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네이버카페 " 이방원의붕어낚시" 동동채비의 이방원입니다.
본 내용은 1년에 출조횟수 400회가 넘는 경험을 바탕으로 정립된 이론입니다.
" 항상 제가 써내려가는 글은 논란의 대상이 될 수 있음을 미리 말씀 드립니다 "
또한 저의 낚시이론은 붕어는 반드시 찌를 끝까지 밀어 올린다 입니다. 양어장 전용채비 "양동이"는 짜장붕어 특성에 맞게 세상이 놀랄만한 구조와 이론으로 설계되었습니다. )
1.
붕어의 기준에서 모든 채비는 생각의 반환점을 맞게 되고, 붕어의 기준에서 이론이 나옵니다.
자 봅시다. 생미끼를 쓰는곳의 장르는 2가지로 구분이 됩니다. 낚시 장르가 아닌 수초낚시와 맹탕에서 낚시입니다.
지렁이를 제외하고, 생미끼를 사용하는 방법은 죽여서 쓰는것과 오래 살려 쓰는것으로 나눠집니다.
왜 그럴까요? 그 이유는 대물낚시의 특성상,, 미끼를 죽여 쓰게 되면 지져분한 바닥에 미끼 노출이 쉽지 않기 때문에..
오랬동안 살려,, 돌아 다니게끔 해야,, 즉 붕어가 찾기 쉽게 하기 위함입니다. 육초가 잠긴곳, 말풀이 밀생한곳,,
수초와 마름이 삵아 내려,, 지져분해진곳에서,, 죽어 있는 미끼를 사용하면,, 바닥에 제대로 안착이 됬는지 묻혀 있는지,,
짐작만 할뿐이지 구분이 되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미끼를 최대한 오래 살려 활동을 하게 해줌으로써 붕어가 찾기 쉽게 해주고..
살아 움직이는 미끼에 대해 공격성을 부여해주게 됩니다. 이것은 떡밥낚시의 고패질의 개념으로 입질을 살리는 경우와 비슷하게 됩니다.
그렇다면,, 반대로 바닥이 깨끗한곳에서는 죽여 사용을 해야,,
입질을 더 빨리 받아 낼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붕어는 살아 있는 미끼에 대해 공격을 하게 되는데, 그것은,, 단순히 본능이
아니라,, 움직이는 먹이는 손이 없는 붕어에게,, 자신이 불리한쪽으로 미끼를 취이 하지 않기 위한 방어 본능에서 비롯됩니다.
이렇게 되면,, 어느곳에서 어떻게 미끼를 운영해야 하는지는 쉽게 구분이 됩니다.
반대로,, 목줄의 경우도 그렇습니다. 찌맞춤으로 봉돌의 위치와 목줄의 위치가 결정 됩니다.
즉 찌맞춤이 무겁게 되면,, 봉돌이 바닥에 안착이 되게 되고, 예민한 찌맞춤을 했을시 살짝 안착이 되고 가볍게 찌맞춤을 하게 되면
봉돌이 살짝 들리는 3가지 정도로 구분을 합니다. 즉, 목줄이 들린후 추가적으로 봉돌이 2차 오름 이후 입질을 파악할것인지, 목
줄의 움직임과 동시에 봉돌의 움직임을 파악할것인지, 이 과정을 생략하고, 목줄의 움직임을 찌로 바로 전달을 해주게 되는지는
낚시인이 결정 하게됩니다. 대물낚시 풍덩채비에서,, 합사를 사용한다면,, 떡밥 낚시와 달리 응답성을 제공해주는것은,,
살아 있는 미끼가 이동을 하며 긴장감을 갖게 합니다. 투척후 내몸쪽으로 지긋히 당겼다 놓는것 또한 사선입수를 없에는것과
동시에 응답성을 향상 시키기 위한 방법이며, 즉 모노줄,카본줄과 같은 응답성을 임의로 제공을 해주게 됨으로써,,
예신 본신을 볼 수 있습니다. 반대로 풍덩채비에 합사목줄을 길게 하여금 떡밥을 달아 놓는다면,, 예신을 파악하기는 거의 힘들어
집니다. 바로 본신으로 솟음이 시작됩니다. 이렇듯,, 목줄의 선택은,, 생미끼 운영시 계속 살려 써야 하는것인지,,
죽여 써야 할지 선택이 되면,, 자연스럽게 응답성을 놓고,, 확률적인 목줄을 선택을 하게 되며,,
또한 목줄의 길이는.. 단순히 응답성과 또다른 의미로,, 길게 사용하면,, 살아 있는 미끼가 이동하며,,
장애물에 감아 놀 수 있으므로,, 어느정도의 목줄 길이를 선택할것인가도,, 그날이 내가 낚시 하고자 하는,,
포인트에 맞게,, 수정값을 내놓게 되면 됩니다. 지금까지 말씀 드린 내용은,, 사실 대단한 내용이 아닙니다.
낚시를 하며,, 꾸준히 관찰을 하게 되면,, 무릎을 탁~ 칠만한 정보로 가볍게 습득이 가능합니다.
정리를 해서 말씀 드리면,, 그날 공략할 포인트 여건에 따라,, 내가 사용하고자 하는 미끼 운영과,
목줄의 길이를 미리 선정해줌으로써 최고의 효율성을 갖게 하는것입니다.
미끼가 살아 있음으로, 씨알 선별을 한다? 입질이 없을때는 머리를 눌러 사용을 한다? 이런것에 대해 큰 의미가 없습니다.
차라리 입질이 없으면,, 껍질을 까서 속살만을 꿰어,, 미끼를 먹기 좋게 사람이 만들어 주면 됩니다.
붕어는 낚아내는것이 아닌,, 내가 잡고 싶을때 잡을 수 있는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닙니다.
저는,, 채비를 놓고 중점적인 공략 방법을 제시 하기 보다는,, 우선 붕어의 습성을 토대로,, 채비를 운영하는 방법에
대해 항상 말씀을 드리고 있습니다. 붕어 입장에서 최대한 미끼를 잘 먹게 다듬어 주고,, 그 이후에 좋은 채비로,
입질을 받아 올리던 끌고가던,, 그것은 나중 문제 입니다.
미끼선택과 목줄선택과 길이 (새로운이론의시작)
/ / Hit : 34064 본문+댓글추천 : 0
죽으면 착지 지점에서 밑으로 파고들지 안아서 미끼함몰이 없어지죠
겨울철 대를 들었다 놨다 고페질을 하는건
살아있는 지렁이가 낙엽밑을로 파고들기 때문에 낙엽위로 올리기 위함이 많은거죠
몇년전 나온 월간붕어 라는 책에서 지렁이 낙시 명인들의 노하우를 적은게 있게 있습니다
위내용 대로라면 잡지에 나온분들의 생각이 전부 틀렸다는거군요
지렁이 참붕어 새우정도 인데 너무나 두리뭉실 하군요
위 내용중 오르신 말습도 있지만 정 만대의 경우가 더욱 많아 보입니다
사선 입수를 막는 이유가 반응성 향상 이라는건
빨지 체비가 반응성이 느리다는 말뿐이 안됨니다
그런대 빨지 체비가 너욱 반응이 빠르진 안나요?
깨끗한 바닥에 미끼를 죽여쓰는거랑 안죽여 쓰는거랑 씨알차이나 조과차이가 얼마나 나는지...
본문 내용처럼하면 과연 조과가 낳은지 씨알면에서 나아지는지...그건또 어떻게 확인되는지..
같은 장소라도 오늘 조과랑 내일조과랑 다르던데...
솔직히 크게 와닿지는 안네요..ㅎ
실험하시고 데이타 내리신게 맞네 안맞네보다 낚시에 있어 끈임없는 노력 열정이 대단하신거 같습니다
앞으로도 좋은글 많이 올려주세요
제가 내림하면서 올림으로 바꿀때 이렇게 하거든요
첨엔 올림이라고 유동추도 고정시키고 빠른입질 볼려고 목줄도 짧게하고 했었는데 찌의 0점만 잘맞춰놓으면
예민하게 맞춰놓은 내림처럼 이물감도 적고 찌를 끌고가거나 들어 올릴때 찌가 잘올라오지 않을까해서
해봤는데 조과가 좋아서 내림하다가 올림하고 싶을때 이렇게 하고 있습니다
우연찮게 님글을 접하게 되었는데 공감확오네요~~님글을 찿아서 읽어보게되네요
낚시 스타일이 짧은시간에 전투낚시해서 조과를 많이 올리는 친동생과 너무 비슷합니다
제가 낚시가면 맨날 동생한테 잔소리 듣거든요 ㅎㅎ 낚시는 쫌했지만 조과면해서 동생한테 쨉이 안되니 ㅋㅋㅋ
잘보고 갑니다
다음편도 기대할께요^^
자신의 채비에 대한 자만심 = BAD
출조 경험에서 나오는 지식을 알려주고자 올린글이라 생각합니다
맞든안맞든 개인에 따라 생각이 틀리고 관점이 다르겠지만............
낚시에대한 열정과 조금이라도 지식을 공유해 알려주고자하는 님에 따스한 마음이 느껴집니다
읽고 그냥 지나가려다 몇자 남겨봅니다
올해도 다지나가버리네요...
얼마 남지 않은 한해 회원님들 다들 잘 마무리하시고
늘~~건강하시길 빌어드립니다............
이방원님 글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처음에는 거부감도 들었는데
실제 해보면 아하... 하고 이해가 되더군요.
앞으로도 좋은 글 많이 부탁합니다...^^
방가방가^^
저도 올추석때 동동채비로 찌맛 실컷봤읍니다
여주귀백1호지에서^^
남들은 거의말뚝인데 저는 연신^^
암튼 대단한채비인거는 확실하더라구요
옆에서친구는 입질도없다는데 그친구도 양어장위주로 꽤나예민한 채비인데도^^
암튼 감사합니다
대물채비에서 동동채비로 옮긴 1인입니다
붕어는 반드시 찌를 끝까지 밀어올린다는것이 저의 낚시 이론이며 채비에 그대로 녹아들어있습니다.
근데 궁금한게있습니다 양동이채비인가
그거랑 돌찌나라에 양동이 머라는거 나왔던데
둘의 차이는 무엇인가용 그리고 특허를 내셨던데 둘다 똑같던데 ㅡㅡ
올핸 반드시 월척해야 겠네요~~
~~^^
단지... 1년에 400회,,,라든지,,,붕어는 반드시 찌를 끝까지 밀어 올린다...라는 표현은...
그리고,,,붕어의 성향은 반드시라는 용어 자체를 거부합니다...그들은 생명체이며 변덕이 죽끓듯 하기 때문이지요.
생명체의 습성을 다 아는듯 명쾌하게 답을 도출 한다든지 규정을 내린다든지 하는 자세는 반감을 살수 있습니다.
좋은채비 만드시느라 고생 하십니다만 그건 어디까지나 과학이 허락하는 부분까지만 이어야 하는 것이죠.
언제나 늘 그렇지는 않다는 복선을 깔고가야 인정도 받게 될것입니다.
성향이 있다~라는 표현도 좋겠지요...
붕어는 낚아내는것이 아닌,, 내가 잡고 싶을때 잡을 수 있는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닙니다.
이런식의 글은 자연을 사랑하고 붕어를 사랑하는 대다수의 낚시인께 무례를 범하는 내용이라 사료되며...
위에 쓰신글중 순치(길들이는 것)에 관한 글도 보았습니다만
그것은 이미 붕어를 키워본 많은이들이 경험한것 이기도 합니다.
붕어를 수족관에 키우면서 습성을 관찰해 보면 순치는 새삼스러운 것도 아니라는 것이지요.
붕어의 저수지마다의 성향이 어떻게 다를수 있는가는 환경이 주어져 자연스럽게 순치 되었다 할수 있겠죠.
반감을 일부로 유도하여 이슈를 삼을 생각이신게 아니라면
뾰족해 보이는 부분을 조금씩 부드럽게 해 나가신다면 응원 하도록 하겠습니다.
그런 자세로 여러 선배조사들의 인정을 받는것에 조바심 내지 않고
내실을 다질때 자연히 형성될 것 이기에 당부 드리고 싶은 것입니다...
기대하고 지켜 보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