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지식

· 기타지식

[질문/답변] 메기 낚시 채비 관련 질문입니다.

/ / Hit : 7361 본문+댓글추천 : 0

이제 막 낚시를 시작한지 한달도 안된 초보입니다. 친구따라서 싸구려 원투대 하나 사서 서해바다에서 첫 출조를 한 이후로 한 대여섯번 정도 나간 것 같습니다. 매번 채비는 그냥 주변 낚시슈퍼에서 묶음추(이름이 맞나 모르겠네요) 서너개씩 사갔습니다. 바다 갔을 땐 바다용으로, 민물갔을 땐 민물용으로. 바늘 3개에 추 하나 달린 걸로요.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skyguy11&logNo=220478313939&proxyReferer=https%3A%2F%2Fwww.google.co.kr%2F 이런 걸 썼습니다.) 근데 찾아보니까 대상어종별로 채비가 많이 달라지던데 어떤 차이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예를 들어, 제가 제일 낚고 싶은 건 메기를 한번 낚아보고 싶은데 인터넷에 찾아보니 릴낚시 기준으로 구멍 봉돌 4 ~ 10호에 감성동 바늘 3 ~ 6호 혹은 농어바늘 15 ~ 18호를 쓰라고 나와있네요. (http://eoieoi.tistory.com/56) 낚시줄의 호수나 바늘의 호수는 뭐 낚시터나 대상 어종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는 부분을 이해할 수 있을 것 같은데 그래도 바늘은 하나 다는 것 보다는 묶음추처럼 3개 달린게 잡을 확률이 더 높은 거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어 질문드립니다. 그리고 구멍 봉돌을 사용하는 것과 추를 사용하는 것 간의 차이도 있을지 여쭙니다.

메기 50cm만 넘으면 제압이 쉽지 않습니다.

맹탕이라면 모를까 돌무더기나 수초지대를 은신처로 삼는 메기의 특성상
외바늘 쓰실 것을 권합니다.

미끼는 닭간이 좋다고들 하는데 구하기 쉽지 않고
지렁이, 참붕어, 새우 등 동물성이면 가리지 않고 잘 먹고
싱싱한 것 보다는 약간 퀴퀴한 냄새나는 상한 것에 입질이 빠릅니다.

비온 뒤 황토물이 안정되기 시작할 때가 좋고
초저녁 해질무렵부터 입질이 집중되지만
대물은 늦은 밤에 출몰합니다.

이상 잡어전문의 경험담입니다.
출조지가 강계인지 저수지인지 모르겠군요.
강계라면 싼 거 기성품 위주로 쓰시는 게 좋습니다.
"릴 지렁이 바늘"로 검색하면 나오는 채비말입니다.
강계는 흐름이 있어서 밑걸림에 채비 손실이 많기 때문입니다.
밑걸림에 뜯기면 미련없이 끊고 새거 달아버리는 게 편합니다.

자작채비를 사용하시려면 기둥줄에 편대로 목줄을 달고
그 아래에 약한 연결로 버림봉돌을 구성해주시면 됩니다.
기성품 릴 지렁이 바늘에서 아래의 봉돌만 끊어낸 뒤
2호줄 정도를 써서 다시 연결해줘도 간단한 버림봉돌채비가 되겠죠.
밑걸림 시 봉돌만 떨어져 나가도록 해주고
채비회수해서 다시 봉돌을 달아 사용하는 방법이죠.
아시겠지만 편대를 쓰는 이유는 지렁이나 미끼가
기둥줄과 엉키는 것을 막아주기 위함입니다.

흐름이 없는 호소 등의 경우엔 채비를 다양하게 쓸 수 있지만
조과는 거기서 거기라 생각합니다.
메기는 탐식성이 큰 어종이니 근처에 미끼가 있으면 덤빈다고 보시면 됩니다.
즉, 채비보다는 포인트가 중요하다는 말씀이죠.

포인트에 버금가게 중요한 것은 미끼입니다.
닭간이 좋다는 말은 예전부터 있어왔는데요.
이게 충주댐 찬넬메기 잘 나오던 시절에 고등어와 함께 많이 쓰였죠.
재래시장의 닭발, 모래집 등의 부산물 파는 곳에 있습니다.
특이한 게 대물붕어도 잘 먹습니다.
하지만 메기낚시에 특효는 아니라 생각합니다.

문제는 너무 연해서 투척이 쉽지 않다는 것이죠.
조과가 아주 특출한 것도 아니고 구하기도 어려운데다
운용까지 쉽지 않다면 굳이 쓸 필요가 있을까 의문입니다.
그냥 붕어용 지렁이 굵은 거 써도 좋습니다.

메기낚시 생미끼로는 거머리를 따라올 게 없다고 봅니다.
가장 큰 이유는 미끼가 오래간다는 것이죠.
메기는 대체로 해질 무렵과 한밤중, 해뜨기 전이 피크인데요.
저녁과 새벽은 다른 잡어들도 같이 설치기 때문에
웬만한 지렁이는 잡어들이 다 뜯어버립니다.
메기가 덤빌 때까지 남아나질 않겠죠.

거머리는 아주 질겨서 잡어들이 절대 뜯지 못합니다.
대물 메기나 붕어가 올 때까지 버텨주는데다
한 번 입질했어도 손상이 거의 없어서 재사용이 가능합니다.
메기의 경우 적시 챔질로 깊이 삼키는 것을 방지했을 경우의 얘기겠지요.

하지만 거머리라는 게 구하기 쉽지 않습니다.
평창, 정선, 영월 등의 로컬 낚시점에서 성수기에만 구할 수 있을 정도...

차선책은 산지렁이입니다.
산지렁이 캐는 법은 대체로 아실테고 몰라도 인터넷 검색하면 잘 나옵니다.
현장에 조금 일찍 도착해서 주변을 답사 겸 한바퀴 돌아
산 지렁이 채집하는 것도 메기낚시 재미 중 하나입니다.
어쨌든 잡는 건 잡는 거니 이거 빠지면 시간가는 줄 모릅니다 ㅎㅎ

산지렁이는 "지렁이꽂이"라는 관통채비를 사용해서 바늘에 끼웁니다.
잡어 등쌀에 견딜 수 있고 재사용 역시 가능합니다.
지렁이 관통채비는 바다낚시 갯지렁이 관통 미끼에서 유래한 것인데
요즘은 민물 장어낚시도 거의 이 방법을 쓰고 있죠.
사용법도 어렵지 않아서 인터넷 검색하면 쉽게 배울 수 있습니다.

여하튼 메기는 포인트, 미끼가 우선이고
바늘이나 봉돌 등의 채비는 그리 신경쓸 문제가 아니라 생각되네요.


전 천렵 얘기만 나오면 아직도 가슴이 뜁니다.
펄펄 날던 시절, 마누라와 어린 아들네미 데리고
강으로 댐으로 쏘다니던 그때가 무척 그립군요.
아들이 어른 되고 나니 천렵이나 캠핑도 거의 갈 일이 없네요ㅠㅠ
하긴 요즘은 붕어낚시 가서도 잠만 자다옵니다.
메기도 은폐엄폐를 좋아해서 큰돌이나 수몰나무 등지에서 잘 잡힙니다
장애물을 고려해 외바늘채비가 주효하고 미끼는 닭간,깨벌레,거머리 등이 즉효입니다
산지렁이를 대체하셔도 되지만 다른 어종이 달려들수 있습니다
마릿수는 해질녁,동트기전이 좋고 큰놈은 자정너머가 좋습니다



2024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