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럼 공통

· 포럼 공통게시판으로서 낚싯대 추천, 비교 등의 정보가 제공되는 곳입니다.

연질대에 통호사키를 끼우면....?

오래전에 구입한 연질대 은성 수정 3.2대가 있는데.. 이번 출조에 2번대가 부러졌습니다.. 그래서 수릿대를 살까하는데.. 기왕 살거 통호사키를 끼우면 어떨까하여 고수님들께 여쭤봅니다. 바람이 불면 연질대라.. 투척이 힘들거든요.. 줄을 손잡이대 반정도(30~40cm)짧게 메어도 바람이 불면.. 그자리 투척이 힘들더라고요.. 만약 통호사키를 끼우면 투척이 쉽다는건 이해가 가는데.. 혹 잉어나 향어 걸었을때 다른 부위에 악영향을 끼치지 않을까하여.. 여쭤봅니다.. 지금은 투척은 힘들어도 잉어 향이 50~60짜리 걸어도 꺼내기 힘들어서 그렇지 대는 잘 버텨주거든요.. 다니는 저수지가 잉어 향어가 많아서 붕어만 골라 잡기 힘든 상황이라 여쭤봅니다.. 아시는 고수님들 좀 알려주십시요^^ [이 게시물은 운영자님에 의해 2012-10-25 17:30:55 전통바닥낚시에서 이동 되었습니다]

은성 수정대에 통호사끼 끼우시면 낚시대 밸런스가 맞지 않을것 같습니다. 그냥 차라리 낚시점 가셔서 경질대용 수릿대로 끼워 보는게 어떨까 합니다. 보통 초리에서 3번대까지는 잘 경질대 끼워 놓어도 괜찬더군요
밸런스가 맞지 않다는 것은 허리부분이나. 3번대 이상 파손이 우려된다는 말씀인가요?
초리부터 2번까지는 보통 대들이 공통으로 사용하는거 아닌가요?
낚시 입문하닞 얼마 안되서.. 모르는게 많아 여쭤
봅니다.. (글 다 안쳤는데.. 올라가 버렸넹 ㅡㅡ)

낚시대의 손상을 초래하는 경우만 아니라면... 사용해보고 싶거든요.
1.2번대 빼고 통호사끼 끼우면
3번대가 죽어납니다.
기본 휨새 밸런스가 틀어집니다.
예전 연질대에 통 초릿대 연결해서 좀 사용해 봤습니다.

1,2번대 빼고 통초리 끼우면 좀 짧아지긴해도 여러보로 앞치기도 잘되고 고기 제압도 잘되고 엄청 좋아지는 느낌입니다

그런데 위에 말씀하신 아래 절번이 약해지는 느낌이 있는데요..

대 휨세를 한번 보시면 좀 작은 고기는 3번대에서 힘들 받고, 발갱이나 좀 큰 힘이 걸리면 대 중간 부터 휘기 시작해서 통 초리 및 3번까지는 그냥 쭉 뻗고, 그 아래 절번부터 휘어집니다.

3번부터 휘어질 작은 넘이면 대부분 큰 문제는 되지 않고요

위에 50~60급 잉어도 잘 버텨 주는 대라고 하신걸로 바서.... 예전 연질대 32칸에 50이상급 잉어 걸리면 대 중간이 휘어지는 대 특성이 있을것이고, 아마도 통초리 연결해도 3번대가 쉽게 부서지지는 않을것 같습니다.

어차피 절번 구하기 힘든 상황이면 저같으면 통초리 끼우고 쓸때까지 쓰다 바꾸겠습니다. 예전에 그렇게 썼었구요.. 아직도 남아있습니다..

참.. 통초리 끼우면 대 접은길이가 짧은대는 초리대가 다 안들어길수 있어 불편합니다. 먼저 대 접은길이와, 통초리 비교해보는것이 좋습니다
경질대 아니고 연질대이면 통초릿대 기우는것 진짜 비추 입니다.
발란스는 기본이고 힘받는곳이 틀려지니 손맛도 없어지고 그냥 연질대의 특성으로 쓰시는것이 최고라 생각 합니다.
통초릿대가 좋았다면 낚싯대 만드는 과정에서 넣었겠죠.
한예로 자동차로 따진다면 자동차 튜닝의 끝은 순정이다.라고들 말 합니다.왜냐면 자동차를 연구하는 연구원들이 모든것을 조합해서 연구한것이 완성차 나온 순정이기때문이고 그차의 최고를 나타낼수 있는 제품이기에 그렇습니다.
낚싯대도 마찬가집니다.낚싯대의 특성을 살릴려고 연질대로 만들고 하는것이지 그곳에 통초릿대를 끼우고 초릿대 절단하고.하는 것들은 낚싯대 만들때 그낚싯대의 최고 좋은 성능을 살리지 못한다고 생각 하기에 그냥 정품을 사거 기우시는것이 최고라 생각합니다.
절대적으로 안됩니다..

낚시대가 아니라 앞치기 자체가 정말 부자연 스럽거니와 낚시대가 뭐 이래.. 이런 생각 드실 겁니다..

절대로 통초리대는 끼우지 마세요.. (단!! 4.0칸 이상은 그럭 저럭 쓸만 합니다..)
윗분들말씀처럼 단점 장점이있는거같습니다

그냥저같으면 수릿대사서 끼우겠습니다 ㅎㅎ

대들마다 성격 경질 연질 다틀리고 휩세틀리고 한데 중요한건 밸런스가안맞습니다 ㅎㅎ

그냥낚시하는데에는 지장이없겟죠 하지만 큰거물리거나 했을땐 아작이나도 3번대 4번대에서 아작납니다

수릿대사서끼우시믄 잉어향어 시간좀걸려도 손맛몸맛 재대로보시고 끌어낼수있다고생각합니다^^
연질대에 통초리 끼웠다가 다시 원상복귀한 사람입니다.
앞치기할때 뭐랄까 낚시대가 울렁울렁거립니다.무게중심이 앞으로 쏠려서 그런거 같습니다.하지 마십시요.
경험 담긴 회원님들의 조언 감사합니다.

결론은 수릿대를 구입해야 겠네요...
낚시터 여건상 기존 연질 수리대로 하심이 좋을듯 합니다.
잉어,향어는 연질대로 잡아야 제맛 입니다. 옆에 방해는 조금 되겠지만 연질대로 제압하는것도 기술!
손맛 듬뿍 느끼세요~
경질대에 통초릿대 사용하는건 몽둥이에 몽둥이 붙이는 격입니다. 내림이나 중층낚시 해보면 초릿대의 기능이

틀리다는걸 알게 됩니다. 잡아들이는데는 아무른 차이가 없고 챔질이나 투척에서만 차이있습니다.

경질대가 비싸서 연질대에 사용해서 수초낚시합니다. 3번대 부러진적 없네요.맹탕떡밥낚시에는 추천하지 않습니다.
드림40대에 통초릿대끼고 발갱이 거니 3번대 부러졌습니다 앞치기는 잘되는데 대에 무리가 오긴오나봅니다 그래서 그냥 순정으로 쓰고있습니다
수정이라는 낚시대는 워낙 저가의 낚시대라 수리대 사느니 통초리대 쓰다가

더많이 손상되면 낚시대를 바꾸것어요 속는셈치고 써보시는것도 나쁘지않다 생각합니다

다만 고가대를 그리 사용하신다면 말리겟네요
고기 못잡거나
작은치어엔 무리가 없을듯....

농담입니다....ㅋㅋ

3번대랑 바란스가 안맞을드사네요
처음 멋도 모르고 싸길래 연질대로 40대까지 삿습니다 ㅋㅋ 죽어라 앞치기하니 40대까지 되더군요 줄 대 끝까지 맞추고 진짜 죽어라 던졌었습니당
지금은 정들어서 초릿대 7센티 절단하고 씁니다 줄도 조금 짧게 가구요
앉아선 힘들지만 서서 앞치기하면 안착률 90퍼센트는 되더군요
통초릿대 끼우지 마시고 초릿대 5~7센티 정도 잘라서 초릿대실 교체해서 쓰시는게 나으실듯합니다
전 지금 그렇게 쓰고 있는데 경질대 쓰다보니 연질대는 손이 잘 안가더군요
저에게도 수정대가 있는데요,
그냥수리해서 쓰세요,
연질대에는 통호사끼는 안맞드군요,,ㅎㅎ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