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꽁치찌 3B는 학공치찌로는 무거운 거지만 팥알보다 크기가 작습니다.
빙어채비는 가벼운 게 좋지만 너무 가벼운 찌로 마이너스채비를 하면 채비입수가 잘 안되고 채비정렬이 더딘 경우가 많습니다.
빙어낚시는 카드채비로 하기 때문에 신속한 채비정렬과 고패질이 중요하다고 봅니다.
빙어가 바닥층에서 놀면 무거운 봉돌에 가벼운 찌로(파는 채비 그대로) 신속하게 채비를 내리고 고패질을 해도 잘 잡힙니다.
전수심층을 노리려면 민물찌 찌탑을 자르고 발포찌를 삽입하는 등 리모델링하여 발포찌의 3/4이 잠기도록 찌맞춤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부력이 적당한 민물찌 찌탑을 자르고 발포찌를 삽입하는 등 리모델링하여 발포찌 상단이 보이도록 찌맞춤을 하면 전층을
노릴 수 있습니다. 아래 그림의 맨우측찌를 참조하세요. 그림은 퍼 온 것입니다.
학꽁치 찌를 사용하면 좋을뜻합니다.
중층에 띄워서 낚시할려면 민물찌 부력이 좀나가는것 마이너스 찌 맞춤하여
사용하면 됩니다.
늘 생각하는 거지만
애매한 부분이 있어요...^^
빙어채비는 가벼운 게 좋지만 너무 가벼운 찌로 마이너스채비를 하면 채비입수가 잘 안되고 채비정렬이 더딘 경우가 많습니다.
빙어낚시는 카드채비로 하기 때문에 신속한 채비정렬과 고패질이 중요하다고 봅니다.
빙어가 바닥층에서 놀면 무거운 봉돌에 가벼운 찌로(파는 채비 그대로) 신속하게 채비를 내리고 고패질을 해도 잘 잡힙니다.
전수심층을 노리려면 민물찌 찌탑을 자르고 발포찌를 삽입하는 등 리모델링하여 발포찌의 3/4이 잠기도록 찌맞춤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부력이 적당한 민물찌 찌탑을 자르고 발포찌를 삽입하는 등 리모델링하여 발포찌 상단이 보이도록 찌맞춤을 하면 전층을
노릴 수 있습니다. 아래 그림의 맨우측찌를 참조하세요. 그림은 퍼 온 것입니다.
주간 케미 꼽아서 유동찌로 만들어서 전층 수심 공략하면 조과 보장 됩니다.
구미 산동면 백현지 얼음에서 2~3m 아래에서 잘잡힙니다(지금은 상류로 바늘 2세트 12개연결 해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