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본필름 재료의 자체강도 중에 강한 한 부분을 표시한 내용입니다
수직응력에 대한 강도가 아니고
인장강도 순간결절강도 트위스트강도 등등 중에
주로 인장강도의 표시입니다
예로 인장강도가 70톤이라 해도 반대로 순간결절강도는 줄어듭니다
적절하게 카본필름을 여러가지를 사용해야 여러가지 힘에 대응하는 낚시대가 탄생하는데
저가형 대의 거의 대부분은
재생카본이나 화이버에 필름을 한 번 감아서 몇톤 카본 사용이라고 광고하는데
일명 반카본대인데요
의미없는 소리입니다
몇톤을 몇번을 감았다는 광고는 아직 보지를 못했습니다 ^^
직조카본이 모든 응력에 대응이 가장 강하지만,
너무 고가라서
수입산 최고급바닷대에서는 가끔 보이는데
민물대는 시장가격상 맞지않을지도 모르겠습니다
몇톤 카본을 사용했다는 말에 현혹되지 마시길요ㅡ
알고 있는 것만 말씀드리죠..
인장탄성률(tensile modulus)이며, 흔히틀 종탄성계수 또는 영률이라고 하죠.
단위는 40ton/mm^2입니다.
일반적인 연강(스틸)의 종탄성계수가 21ton/mm^2정도 됩니다.
24ton 카본의 경우 인장강도는 대략 360kgf/mm^2입니다.(일본 토레이사)
공사장에서 쓰고 있는 철근 같은 경우 겨우 3ton/cm^2 = 3,000kg/cm^2 밖에 안나옵니다.
위에꺼 이해하기 쉽게 바꿔보면
직경 1.13cm정도되는 속이 꽉찬 솔리드 철근이 3,000kg을 버티고,
직경 1.13cm정도되는 속이 꽉찬 솔리드 40톤 카본은 40,000kg을 버틴다는 이야기입니다.
수직응력에 대한 강도가 아니고
인장강도 순간결절강도 트위스트강도 등등 중에
주로 인장강도의 표시입니다
예로 인장강도가 70톤이라 해도 반대로 순간결절강도는 줄어듭니다
적절하게 카본필름을 여러가지를 사용해야 여러가지 힘에 대응하는 낚시대가 탄생하는데
저가형 대의 거의 대부분은
재생카본이나 화이버에 필름을 한 번 감아서 몇톤 카본 사용이라고 광고하는데
일명 반카본대인데요
의미없는 소리입니다
몇톤을 몇번을 감았다는 광고는 아직 보지를 못했습니다 ^^
직조카본이 모든 응력에 대응이 가장 강하지만,
너무 고가라서
수입산 최고급바닷대에서는 가끔 보이는데
민물대는 시장가격상 맞지않을지도 모르겠습니다
몇톤 카본을 사용했다는 말에 현혹되지 마시길요ㅡ
인장탄성률(tensile modulus)이며, 흔히틀 종탄성계수 또는 영률이라고 하죠.
단위는 40ton/mm^2입니다.
일반적인 연강(스틸)의 종탄성계수가 21ton/mm^2정도 됩니다.
24ton 카본의 경우 인장강도는 대략 360kgf/mm^2입니다.(일본 토레이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