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낚시인구에 대한 정확한 숫자는 조사되었지 않습니다. 정확하지는 않지만 여러 예측치들이 있는데 잠깐 열거하겠습니다. 이 자료의 출처입니다. '낚시면허제 도입의 필요성 및 타당성에 관한 연구’ 해양수산부, 2002
환경부 내수면 낚시면허제 도입검토(1992. 8) - 약 400만 명 -- 인터넷 연합뉴스
배상우, 낚시가 사회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1992) - 약 325만 명 -- 한국갤럽표본조사
환경부(1995.8) - 약 400만 명 -- 민물: 70%, 바다: 30%
연합뉴스(96. 4. 27) - 약 400만 명 -- ‘환경부 낚시면허제 적극추진’ 기사 중
조계근(2002. 12) - 약 500만 명 -- 내수면: 70%(350만 명), 해수면: 30%(150만 명)
김동진(2000) - 약 800만 명 -- 붕어낚시보감
낚시광장 web-site - 약 400~500만 명
낚시인구 추정치 - 500만 명 -- 내수면: 70%, 바다: 30%
2007년(벌써 작년이네요)에 발표된 통계를 본 기억이 있습니다. 정확한 출처는 기억이 안나지만 2007년에 750만명으로 예측하고 있더군요. 꾸준히 낚시인은 증가하고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낚시를 새롭게 즐기는 분들의 선배인 월님들! 선배로써 후배들의 귀감이 되도록 환경을 생각합시다.*^^*
저의집사람도 던져보고 애들도 던져봤으니 낚시인구라고 하기엔....무리가 따르지 않을까요...ㅎㅎ
장비 어느정도 구색맞게 하고 낚시하는 인구수가 아닐까 싶습니다.
따지고보면 엄청많은분들이 낚시를 하시는것 같네요.
아마 엄청나지 싶네요
그많은 낚시방들 먹고 사는거 보면요
낚시에 입문 또는 여가 생활의 취미로
낚시를 하는 사람이라고 생각합니다.
정확한 낚시인의 통계는 없다고 봐야 합니다.
다만 일반적인 추정은 600만명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어떤 분은 800만명까지 보는 이도 있습니다.
600만명으로 추정해도 우리나라 인구의 10명중 1명이라는 계산이 나옵니다.
그 중에 민물낚시동호인은 80%, 바다낚시20%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또 민물낚시의 80%가 정통바닥낚시 동호인으로 보고 있습니다.
분명한 것은 우리나라 공식 집계는 없다는 겁니다.
환경부 내수면 낚시면허제 도입검토(1992. 8) - 약 400만 명 -- 인터넷 연합뉴스
배상우, 낚시가 사회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1992) - 약 325만 명 -- 한국갤럽표본조사
환경부(1995.8) - 약 400만 명 -- 민물: 70%, 바다: 30%
연합뉴스(96. 4. 27) - 약 400만 명 -- ‘환경부 낚시면허제 적극추진’ 기사 중
조계근(2002. 12) - 약 500만 명 -- 내수면: 70%(350만 명), 해수면: 30%(150만 명)
김동진(2000) - 약 800만 명 -- 붕어낚시보감
낚시광장 web-site - 약 400~500만 명
낚시인구 추정치 - 500만 명 -- 내수면: 70%, 바다: 30%
2007년(벌써 작년이네요)에 발표된 통계를 본 기억이 있습니다. 정확한 출처는 기억이 안나지만 2007년에 750만명으로 예측하고 있더군요. 꾸준히 낚시인은 증가하고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낚시를 새롭게 즐기는 분들의 선배인 월님들! 선배로써 후배들의 귀감이 되도록 환경을 생각합시다.*^^*
전체인구의 10% 안밖이 아닐지요~~
많을거라 생각이 드네요 ...ㅋ 나의생각 여그까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