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지식

· 기타지식

AI 병원균에 대한 질문입니다.

천안인근에서 AI인플루엔자가 발견되었다고합니다. 원인은 야생조류로 추정한다고 하는데... 문제는 인근하천에서 AI병원균이 검출되었다고 합니다. 하천물에서 검출이 되었다면 혹 물고기..즉 붕어에게도 전염이 되지 않나 걱정이 됩니다. 우리나라에 겨울철새들이 많이와서 월동을 하고 가는데 전국적으로 저수지나 하천등에 AI병원균이 흘러들지 않을까 걱정이 됩니다. 붕어에 감염이 안된다고 하더라고 그물을 사람이 만지거나 접촉할경우 전염의 위험성은 없을까요? 이분야에 잘 아시는분 있으시면 조속한 답변으로 월척 회원님들의 안전에 도움이 되기를 희망하여 이른아침 글 올려 봅니다. 오늘도 좋은 시간되시고 늘 안출 하세요~

노랑붕어님!! 반가버요

허걱 물에서도 균이 발견되었다고요 살아있다면 큰일인데요

지식이 부족하여 답글은 못달지만

큰일 입니다
네..반갑습니다.

금일아침 뉴스에서 들었습니다.
하천에서도 검출이 되었다고...

그럴일이야 없으면 좋겠지만, 사실 걱정이 되어 질문 올렸습니다.

좋은 하루 되십시요~
조류 인플러인저는 오래갈거고

조루인플러인자면 빨리 사라질거고?
하천물에서 발견된게 아니고
하천에 조류들의 배설물에서 검출된것으로 알고있으며
붕어와 조류는 염색체가 서로다른데 전염될까요???
극약1g을 그냥먹으면 독약인데 물 100000cc에 타서 먹으면 효능이 1/100000로 감소되는게 아닌가요??
전체가 A1으로 도배된거도 아니고.....
괜스런 염려로 네티즌들을 불안하게하는게 아닐까요???
맹물 조사님 안녕하세요?
절대 태클성 글이 아님을 밝히며....
조류와 사람은 염색체가 같아서 전염이 되나요????

전염은 염체체와는 크게 상관이 없고 조류가 옮기는 바이러스가
가축에게 전염이 되고 이를 식용하거나 접촉하는 사람에게 전염이 되는게 문제입니다.

같은 맥락에서 볼때 하천가에 있는 배설물에 병원균이 존재한다면
물속에도 수많은 새들이 배설을 했을테고....

물속에 있는 병원균이 수서곤충이나 어류에도 영향을 미치지 않을까
걱정이 되어서 올린글입니다.

님의 말씀처럼 아무 문제가 없다고 밝혀지면 저도 마음이 편안할것 같습니다.^^

좀더 기다려 보면 이분야에 잘 아시는분들의 좋은글이 올라오리라 기대하며
기다려 보겠습니다.

늘 건강하시고 안출 하세요~
물고기의 배설물로도 옮길 가능성이 있지만, 새들이 물고기를 부리로 찢다가 상처만 입히고 도망간 물고기도 가능성이 있지않을가요.

그리고 수입된 중국붕어도 심히 걱정되네요.

당국의 답변이 있으면 좋을텐데요.
저도 전문지식이 없어서리 잘은 모르겠으나, 제가 들은 바로는 조류독감도 종류가 많은 것 같은데 그 중에서도 인체에 감염이 된다고 알려진 것은 고병원성 조류독감으로서, 조류나 타 동물들끼리 주로 배설물을 통해 전염이 된다고 알려져 있으나 물을 통한 감염경로도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현재까지는 조류독감을 치료할 약이 딱히 없어 그냥 바이러스 발생 또는 감염지역의 조류들을 폐사시키는 것이 대처방법의 전부인 실정이며, 인체감염경로에 대해서는 지금까지는 그저 단순히 감염 조류들과의 직접적인 접촉에 의한 감염이라고만 알고 있습니다.
그렇게 봤을 때, 음식을 통한 인체감염은 비교적 안전한 편이나, 감염된 조류나 닭을 직접 접촉하는 경우엔 그 발병 가능성과 위험성에 대해 주의가 필요하다고 봅니다.
또한, 계란에 묻은 닭배설물을 만지게 되는 경우도 주의를 해야 한다고 합니다.

아직 그에 관한 연구결과나 보도가 나오지 않은 걸로 보이지만, 감염 철새들의 배설물이 흘러든 물에 의한 인체감염도 충분히 가능성은 있지 않겠나 생각해 봅니다.

헌데, 만약 이것이 현실화된다면 낚시계의 대 지각변동을 피할 수 없으리라 봅니다.

붕어 한마리 낚으려다 재수 없으면 조류독감에 걸려 꼴까닥하는 수가 있다~
이런 소문 나 보십시오. 누가 목숨걸고 낚시 댕기겄습니까요?
그리고, 그 다양하다는 변종 바이러스에 대한 처방백신이 어느 세월에 개발이 되며, 그것이 안전하다고 검증이 되겄습니까요?
한 마디로 우리가 지금 가지고 있고, 아직도 가지고 싶어 안달을 내는 그 수많은 낚싯대와 장비들은 한마디로 쓰레기가 되는 겁니다.
낚시계의 쑤레기.^^

농담을 던지며 아직 웃고는 있지만, 그렇다고 현실은 마냥 웃고 있을 처지만은 아닌 것 같습니다.
그렇다고 해서 또한 정부에서 낚시에 관한 대책이나 발표조차 없는 상황에서 낚시를 그만 두기도 어려운(?) 상황인 것 같습니다.
아마도 재수 없는 누군가가 낚시하다 조류독감에 걸렸다~ 하는 발표가 나와야 어떤 대책이 따라 나오겄지요.
지금은 그저 그런 불행한 일이 발생하지 않기만을 낚시꾼의 한사람으로서 바랄 뿐입니다.

여러분, 과감히 손맛을 포기하시겠습니까? 아니면, 죽음을 택하시겠습니까?
이런 날이 없기를......^^
혹시 겁나십니까? 불안하십니까?

그럼, 대물낚시Q&A에 있는 <잠든 붕어를 깨우는 방법>에 오셔서 작은 댓글 하나만 남겨 주십시오.^^
조류독감 같은 생각은 씻은 듯이 날아가 버립니다요.^^

항상 건강하시고, 즐낚하시길 바라면서
초짜 무지개붕어 올림.^^
ㅎㅎㅎㅎ 무지개 붕어님 겁 디게 주고가시네~~!!

여러분, 과감히 손맛을 포기하시겠습니까? 아니면, 죽음을 택하시겠습니까?

으시시~~

가능성은 충분히 있다고봅니다.
말씀마따나 당국(?)에서 벙어리 흉내를 내고 있으니
낚시인들 스스로가 조심을 할수밖에요..

폴리글러브나 일회용 비닐장갑을 끼고 낚시를 하던가...?
의심이 되는 하천물은 당분간 접촉을 피하시는게 상책인것 같습니다.

7짜 잡혔나요??
7짜는 대찬붕어님께서 가져 가셨구요.
이제 8짜의 주인공을 기다리고 있는 중입니다.^^

여러분, 과감히 8짜를 포기하시겠습니까? 아니면, 3년 무어복을 택하시겠습니까? ㅋㅋㅋㅋ
물을 통한 감염 경로도 있는 것은 분명 하나 낚시간 사람들은 걸릴 확률이 있지만 붕어는 걸리지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제생각이지만 가장 중요한 요점은 (붕어는 절대로 조류가 아니다)라는 사실입니다...그렇습니다 붕어는 닭이 아닙니다 둘다 기억력이 좋다는 이미지를 전혀 찿아볼수 없다는 공통점이 존재하지만 ......ㅋㅋ 제 생각은 붕어는 걸리지 않습니다 만일 붕어가 걸린다면 조류독감이란 단어 보단 어류독감이란 말이 어울리지 않을까요?ㅋㅋ 이상 입니다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