요. 고기가 바늘에 쉽게 걸리기 위함입니다.

    잉어바늘로는 이두메지나 바늘을 많이 사용했습니다.

    이바늘은 허리가 조금 짧고 굵으며 끝부분이 안쪽으로 약간 휘어져 있지요.

    대물을 걸었을때 쉽게 빠져나가지 못하게 생긴 구조라고 할 수 있습니다.

    요즘 대물낚시용으로 많이 사용하는 지누(감성돔)바늘과 많이 닮았습니다.

    허리가 가장 짧은 것은 벵에돔 바늘(구레)입니다.

    미약한 입질이나 뱉어 낼때 쉽게 걸리게 끔 생겼지요.

    허리가 가장 긴 것은 농어바늘입니다.

    농어는 육식성이 강한 어종인 만큼 미끼를 단숨에 흡입하는 타입이라 입속 갚이 바늘이 들어가지요.

    바늘은 어종의 먹이 취이습성과 구강구조에 맞게끔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습니다.

    미흡하지만 조금 도움이 되셨나 모르겠네요^^

    혹시 제가 알고있는 상식이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님들께서 지적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항상 건강하시고 안출하세요*^^*
    붕심도교주 09-06-15 18:05
    제 질문은 바늘의 목..목줄의 길이가 아닌 바늘의 목 길이를 여쭈어 본것입니다.
    제가 글을 잘못 썼나봅니다~^^;

    오해의 여지를 두어 죄송합니다~(_ _)
    업순이69 09-06-15 20:40
    목이라 해서 우리님들이 헷갈리셧나 봅니다

    아마 바늘 허리 를 목이라 말씀 하신것 같네요

    허리가 길면 강한 챔질에 펴질 확률이 높겠죠

    전 허리가 짧은 돌돔 바늘 11호 쓰고있습니다
    바랑 09-06-18 15:56
    새우나 참붕어 등 생미끼 대물낚시라면 바늘 목의 길이는 전혀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그냥 편하게 쓰시길 권장합니다. 새우 꼬리꿰기라면 목이 긴게 오히려 유리하더군요.
    그러나 지렁이 떡밥 등을 활용한 마릿수 위주의 잔 낚시라면 목이 길고 너무 굵은 바늘은
    어느정도 입질에 부담이 될 수도 있겠지요.

    대물입질은 디지털이 아닙니다. 낚시인들이 그렇게 예민하게 만들어 갈 뿐...
    대물은 아날로그입니다. 우리가 생각한 것보다 훨씬 힘이 있고 섭이에 대한 예지력 또한 상상 이상입니다.

    ex) 대형수족관 속에 있는 월척급 붕어의 먹이활동을 보셨나요?
    엄지손가락 이상의 돌맹이를 쉽게 빨아 올렸다 내렸다 하지요.
    바늘의 목 길이나 크기의 논쟁은 사실상 무의미합니다.
    즐낚을 기원합니다.



    2024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