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아명파 사이대와 정칸수,
예를들면 27칸과 29칸, 34칸과 36칸간의 휨새차이랄까?
사용 느낌상 차이랄까? 그런게 궁금합니다
사이칸수가 정칸수에서 앞절번 몇개만 짧게 한것이 아니라
정칸수와 휨바란스를 가능한 비슷하게 유지하기 위해
손잡이대를 제외한 전체 절번 길이를 조정한것 같은 막연한 생각인데..
원래 사이칸수에 해당하는 칸수는 제 스타일상 필요치도 좋아하지도 않았는데.....
다명 사용해보신 유저님들의
개인적 느낌을 알고 싶습니다
날이 무척 덥네요. 아직 5월인데 한여름입니다
건강 유의하시고 늘 안전출조하시길 바랍니다
다이아명파 사이대와 정칸수
-
- Hit : 3516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11
사이칸대 사용해 보았지만
별다른 느낌을 알수가 없더군요
물론 정칸수와 차이는 나겠다 싶지만
미세한 부분까지 파악이 안되던데요
사이칸수와 정칸수가 별다른 차이를 못 느끼셨다는건
개발시 휨새차이를 비슷하게 잘 유지시킨 것으로
이해해도 되겠군요
사잇대는 약간 땡땡한 느낌인반면 정칸수는 부드럽습니다
앞치기와 손맛도 느낌이다릅니다
길이는 약20cm 정도 밖에 차이가나지않습니다
휨새만 정칸수와 많이 차이 안났으면 좋겠는데...
사이즈별로 휨새 랜딩시 낚시대위를 쳐다보는것도 이상하고, 안보고 휨새를 손만으로 느낀다...전 이해가 안갑니다 ....유료터서
노지와 별개로 유료터서 정해진 사이즈급에서 제한된칸수로 계속 입질 들어올시 가능할것 같습니다...적정한칸수 휨새는 비교가능하죠
다명은 그 정도까진 안해 봤지만 신수향은 해 봤기에 신수향은 사잇대와 미세한 휨새차이. 느끼질 못할정도 있습니다 해마2...
신수향 유료터서 칸수별 보름이상 테스트시....유료터마다 가지고 있는 물의 특성에 따라 물의 비중차이 ..똑같은 채비와 똑같은 낚시
대라도 상황별에 따라 틀려집니다 고기가 떠오른각도 째는각도 물의비중이 다 틀립니다..0,2칸단위의 모든 상황 시물레이션을 조합한
휨새는 누구도 이거라고 말 못할것 같습니다...지네가 잡혔을때 힘쓰는 방향이 제각각인데 정해진 로봇도 아니고요....
관계있겠죠 유료터는 더 심하겠죠....
일단 제가 궁금증을 잘 표현 못한것 같습니다
전에 보골40칸과 44칸을 쓰던 중 42칸을 던져봤는데
제가 민감한건지 대끝이 정칸수에 비해 많이 짱짱하게 느껴져 완전 다른 대처럼 느껴졌는데
개인적으로 이런게 싫어서요
-보골은 앞절번 5개의 길이만 짧게 해서 사이칸수를 만들더라구요
물론 정칸수대도 길이에 따라 낭창되는 정도가 다르게 느껴지긴 하지만... 여튼
헌데 다명은 속절번 전체 길이를 조금씩 전부 조정해서
사이칸수를 만드는 것 같아 상대적으로 앞쪽 절번길이 줄어드는 정도가 덜해서
정칸수와 사이칸수간 투척시 이질감이 덜 느껴진다면 구입해보려구요
붕어용보다는 댐 직벽지대에서 잉어를 목적으로 하고
사이칸수에 해당하는 길이가 필요할것 같아서요
향어전용이나 민장대는 마음에 두지있지 않아서
잉어용으론 고가이긴 하지만 어느정도 질길것 같고
무엇보다 땟깔이 마음에 드네요
미세한 부분보다 나와 같이 갈수있는지, 아님 맞지 않는지만 판단하면 될것 같습니다....다명의 특성이야 쓸 마음이 있는분들은
어느정도 다 파악하고 계실거라 믿습니다 ...다명을 맘에 가지면 ...그냥 써보십시요...^^그후 실망도 있겠지만 기간이 지나면
느낍니다..항상 모호함과 안정성이죠...
신수향도 수보도 그렇저군요.
정칸수는 유연한 휨새인반면 사잇칸은 절번이 조금씩짧아 좀 더 빳빳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