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아침이슬님^^*
아뒤가 정말 신선?하네요..
만일 제가 그런경우를 겪었다면 전
1.찌에 그 낚시대 칸수를 자신만이 알아볼수 있도록 표시하고
찌통을 준비하여 찌를 찌통에 넣고 다닌다..
같은칸수가 여러대일 경우에는
예를들어 2,0칸이 3대있다고 하면
찌에다가 20a,20b,20c라고 유성 싸이펜으로 쓴다.
그리고 낚시대케이스에 20a,20b,20c라고 표시해 둔다.
안녕하십니까...
뻐드리님이 소해한 방법도 좋은 방법입니다.
전 예비찌만 찌통에 넣고 가지고 다닙니다.
만약 찌통에 모두 모아서 하는것이 번거러우시다면 !!!
스기목의 경우는 점 덜하지만, 부들또는 갈대찌의 경우 망가지는 수가 허다합니다.
찌팔때 넣어주는 플라스틱? 원통(지름약 1.5~2센치)정도 되는것을 케이스 속에
따로 넣어서 보관하시면 좋겠습니다. 부피도 많이 차지하지 안을뿐더러...
찌의 상함을 줄일수 있음은 물론 간편합니다.
전 떡밥낚시대 몇대를 따로 소지하고, 케이스 속에 이런
방법으러 찌를 보호하고 있습니다.
낚시방에 가서 소품사실쩍에 말만 잘하면 공짜로 줍니다.
비싸게 주고 산 찌를 잘보관하여 영구히 잘 쓰십시오.
제경우에는
찌를 살때 넣어주는 찌케이스에 넣어서
낚시대와 같이 낚시대집(케이스)에 같이 넣어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러면 찌 눌림이나 파손을 최소화 할 수 있습니다.
다만, 낚시대집(케이스)가 작은것이 있어서 같이 넣기가 불편한것이 있습니다.
찌 케이스는 자주 가는 낚시점에서 "공짜"로 얻어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여분의 찌는 낚시대 살때 주는 낚시케이스(사각투명플라스틱통)에
넣어가지고 다닙니다.
아뒤가 정말 신선?하네요..
만일 제가 그런경우를 겪었다면 전
1.찌에 그 낚시대 칸수를 자신만이 알아볼수 있도록 표시하고
찌통을 준비하여 찌를 찌통에 넣고 다닌다..
같은칸수가 여러대일 경우에는
예를들어 2,0칸이 3대있다고 하면
찌에다가 20a,20b,20c라고 유성 싸이펜으로 쓴다.
그리고 낚시대케이스에 20a,20b,20c라고 표시해 둔다.
2.낚시 가방을 큼직한 놈으로 다시 구입한다..
참고 하시구요..
항상 즐낚하시길 바랍니다..
뻐드리님이 소해한 방법도 좋은 방법입니다.
전 예비찌만 찌통에 넣고 가지고 다닙니다.
만약 찌통에 모두 모아서 하는것이 번거러우시다면 !!!
스기목의 경우는 점 덜하지만, 부들또는 갈대찌의 경우 망가지는 수가 허다합니다.
찌팔때 넣어주는 플라스틱? 원통(지름약 1.5~2센치)정도 되는것을 케이스 속에
따로 넣어서 보관하시면 좋겠습니다. 부피도 많이 차지하지 안을뿐더러...
찌의 상함을 줄일수 있음은 물론 간편합니다.
전 떡밥낚시대 몇대를 따로 소지하고, 케이스 속에 이런
방법으러 찌를 보호하고 있습니다.
낚시방에 가서 소품사실쩍에 말만 잘하면 공짜로 줍니다.
비싸게 주고 산 찌를 잘보관하여 영구히 잘 쓰십시오.
찌를 살때 넣어주는 찌케이스에 넣어서
낚시대와 같이 낚시대집(케이스)에 같이 넣어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러면 찌 눌림이나 파손을 최소화 할 수 있습니다.
다만, 낚시대집(케이스)가 작은것이 있어서 같이 넣기가 불편한것이 있습니다.
찌 케이스는 자주 가는 낚시점에서 "공짜"로 얻어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여분의 찌는 낚시대 살때 주는 낚시케이스(사각투명플라스틱통)에
넣어가지고 다닙니다.
그러고보니 뻐드리님과 붕알님의 방법을 다 사용하고 있네요.....^^..
아침이슬님!
도움이 되셨는지 모르겠습니다.
오늘도 즐건 하루되십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