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물낚시

    · 생미끼 붕어 대물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붕애활성도가 좋은 수온은?

    바람난지렁이 / 2009-08-14 11:28 / Hit : 4214 본문+댓글추천 : 0

    월님들 더운 날씨 일사병, 열사병 조심하세요.
    적절한 수분섭취와 파라솔 설치는 여러분의 건강에 많은 도움이 됩니다.
    열기가 심할때는 붕애도 움직이지 않으니 시원한 그늘에서 낮잠한판 하심이~~~

    여기서 갑자기 궁금증이 발동하네요.
    이렇게 사람도 활동하기 좋은 온도가 있듯이 붕애도 분명이 활성도가 좋아지는 수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붕애는 어느정도의 수온에 가장 활성도가 좋은가요???

    1. 절도온도 : 그냥 주위 환경의 온도 때문에 수온이 올라가던 내려가던 상관없이 어느 정도 수온이 되면 활성도가 좋아진다. 그럼 어느정도의 수온인지?
    2. 상대온도 : 저수온기에는 아주 차갑다가 어느정도 수온이 오르면 절대온도에 상관없이 활성도가 좋아진다.
    고수온기도 저수온기처럼 아주 수온이 올라갔다 어느 정도 수온이 내려가 가장 활성도 좋은 절대수온가 되지 않아도 활성도가 좋아진다.

    1번의 경우라면 아주 더운 여름이나 아주 추운 겨울에는 거의 낚시를 접어야 되는 것같구요.
    2번과 같은 경우라면 수온의 변화가 생기는 시간에는 쪼아볼만한 것 같은데요. 나머지 시간은 체력보충???

    님들의 생각은 어떠한가요???


    PS: 일사병과 열사병의 차이와 응급처치입니다.(일사병 환자를 열사병 처치로 또는 열사병 환자를 일사병 처리로 응급조치를 하면 많은 위험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전문 의료기관 및 의사, 응급구조사등 전문인의 상담 및 교육을 받은 후 조치하시기 바랍니다. 각 지역 응급구조센터는 1339번입니다.) 최고는 예방입니다.

    일사병 : 두부나 경부(頸部)에 오랜 시간 직사일광을 받아 발병하는 병증.
    속이 메스껍다가 몇분 안에 쓰러진다. 뇌의 체온조절중추의 기능장애로 고열을 동반한다. 이때에는 우선 환자를 시원한 곳으로 옮기고 겉옷을 모두 벗긴 후 젖은 천으로 환자를 덮고 젖은 천에 계속 물을 뿌려 환자의 체온을 저하시켜 38℃까지 떨어지면 젖은 천을 마른 천으로 바꾸어 덮어주고 체온이 다시 오르면 체온을 떨어뜨리는 처치를 반복해 실시한다. 환자가 의식이 없으면 호흡, 맥박을 체크하고 속히 병원으로 이송한다.

    열사병 : 체내의 열이 급격하게 올라 가는 병증
    열사병과 고온증은 동의어로서 사용되고 있으며 또한 일사병도 비슷한 질병이다. 일사병은 본래 아주 더운 날씨에 햇빛의 직사광선을 머리에 받아 나타나는 뇌질환으로 원칙적으로 체온상승을 수반하지 않으며, 열사병은 일광의 조사를 받지 않은데도 불구하고 체온의 과상승이 있으며 그것은 주로 과열, 과로 및 체온의 발산이 저해될 때 나타나는 질환이다. 그러나 일사병과 비슷한 것이 열사병증상으로 변하는 경우도 있으며 실제 두 질병의 구분은 곤란한 경우가 많다.

    시랑 09-08-14 14:58
    바람난지렁이님 안녕하세요?

    물은 비열이 놓아서 생각보다는 쉽게 온도가 올라가거나 내려가니 않습니다.
    물론 얕은 곳은 온도 변화가 많겠지만 깊은 곳은 생각보다는 변화가 심하지 않습니다.
    어느 곳에서 읽은 붕어에 관한 이야기를 말씀드리면 적정 수온은 17도(?)-24도(?) 정도로 알고 있습니다. 정확하지는 않습니다. 기억이라서.......

    겨울에 온천수가 흘러내리는 곳에서 붕어낚시하는 경우를 보았고 우리가 익히 알고있는 새물찬스도 역시 마찬가지겠지요(상대적이 온도변화)

    1번의 경우도 낮에는 깊은 수심에서 밤에는 얕은 수심에서 낚시가 가능합니다.(적정수온 비슷하게 되므로)

    붕어낚시는 일년내내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즐기는 낚시 하십시요.
    대야리뻥 09-08-14 15:04
    붕어의 먹이활동은 대개 8도-25도 사이에서 이루어진다고 알려져있습니다.

    또한 18-20도 내외의 수온이 활성도가 가장 좋다고 하며, 봄에 이 정도의 수온이 되면 산란이 이루어진다고 합니다.

    이상은 절대수온에 관한 표현입니다.

    상대수온은 수온의 변화에 따른 표현이지 수치가 아닙니다.

    즉 겨울철 어제의 수온이 5도였는데 오늘 7도가 되었다면 상대수온이 7도로서 2도가 오른 것입니다.

    생각보다 붕어는 상대수온에 민감하여 먹이활동이 없을 것 같은 겨울철에도 상대수온 등의 조건에 맞춰 저수온기에도 먹이활동

    을 합니다.

    요즘처럼 고수온기에도 마찬가지로 상대수온은 활성도에 엄청난 영향을 미칩니다.

    출조가서 수온계를 넣고 수온을 측정하면 그것은 절대수온이므로 설사 오늘은 수온도 적당하여 좀 되겠지 싶어도 안되는 경우가

    있는데 상대수온의 영향일 수도 있습니다. 물론 수온뿐 아니라 기압, 배수, 일조량, 인력 등 여러가지 요소가 복합되어 붕어의 먹

    먹이활동을 결정하겠지요.
    대야리뻥 09-08-14 15:09
    덧붙이면 갑작스러운 수온의 변화는 경험상 안 좋은 것 같습니다.

    겨울철 매우 춥다가 햇살이 비추는 날부터 2-3일 후 상대수온이 안정될 때 입질받을 확률이 높았습니다.
    새벽여명 09-08-14 15:34
    붕어 생체리듬을 어찌 알겠습니까마는 통상적으로 붕어 활성도를 높이는 최적의

    온도는 섭씨 18-20도로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것은 일반적인 이야기이고, 땡볕이 내리 쬐는 한여름의 한낮에도 입질을 하는 것을 보면

    꼭 그 수온만은 아닌것 같습니다.

    일교차가 심한 봄가을에는 새벽보다는 저녁시간과 이른 아침시간대에 잦은 입질을 보면

    18-20도의 수온이 맞을때도 있습니다.

    이거 머 쓰다보니 이렇습니다...가 아니라 더 혼란을 드린건 아닌지 모르겠습니다.

    그냥 참고하세요.
    Rod 09-08-14 16:38
    다른건 모르겠으나 일반적 빈작일때 빼고 대박날때 그것도 덩어리 대박날때 공통으로 느끼는것은
    두근두근하면서 흐뭇하게 덩어리들 송에 움켜 잡을때 보면 고기가 따뜻한 느낌을 받습니다.
    한여름에도 새벽 두시 세시 되면 제법 쌀쌀 해집니다.
    추워서 장작불이라도 지필까 주위 장작 줍다가 대 놓친일도 몇번 있는데...
    꼭 그타임에 물안개가 서서히 피어 오르고... 저수지에 대류현상이 생긴다는것도 느낍니다.
    그타임에 보면 차갑던 물도 미지근 해지고 따뜻하단 느낌을 받습니다.

    그때 소나기 입질을 많이 받구요.

    수온체크를 수치로 체크해 보지 않아서 모르겠지만 20~25 사이가 그나마 제일 활발한 수온 아닐까 봅니다.
    입증되지 않은 제 생각입니다.
    - 항상 안출하시고 어복충만 하세요 -
    송혜교 09-08-14 17:03
    18도 정도가 아닐까요.

    1.절대온도 : 겨울에서 봄으로 넘어가면서 냉수대에서 18도쪽으로 갈수록 입질받기가 쉬운것같구요.
    여름에서 가을로 넘어가면서는 온수대에서 18도 쪽으로 가까이 갈수록 입질받기가 쉽다고 그러는것 같읍니다.
    고로 붕어는 18도를 향해 나아가는것 같읍니다.


    2.상대온도 : 이경우는 물온도가 몇도인지는 중요한게 아닌것 같읍니다.
    예를 들어 18도 적정온도가 계속되다가 15도로 떨어지거나 20도 이상 오를경우인데요.
    이런경우는 3일정도가 지나면 정상적인 먹이활동을 하는 것 같읍니다.

    저도 귀동냥으로 들은예기라서 틀려도 너그러이 용서해주시길^^
    석천공 09-08-14 18:31
    전자수온계로 전선을 좀 길게해서 끝에 봉돌을 연결해 물속에 넣고
    수온계를
    뒷꽂이에 걸어놓고 살펴보면
    수심 5~60에서 수시로 수온을 살펴보면...
    수온의 편차가 + - 5도 ( 봄 , 가을 날 좋을때 )로
    시시각각 수시로 변하더라구요...
    근데 수온이 계속 조금씩 낮아질때는
    입질 뚝.....
    수온이 계속 상승중일때는 입질오는 타임....
    수온이 계속 내려갈때는
    커피타임, 아님 밥먹던지.....
    아님 옆 마실로 구경^^
    역시나 09-08-14 18:44
    절대온도 이런건 모릅니다 . 다만 제가겪은바로는 저수온기에는 물안개피어오르는시점이피크타임이고 요즘같은시기에는 이슬이많이내릴때가 가장 좋았던기억이네요...
    합천 09-08-15 01:49
    우와~~~~~~~!!!!!

    이것은 붕어연구소입니다~~ㅎㅎ

    여러 좋은 글도 있지만 ~바지"님~~~ㅎㅎ

    저의 답변은~~ 춤든 덥든~~ 지가하고픈대로 하는 붕어맴입니다~~ㅋㅋ

    이론은 붕어의 습성에 따라 정의한것이지만~~

    꼭! 정의대로만은 아닙니다~

    그날의 여러 환경에따라 다르지요~

    그것은 꾼만의 느낌으로 진행하는것입니다~

    거것도 꾼만의 느낌으로 조과를 정의할수 없구요~~

    밤늦게 몇자 적고 갑니다*^^*
    ks코뿔소 09-08-16 11:04
    매일 공부만하고가네요 ...................................
    인생머있냐 09-08-16 12:17
    위에 월님 말씀에 항상 공감하고있는 초보조사입니다..
    하나 또 배웠네요..^^
    총알탄사나이 09-08-17 00:51
    몰랐던 정보 감사합니다~



    2024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