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지식

· 기타지식

건져보면 옥수수가 으깨져 있습니다

무엇의 소행일까요? 

가벼운 찌맞춤인데도 찌의 움직임은 없었습니다.  궁금해 미치겠네요..


캐스팅 할 때 채비 회수 할 때 옥수수가 그렇게 될 수도 있습니다
저는 바늘을 완전히 감싸서 사용하는데다 지금껏 그런적이 없었거든요.
옥수수를 으깰만한 수생생물이 붕어말고 또 있을까 해서 질문드려 봤습니다..
으깨지는거는 인두치 있는 아이들(붕어,잉어 포함. 잉어목....) 소행일 확률이 높은 데.

소심한 입질을 하는 경우에는 입에 넣자 마자
단한두번만 오물거리고, 몸을 전혀 움직이지 않고 밷어버리는 경우가 상당히 많습니다.

이물감?을 최소로 한다고 찌놀림에 왜곡을 준 채비들은 그런 예신에 가까운 입질을 표현해주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봉돌이 뜨는 채비, 2바늘 긴목줄 채비)

말이 예민한 채비? 이지
물속 물고기의 움직이는 동작을 섬세하게 표현해주는 것 과는 거리가 먼 것이구요.

일반적인 봉돌이 바닥을 짚는 바닥채비라
할지라도 찌맞춤을 지나치게? 섬세하게 맞추는 경우에는 그상태로 땟장같은 수초지대를 넘겨치는 낚시를 하는 경우에는 원줄 무게가 수초지대에 실리면서 채비가 가벼워져서 봉돌이 떠오르고 바늘만 바닥을 짚는 경우도 실제낚시에서 흔하게 나오는 현상인데.
물속고기가 수중에 떠있는 봉돌보다 더높은 위치까지 올려주지 않는 이상, 찌가 움찔거릴지언정, (붕어는 이미 올릴 만큼 올린 상태이지만)찌는 깔끔한 찌올림이 표현하지 못하는 경우도 흔히 생기는 현상이구요.
목줄까지 길게 세팅된 경우에는 그럴싸한 찌올림을 볼 수 있는 확률이 더욱 줄어듭니다.

봉돌을 띄운 채비들의 본신 입질 표현이
대부분 끌고가는 경우가 이런 이유이기 때문이고, 그러한 채비도 목줄이 짧아질 수록 찌올림이 조금이라도 표현되는 빈도가 높아질 수 있습니다.
찌표현이 올리기도 하고, 끌기도 하는것은 채비밸런싱이 그리되어 있어서 찌가 그리 표현하는 것이지 , 붕어가 채비를 보고 "ㅇㅇ채비네?" "끌고갈까? 아니면 이번에는 올려줄까?" 고민하는 게 아닙니다.

채비에 의도된 혹은 전혀 생각치도 않던 왜곡이 있던간에 이물감?을 줄이겠다는 의도로 밸런싱된 채비는 적극적인 먹이활동이 아닌 경우에는 찌에 표현이 안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어항에서 물고기를 키워보시면 아시겠지만, 몹시 배부르거나 다른 이유로 매우 소극적인 먹이 활동을 하는 경우에는, 밥 안먹는 아이 밥 한술 먹이려고 수저에 밥 올려서 아이 쫒아다니는 것과 크게 다를 바가 없습니다.

영상을 올리드릴수는 없지만
배부르면 호기심에 입에 넣어보고 그냥 밷어버리는 경우가 생각보다 상당히 흔한 움직임이구요.

이런 상태의 붕어를 낚아내려 한다면
(붕어가 호기심에 잠시 미끼를 흡입하는 동작에) 찌가 움찔만해도 챔질을 해서 제걸림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채비가 답이 겠죠. 실제로 그런 채비도 있구요.

'왜곡이 많은 채비'를 '예민한 채비'라고 표현하기 보다는 '이물감?을 줄 인 채비'라고 표현하는 것이 잘 모르는 유저들의 혼동을 발생할 수 있는 여지를 줄여줄 수 있을 것입니다.
역시 붕어 잉어일 가능성이 제일 크겠네요. S모그님 자세한 말씀 감사드립니다..
가지고 있는 자료 중에 배부른 붕어가 입에 넣자 마자 간만 보고 바로 밷어 버리는 상황만 캡쳐해서 올려 드립니다.

위에 캡쳐된 움짤은 제가 실제로 9cm급 유어를 채집해와서 9치 전후정도 까지.키우면서 관찰하고 있는 붕어이구요.
입에 넣자 마자 밷어버린 것은 제가 아침마다 사료 외에 특식(?)으로 주는 육젓용 냉동새우입니다.
(저 상황과 반대로 매우 허기진 상태이면 저 상황과 전혀 반대로 걸신 들린 듯 입안에 최대한 많이 흡입한 상태로 우걱우걱 환장하고 먹죠.)
개인적으로 붕어의 소행일 거라 믿습니다.

붕어낚시에 있어 현재의 시기는 지역적인 차이는 있지만 저수온기 입니다.
조력이 있고 저수온기 낚시를 경험한 꾼이라면 잘 아시겠지만 평소와 다른 찌의 반응을 경험 하셨을 겁니다.
반마디만 올리는 입질, 깔짝하고 마는 입질등 아주 미세한 입질, 어떤 때는 입질은 없었는데 미끼 갈려고 대를 들면 붕어가 달려있는 경험도 하죠.
이는 저수온기(약4도씨 이하)가 되면 붕어는 에너지를 줄이기 위해 스스로 활동 폭을 줄이며 적어진 산소량으로 협기성호흡 하게 되며 최대한 활동폭을
줄이는 시기이기에 입질이 미세하고 약하죠.

이 때의 낚시는 단단한 미끼보다 붕어가 흡입하기 좋은 부드러운 미끼 유리하며, 어느정도 수온이 보장된 좀 깊은 수온과 이물감이 적은 채비보다 예민한 채비가 유리하며, 햇볕이 잘 든 낮 낚시가 더 많은 조과를 가질 때가 많죠.
다대편성 하셨으면 못보셨을수도...^^;
2주전 낚시에서....
입질이 정말 예민했습니다
내림채비인데도 2마디 살짝 올려 좌우로 끄는 입질인데 확실한 타이밍을 위해 기다렸지요
근데 그게 끝이더군요
들어보면 어김없이 옥수수는 씹어져있고....
그리고 옥수수 씹는 놈이면 최소 9치 이상급이라고 생각합니다...^^;
붕어 가 맛 을 보고 간듯.
목줄길이가길고. 찌맞춤이 무겁다면
봉돌이 바닥에 안착된 상테 에선 붕어가입질에 몸짓을 해도 찌는 움직이지 않습니다.
목줄 길이 만큼 사각 구간이 생기니까요.
목줄이 길면 붕어가 옥수수 를 물고
목줄길이 보다 더 높이 또는 멀리 움직일때 찌가 올라 옵니다.
해서 목줄이 길면 님과같은 현상이 나올수
있습니다.
가벼운 맞춤에 긴목줄이 맞긴 한데 네대밖에 안폈기 때문에 놓친 입질이라고는 생각 안했습니다.
하지만 제생각일뿐이겠죠? 못봤을수도 있겠네요.
간혹 우렁이가 바늘에 걸려 올라오는 사진을 봤는데 이렇게 으깰수도 있을까요?
그렇다면 우렁이일수도 있겠네요..
정성어린 조언을 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우렁이나 다슬기는 씹을 수 있는 치아구조가 아니라서 무언가를 씹어서 먹는 동물이 아니고,
대패처럼 조금씩 긁어서(갉아서, 깍아내서) 먹는 동물들입니다.
가지고 있는 자료 중에 다슬기 자료가 있어서 캡쳐 후 첨부해 드립니다.


옥수수 같은 미끼에 다슬기나 우렁이가 입을 대면 통나무를 조각도로 거칠게 밀어서 깍아낸 것처럼 미세하게 긁힌 자국이 보이구요.
참붕어 같은 생미끼는 뼈다귀만 교묘하게 남기고 살점 부위만 완전히 깨끗하게 발골해서 갉아먹는 기술을 보이죠.
수서곤충들입니다
사진상 씹지는않았지만 큰어체가 속만빨아먹고
껍질만 남은것처럼보이지만
밤이라면 우렁이나 수서곤충들 물방게유충
잠자리유충 개아재비
낮이라면 붕어치어 참붕어치어등
아주작은어류나 유충들은 부력에 영향을주지않을정도로
아주천천히 야금야금 속만 빨아먹는데

꼭 붕어가 씹고 뱉은것처럼 사진처럼
저럴때가 많습니다

낚시장소가 배스터라면 붕어나 잉어의 소행일수도있지만
토종터라면 수서곤충이라고 생각되어지네요

아주가끔 자라나 붉은귀거북이도 저렇게
해놓곤합니다
우렁이.. 찌에 아무런 반응도 없이 깡냉이가 사라집니다.,
저도 그런경우가 종종 있었는데 느낌상 수생곤충이라는 생각을했습니다
천연기념물 몇 종 있지요~~~^^

밀어
끌어
들어
빠러

질문자분의 경우
돌연변이 "씹어"가 있는 곳으로
출조를 하신것 같습네당~~~~ㅋ

날씨도 추운데
한번 웃어 보시라고 쉰 소리 남겼습니당~~~~~



2024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