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황문의

· 커뮤니티 자유게시판으로 통합될 예정입니다
· 자유게시판를 이용해주시기 바랍니다.

포항에 계신분께 낚시터 소개 부탁드립니다.

업무차 포항에 장기간 ........ 저녁(7-11시)에 바람도 쐴겸 낚시대를 담글만한 곳을 알고 계시면 부탁드립니다. 바다낚시도 좋아하지만 붕어낚시에 매료되어 바다 출조는 안한지가 일년이 지났습니다. 포항 시내에서 30-40십분 거리면 더 할나위없이 좋겠습니다. 흥해에 위치(근처에 숙박시설)한 곳에 갔다가 말뚝. 청소는 습관, 캐치 앤 릴리즈를 하지만 손맛 한번정도만 볼 수 있는 곳이면 만족합니다. [이 게시물은 운영자님에 의해 2009-06-18 18:31:40 낚시터 소개에서 이동 되었습니다]

해장님 반갑습니다~

오래만에 뵙는군요 언제 호촌서 함 뵙올날을 기다리면서~

498하세요~
반가버요 물안개와해장님!

산골붕어님 포항 계신데

연락한번 해보세요.
잘 계시지요.물안개와해장님!

틈나면 울산에 한번 들러 주십시요.

해장에 소주한잔 쏘겠습니다.^^


>>>대평지<<< <br/>
포항 흥해읍 대평지는 늦가을부터 이듬해 봄까지 시즌을 맞는 평지형 저수지다.
대평지는 여타 저수지보다 다른 습성을 지니고 있다.
대체로 저수지를 만들 때에는 계곡을 끼든가 아니면 작은 도랑을 막아 저수지로 만들어 활용한다.
반면 대평지는 농경지 한가운데 특별한 수원지 없이 만들었기 때문이다. 담수는 빗물이 전부다.
하늘에 맡겨야 하는 상황이기에 장마기 이외 농번기때는 바닥을 드러낼 만큼 심한 갈수를 보이기 일쑤다.
게다가 배수문을 수시로 여닫는 바람에 수위변동이 심하다.
그래서 여름철에는 거의 낚시가 이루어지지 않고 추수가 끝난 늦가을부터 본격낚시가 이루어진다.
상류쪽에는 갈대와 부들 수초대로 빼곡하다. 하류권에는 석축으로 자라난 갈대이외 수면위로 드러난 수초대는 없다.
하지만 바닥에는 줄풀 등의 침수수초대로 빼곡히 깔려 있다. 포인트는 전역이다.
늦가을에는 제방권으로 자리하면 잦은 입질을 받을 수 있고 기온이 떨어지면 다양한 수초대로 빼곡한 상류쪽으로 옮기면 좋다. 낚싯대는 긴대에서 짧은대까지 두루 사용된다.
단 포인트에 따라 긴대 또는 짧은대가 먹힌다.
긴대는 하류쪽에서 유리하고 짧은 대는 상류권으로 노려야 기대 이상의 튼실한 조황을 보장 받는다.
상류권은 씨알은 물론 마릿수조황도 뛰어나지만 하류권은 중척급 씨알로 살림망을 채우는 경우가 많다.
제방우측 연안은 북서풍을 등지면 채비를 드리울 수 있는 곳이다.
마릿수조황은 기대하기 어렵지만 20cm급 이상의 탱글탱글한 붕어로 재미를 볼 수 있다.
수심은 하류에서 상류까지 3칸 기준 1m정도로 고르다. 단 최상류 지역은 50cm미만으로 들쭉날쭉한 수심을 보인다.
미끼는 지렁이나 떡밥이 좋다.
지렁이를 꿸 때는 짧은 대로 수초대 주변으로 집중 공략해야 빠른 어신을 받을 수 있고 긴대에는 떡밥미기가 통한다.
떡밥은 찰지게 개는 것보다 약간 묽게 해야 하며 대추알 크기로 붕어를 유인하다 입질을 받으면 서서히 크기를 줄여야 한다.
본격적으로 입질이 들어오면 떡밥 콩알미끼도 괞찮다.
대평지는 한 겨울에도 스윙낚시를 구사하는 물낚시를 만끽할 수 있다.
한파가 몰아 닥칠때에는 살얼음이 잡히기도 하지만 햇살이 퍼지면 금세 녹는다.
밤낚시에서 기대 이상의 튼실한 조황을 보장 받을 수 있다. 밤낚시는 제방권에서 입질이 빠르게 전개된다.
채비를 드리울 땐 목줄을 다소 길게하고 지렁이와 떡밥을 짝밥채비로 달아야 효과를 본다.
붕어의 씨알은 25cm급 이상으로 굵고 오후 11시 이전에 승부를 걸어야 한다. 이후엔 입질이 뜸하다.

가는길~~~
포항에서 강릉을 잇는 7번 국도를 따라 영덕 방면으로 약 8km가면 흥해읍이다.
이곳에서 직진, 2km더 가면 도로 좌측에 선경실업이 보인다. 대평지는 그 뒤편으로 있는데 2백m전방의 신호등에서 유턴한 다음 선경실업 앞 직전에서 비포장길로 우회전하면 정면으로 청공스텐인레스가 있다.
여기서 좌측길로 올라가면 대평지 상류에 닿는다.



>>> 안심지<<< <br/>
포항시 북구 청하면 만수면적 2만평 규모의 준계곡형 저수지다.
우선 포항시내에서 가깝고 저수지 물가에 바로 주차할 수 있어 좋다.
또한 낚시터 인근에는 신광 테마랜드가 있고 음식점이나 분위기 좋은 찻집이 많으며 자연경관도 수려해 연인이나 가족끼리 찾기에는 맞춤한 곳이다.
무엇보다도 안심지 최대의 장점은 수질이 좋다는 것. 주변에 오염원이 적어 붕어의 때깔이 좋다.
마릿수 보다는 씨알 위주의 조황을 보이는데 낮에는 블루길의 성화가 심해 밤낚시를 해야 한다.
지렁이보다는 떡밥이 잡고기를 피할 수 있는 대책. 월포해수욕장이 있는 바닷가와도 인접해있어 양수겸장으로 찾아볼 만하다. 수초는 적은 편이고 저수지 우측의 도로 밑의 급심 지역을 빼고는 전체적으로 지형이 완만한 편이다.
3칸대 전후가 많이 사용된다. 주포인트는 중류권 양안과 도로 건너편의 만곡진 곳, 제방 우측도 여름철에 좋은 자리다.

가는길~~~
포항시를 기점으로 영덕 방면 7번국도를 이용해 8km를 진행해 흥해를 지나 11km를 가면 필화리 사거리다.
상대리 방면 912번 지방도로 좌회전해 4km를 더 가면 저수지가 보인다.
저수지 직전의 삼거리에서 우측길로 가면 저수지 좌측에 도달할 수 있다.



>>> 오어지 <<< <br/>
포항시 오천면 항사리 면적 : 12만 1천 평 수심 : 2-4m 계곡형 저수지 어종 : 붕어,잉어,송어 지령 : 1964년 준공 경주국립공원 북쪽 계곡에 위치하여 주변 경관이 수려하고 깊은 계곡에 위치하여 피서지 낚시터로 최고이다.
불교도들의 물고기 방생지로 많이 알려지고, 인근에 오어사, 원효암등이 위치하여 천년 고찰과 어울려 가족낚시터로 좋다.
87년 홍수에 송어 2만마리가 양식장에서 유실되어 저수지 전역에 자생하고 있다.
댐 좌측 계곡이 최대 포인트이다.

가는길~~~
포항에서 오천 경유 갈평행 버스로 문충에서 하차. 남서쪽 어어사 길로 3Km 걸어서 진입한다.
포항에서 택시를 이용하면 편리하게 진입할 수 있다.



>>>용연지 (호리못)<<< <br/>
포항시 북구 신광면 호리 수면적 : 242,000평 어 종 : 붕어, 잉어, 메기, 장어, 수심 1~4m계곡형 개 황 : 포항지역의 최고로 조황이 좋은 낚시터로 포항시에서 제일 큰 저수지 이다.
씨알이 다양하며 마릿수에도 으뜸이다. 수심이 깊어서 물이 조금 빠진 다음 밤낚시를 하면 붕어가 크게 낚인 다.
봄부터 가을까지 꾸준한 조과를 보이며 봄철 상류권 포인트에서 월척이 잘 나온다.
동해로 흘러드는 곡강천을 수원으로 하기에 수량이 풍부하며 갈수기에도 바닥을 한번도 들어내지 않았다.

가는길~~~
흥해 (마산 사거리)->좌측 신광행 군도->4.5km->용연지



>>>은천지<<< <br/>
포항시 기계면 관천리 포항 근교의 어느 저수지보다 붕어 입질이 빠른 곳이다.
제방 좌측으로 형성되어 있던 수초대가 골재 채취로 없어져, 포인트 선정에 다소 어려움이 있으나 3월초부터 떡밥낚시에 중치급 씨알이 낚인다.
은천지의 포인트는 제방우측권과 좌측권으로 나뉘어지는데, 먼저 제방 좌측의 A지역은 포인트가 길게 형성되어 있어 앉을 자리가 많고 주차공간이 넓어 많은 사람이 찾는다.
이곳은 씨알과 마리수 모두 좋다. 제방 우측의 B지역은 야산 아래로 수심은 1.5∼2m를 보이며, 중치급 붕어로 낱마리 조과를 보이는 곳이다.
제방 우측 산 아래와 제방 좌측 중상류대는 월척이 잘 나온다.
은천지는 무엇보다도 포항근교의 저수지 중에서 교통이 가장 편리한 곳이다.
또한 주변 경치가 수려하고 낚이는 붕어의 씨알이 굵어 꾼들에게 만족을 주는 저수지라 할 수 있다.

가는길~~~
포항시에서 청송 방면으로 난 31번 국도를 타고 약 17km를 가면 기계면이 나온다.
여기서 다시 약 9km 직진하다 우회전해서 들어간다.



>>>죽성 소류지<<< <br/>
포항시 신광면 죽성리 이 저수지는 소류지이나 아직 한 번도 물이 마른 적이 없는 전문꾼 단골 월척터이다.
규모는 작지만 월척 사태도 자주 일어나는 만큼 어자원은 풍부한 곳이다.
수심이 전반적으로 깊어 수초는 상류에만 약간 있고 물속 수몰나무가 많다.
포인트는 주로 제방 왼쪽의 중상류에 위치하고 있다.
씨알은 고른 편. 미끼는 지렁이와 떡밥이 모두 사용되지만 참붕어 등 잡어의 성화가 심해 바닥새우와 참붕어를 미끼로 해야 잔챙이의 성화를 줄일 수 있다.

가는길~~~
포항시를 기점으로 청송 방면 31번 국도를 이용해 14km를 가면 경주·영덕간 925번 지방도와 만난다.
이곳에서 우회전해 영덕 방면으로 4km 지점에 냉수리가 나온다.
계속 직진해 4km를 가면 좌측으로 조립식 단층 건물인 농기계 수리센터가 나타나며 그 옆으로 난 시멘트 농로를 따라 들어가면 공동묘지가 나타난다.
5백m정도 계속 진행하면 복숭아 밭을 지나 저수지 제방에 이른다.



>>>칠포수로<<< <br/>
포항 흥해읍 칠포 푸른바다의 청취와 함께 씨알 좋은 붕어를 맘껏 걸어낼 수 있는 곳이다.
게다가 유리알 같은 백사장이 드넓게 형성된 칠포해수욕장을 끼고 있어 줄말이나 휴일 나들이를 겸해 한 번쯤 들러볼 만하다.
칠포수로는 폭 3m정도에 길이 2km구간을 이루는 작은 방죽과 진해하는 수로다.
규모는 작지만 붕어의 씨알은 20cm급이상으로 굵다.
게다가 잠깐낚시에도 그들먹한 살림망을 채울 수 있는 매력을 지녔다.
이곳은 수초대가 삭아내리는 11월 이후부터 호황을 보인다.
이전에는 수시로 배수문이 여닫히는 상태라 수위의 변동이 심해 거의 낚시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미기는 지렁이나 떡밥 모두 주효하고 연안으로 분포된 가장자리로 바짝 채비를 안착시켜야 입질을 본다.
포인트는 하류에서 상류까지 전역이다.
단 오전낚시엔 그린모텔앞쪽의 하류권에서 입질이 잦고 정오를 지나면 서서히 상류쪽으로 옮겨 채비를 드리워야 기대 이상의 튼실한 조황을 만끽할 수 있다.
이곳은 3칸이나 2.5칸 정도의 짧은 대 한 대로 이곳 저곳을 옮겨 다니며 발로 낚는 발낚시를 구사해야 한다.
한 자리에서 10분 이상 입질이 없으면 빠르게 다른 곳으로 이동 또 다시 공략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르긴 하지만 노력한 만큼의 대가는 따른다.
수심은 하류에서 상류까지 1m내외정도이다.

가는길~~~
포항에서 강릉 방면(7번 국도)으로 약 8km지점의 흥해까지 간다.
흥해에서 직진 약 1.5km더 가면 칠포해수욕장이 나온다.
이를 따라 우회전하여 약 4km가면 로얄비취모텔과 아울러 칠포해수욕장 입구에 닿는다.
오른쪽의 칠포2교를 건너 산밑을 돌아가면 오른쪽으로 간이 축구장이 있고 정면으로 칠포양수장과 아울러 그린모텔이 보인다. 여기서 그린모텔쪽으로 들어가면 칠포수로다.
그린모텔에서 칠포수로 상류까지는 주차 공간이 없다. 때문에 양수장이나 간이축구장 주변에 주차를 해야 한다.



>>>화봉지<<< <br/>
포항시 기계면 화봉리 면적 : 5만 7천 평
수심 : 1-3m 평지형 저수지
어종 : 붕어,잉어,메기,장어
지령 : 1943년 준공 월척의 산지로 포항, 경주, 대구 지방꾼들의 바구니를 가득 채우는 곳이다.
수심이 얕아 릴이나 좌대를 이용하면 유리하다.
가끔 대형 잉어가 잘 나와 주말에는 꾼들이 많이 몰린다. 미끼는 보리밥이 사용된다.
여름철 피서지, 캠핑, 밤낚시터로 최적이다.

가는길~~~
포항, 경주에서 안강 -> 7번 국도로 진입한다.
경주에서36KM 7번 국도로 안강 -> 925 지방도 -> 단구 -> 좌회전 31번 국도로 기계면 가기전 삼거리-> 우회전 3Km 북쪽에 위치한다.
오늘에서야 pc앞에 앉을 수 있어 글을 읽어 봅니다.
"호촌"님 언젠가 꼭 같이 앉을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 주시기 바랍니다.
"붕어와춤을"님의 글을 자주 접할 기회가 없어 안타깝습니다.
회원님 모든 분들께 가족같은 정을 가지고 있지만 "명경지수"님께는 입이 있어도 할말이 없을정도로 고마운 마음을 간직하고 있습니다.
오늘 저녁에 칠포수로에 갈 계획을 세워 봅니다.
수로라 9시 정도에 전을 걷을까하는 생각도.........

장마에 습도가 높아 불쾌지수도 상당한것 같습니다.
이럴땐 에어컨 냉방으로 하지마시고 "제습"으로 하시면 습도도 낮춰지고 전기료도 절약.......

***쪽지 : 확인도 할 수없고 쓰기도 안되니 답답합니다.
한분 한분께 인사 드리지 못한점 서운해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유월 이십일일 해의날 일요일에 물안개와해장이 안부 여쭙습니다.
오어지 상수원 보호구역 입니다 낚시하다 걸리면 인정사정없이 신고하고 벌금 때립니다

하지만 미터급 잉어와 4~5짜 토종붕어가 득실거립니다
절대로 뻥이 아닙니다 해병대 포항1사단 근무할때

몰래낚시해서 죽도시장에 팔았으니까요~ㅋㅋㅋ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