덩가다님 글 보고 댓글 올립니다.
덩가다님이 찌+찌고무가 고정된 상태라 생각을 하신건지...
찌+찌고무는 *유동형 채비라면 낚시 줄을 따라서 위,아래로 움직입니다.
그래서 물밖에 건져내면 찌+찌고무는 아래쪽 봉돌쪽의 찌멈춤고무(=스토퍼=멈춤고무)가 있는 위치까지 흘러 내려 가구요.
이상태에서 이걸 물에 던지면 *찌+찌고무와 *봉돌이 같이 날라가 수면에 떨어집니다.
이후 *찌+찌고무는 수면에 떠있는 상태에서 찌고무고리로 봉돌이 묶인 낚시줄은 흘러 바닥까지 내려가게 됩니다.
그러다, 초리실쪽(찌+찌고무 위쪽)의 찌멈춤고무에 찌+찌고무가 걸리면서 찌 위치는 멈추고 수면에 서게 됩니다.
낚시줄에서 찌+찌고무는 위,아래로 움직이는 상태이고, 찌멈춤고무의 위치를 위,아래로 조정하며, 찌가 수면에서 보이는 적당한 위치를 정하는게 되고
그렇게 찌맞춤하구요.
그러면 찌는 그 위치에서 입질에 따라 떠오르고 가라앉고 하게 되는 겁니다.
부수적인 입질의 예민성이나 감도는 찌의 부력과 채비의 비중등 요인이 많습니다.
그에 맞춰 낚시하는 사람이 챔질시 여유를 어느정도로 할지 경우에 따른 감(?)이 필요 한 것이라 생각합니다.
둔한 물고기는 과감히 미끼를 물것이고, 예민한 물고기는 깔짝깔짝 잔 입질을 많이 할것이고...
대상붕어의 특성과 채비의 감도등 따질게 너무 많습니다...
언급하신데로, 낚시는 특성과 채비의 감도등 따질게 너무 많고 감이 요구됩니다.
헌데, 찌고무 아래의 찌멈춤고무를 봉돌쪽으로 옮겨 찌유동 거리를 풀어버렸을경우, 발생할 수 있는 오차 경우의 수가 추가된다는 생각입니다.
즉,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입니다.
캐스팅한 찌는 뒷줄의 누르는 침력과, 찌부터 봉돌까지의 원줄.채비 침력을 지탱하고 있습니다. 또한 대를 거치후 초리를 일정수준 이상 물에 담궈
뒷줄이 뜨지 않게 세팅하기도 합니다. (즉, 뒷줄에 침력이 더해집니다.)
찌 자중 대비 순부력이 낮고, 원줄의 무게비중이 높거나 홋수를 높게 사용하는 낚시의 경우, 입질시 찌의 반발력이 낮아지고 움직임이 둔하며, 이에 원줄의 수중비중(무게)와 찌를 누르는 뒷줄의 무게에 따라 찌에 순간적인 고정력이 생길 수 있습니다.
또, 낚시자가 구성한 채비의 무게 비율(원줄~봉돌)에 따라. 일정 수준이상의 가속도 입질을 받을 경우, 수직으로 고정된 물체가 아닌 유연성이 있는 낚시줄이기 때문에 이로 인해 찌에 어떠한 반응은 보이겠으나, 수중원줄이 먼저 찌고무를 통과할 가능성도 열릴수 있다는 생각입니다.
통상 대상어의 입질은 봉돌의 침력과 찌의 부력을 상쇄시켜 위쪽 찌멈춤고무에 찌고무가 걸려 찌가 떠오릅니다. 헌데, 찌에 일시/순간 고정력이 발생할 경우, 이에 반발력을 넘어서는 가속도가 붙은 움직임이거나, 어떠한 환경적 요인, 채비, 세팅 등이 작용하여 아래쪽 찌멈춤고무에 의해 찌고무가 걸려 위로 떠오른 움직임 표현이 포기되기 때문에 저는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0가 아니며, 절대적으로 배제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는 것입니다.
적어주신 글 읽어보고 이해하기에는 '어떤 작용으로 인하여 아래쪽 찌멈춤고무에 찌고무가 걸린다' 라는게 이해가 어렵네요.
입질을 받아 찌가 부력에 의해 떠오르는 과정에서 찌와 위쪽의 낚시줄 보다 그 아래쪽 봉돌쪽의 낚시줄이 먼저 오르게 되어 찌가 걸린다는 이야기 인지요?
그런 경우가 있을까 싶은게~ 찌의 부력 세팅이 맞다면, 입질시 찌는 바로 반응하여 떠오를 것인데, 그 과정에 아래에 있는 봉돌쪽 낚시줄이 먼저 떠올라 아랫쪽의 멈춤고무에 찌고무가 걸릴수 있을까요?
수심이 엄청 깊고, 입질하는 대상어가 아주 빠른속도로 떠오르는 찌보다 더 높은 위치에 봉돌을 들어 올리지 않고서야...
찌가 어디 걸리던지 하자가 발생하지 않으면 불가능 할 것 같습니다.
행여 그렇게 된다면 낚시줄이 꼬이거나 엉키지 않을까요?
봉돌도 생각보다 무게가 있어서 낚시바늘을 먼저 들고 한바퀴 감긴줄 푸는것도 쉬운게 아니던데 말이죠.
찌고무보다 아래쪽 있는 멈춤고무에 찌고무가 걸릴수 있다고 말씀 하시는게, 부유뮬이나 장애물로 인해 찌나 봉돌이 수면에 떨어지지 않은 상황이
아니라면,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인지 의아한 점 있네요.
발생가능한 모든상황을 생각해본다면 영향이 1도없다고 단정지을수는 없겠으나 거의 미비할것으로 생각되네요~누가 원줄이나 채비를 강제적으로 들어주지 않는이상 채비의 침력이 해소가 되면 아랫찌고무가 찌를 밀어주는게 아닌 찌는 스스로 올라오는것이기 때문에 윗분말씀대로 아랫찌고무가 어떤 이유에서건 찌보다 더높은위치까지 빠르게 올라오는 상황이 아니고서는 입질파악에 현저하게 차이가 날수있을까 싶네요..만약에 그게 차이가 그정도로 난다고하면 하다못해 낚시방송에 나오는 사람들도 그렇게쓸까 싶습니다..
저같은 경우는 그때그때 다르게 쓰는데 노지에서 장대사용이나 바람등 외부여건에 의해 투척이 어려우면 유동을 최대한 많이주고(채비들었을때 캐미의 위치가 봉돌에 걸리지않을정도) 양어장의 경우는 거의 주질않습니다. 이유는 유동을 많이주면 아무래도 채비가 내려가는 속도가 더뎌지는것은 자명한 일이라 양어장 떡밥낚시시 깊은수심을 설렁설렁 내려가면서 떡밥이 과도하게 풀려 집어에 좋지 않다고 생각이되고 또 찌가 입수하는맛이 좀 떨어져서 입니다. 투척후 찌가 벌떡일어서서 부드럽게 내려가는것이 또 입수하는맛인데 깊은수심에 유동을 많이주면 찌가 선상태에서 앞으로 휘청거리며 끌려오다가
자리를 잡기때문에 그런맛이 많이 떨어지죠...정 궁금하시거든 최대한 같은조건에서 실험해보시는것이 좋겠죠~
수조통에서 실험해보았습니다. 위쪽 찌스토퍼 아래에 걸려있는 유동찌고무는 봉돌을 굉장히 삘리 들어도 유동찌고무가 위쪽 스토퍼보다 처지는 경우는 없습니다. 유동찌고무가 위쪽 스토퍼와 스토퍼와 간격이 벌어지려면 낚시줄이 굽어지지않고 봉돌이 들린 만큼 위쪽 스토퍼가 움직여야 하는게 실제로는 유동찌고무 아래부터 봉돌 사이의 낚시줄이 굽어지지 유동찌고무와 위쪽 스토퍼와 간격이 벌어지지는 않습니다.
더 정확하개 표현하자면 간격이 벌어지지 않는다. 보다는 위쪽찌고무와 유동찌고무를 밀착시키는 것은 찌의 부력인데 그 힘이 아주 살짝 약해질 수는 있지만 간격이 벌어지지는 않을 정도이다 라고 표현하면 될 것 같습니다.
30분 정도 실험해 본 결과인데 찌의 부력이나 낚시줄의 두께 유동찌고무의 유동성(도래내경) 등에도 어느정도 영향이 있응 수도 있으나 미미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3.4그램 부력, 나일론 3호줄로 실험했습니다.
찌가 왜 봉돌 위 20cm인지요?
찌가 너무 내려오면 채비투척 시 바늘과 찌가 엉키는 경우가 많습니다.
저는 찌는 항상 찌 길이보다 약간 더 긴 위치까지만 내려오게 합니다.
찌가 40cm라면, 찌는 봉돌 위 45cm 정도까지만 내녀오게 합니다.
수심이 너무 얕지만 않다면요.
그리고 찌의 유동이 헛챔질을 유발할 어떤 이유도 떠오르지 않네요.
낚시대를 들었을 때를 빼고는, 어떤 경우라도 찌는 항상 상단 찌멈춤고무에 고정돼서 움직입니다.
제가 자연현상, 타생물에 의해 이루어지는 작용을 모두 예측하고 이해하기는 어렵겠으나,
제가 이 게시글을 보자마자 댓글을 쓰며, 첫 의문을 품었던 예시를 적어보겠습니다.
"4.4칸, 카본3~4호 원줄, 수심 1.5에 45cm, 캐미꽂고 캐미중간맞춤 찌를 세웁니다. 대략 초릿대~찌 6m(뒷줄), 찌~봉돌 1m.
투척 후 찌가 서고, 초리를 담군후 서서히 카본줄무게로 뒷원줄(찌~초릿대)눌림 발생..., 바람, 흐름, 대류, 바닥상태등 자연현상들과 뒷줄이 눌림으로 서서히 첫 투척위치 대비 낚시자 쪽으로 당겨지고..."
이런 자연 상황에서 '찌고무 아래 찌멈춤고무가 없다'면,
찌고무 위의 찌멈춤고무가 잡고있어 지속적으로 잘 표현해 주고 있을까.
들썩이는 현상의 영향을 받아 밀림-움직임으로 인해 봉돌은 계속 바닥을 찍고 찌는 내가 찍은 목수를 표현해 주고 있지만, 찌고무는 나도 모르게(바닥 높낮이등) 이미 아래로 밀려 봉돌과 찌거리는 동일하게 표현하지만, 찌고무와 위쪽 찌멈춤고무의 거리는 이미 점점 벌어져 있는것은 아닌지?
캐스팅한 봉돌이 돌 위에 라도 올라타면 ? 찌 아래로 봉돌과 수직은 이뤄 찌는 제 목수를 보이겠지만 위쪽 찌멈춤고무와 거리가 벌어지겠는데..
만약 그렇다면 입질을 받아도, 찌고무가 위쪽찌멈춤고무에 걸리기 전까지 입질받아도 깔짝이는 (오차)가 발생하겠는데....? (1번)
혹시나 수위변화가 있거나 - 수심이 낮아지는 만큼 찌는 계속 내려가 자리를잡겠는데, 뒷줄은 더 영향을 받겠고,나는 예민하지 못하니 못알아채겠군... (2번)
이게 의문의 시작이었습니다.
"찌고무 아래 찌멈춤고무가 있다면"
자연영향을 받아 조금 밀리더라도,
바닥이 울퉁불퉁하네, 돌맹이에 올라 탔네. 이물에 올라탔네 등.. 조금이나마 오차를 줄일수 있겠는데. 입니다.
위의 댓글에 말씀드렸듯, 개인의 채비, 터, 자연환경에 따라 다르니 "있다. 없다." 깔끔하게 증명해 보일수 없으나, "오차 가능성있고 , 그 경우의 수를 늘린다."라는 생각입니다.
초리실--찌멈춤고무--찌고무--찌멈춤고무----봉돌-바늘.
상태에서, 봉돌에 가까운 찌멈춤고무를 봉돌쪽으로 엄청 내려서 쓴다는 말씀 아닌가요?
입질시 찌가 상하로 표현해주는 움직임에서, 쉽게말해 찌가 올라오는 표현의 고정나사를 풀어버리는건데,
내림/빠는 입질에 표현은 되겠으나, 올리는 입질표현에 상당한 오차가 있을것이라 생각됩니다.
낚시해보시면 아시겠지만
자립찌 아닌다음에는 찌가 바로 서있질 안잔습니까
당연히 입질오면 찌가올라오죠 봉돌이 뜨는데
덩가다님 생각은 추측으로 낚시줄이 스르르 그냥 찌스토퍼 구명으로 지나간다라고 생각하시는거 같은데
아닌가요?? ^^
뜬금없이 봉돌-찌의 기본 매커니즘을 논하시네요.
찌 사용의 목적은 제3의 대상 움직임을 준비된 다양한 매커니즘을 통해서 오차를 최소화하여 낚시자가 예측. 알수있게 합니다.
그럼, 이것은 간접적으로 표현함에 있어 특정한 목적이 있지 않는 이상, 최대한 정직하고 명확하고 고정적이어야 하며, 이에따른 표현은 변형적, 유동적이지 않아야 합니다.
오차를 최소화함이 기본 목적임에, 오차 발생가능성을 열어놓고, 이건 발생할 가능성이 없는 추측과 이론이라 하시는데,
그럼 반대로, 제3의 생물움직임과 변화하는 자연환경, 낚시자가 준비한 개개인의 채비, 찌의 자중대비순부력, 바늘부터 찌고무까지의 무게분할비율, 원줄 수중비중, 수심에 따른 침력등을 생각하셔도,
통과될 상황 발생은 0이며, 아무 영향을 줄수 없을거라는 말씀이신데.
하단 찌멈춤고무는 봉돌부터의 원줄이 어떠한 요인으로인해 찌고무사이를 찌오름속도보다 빠르게 통과하는 상황을 배제시킬수 있습니다.
그래서 찌멈춤고무 하나로 오차범위를 열어두기엔 리스크가 많다고 생각하는 겁니다.
덩가다님이 찌+찌고무가 고정된 상태라 생각을 하신건지...
찌+찌고무는 *유동형 채비라면 낚시 줄을 따라서 위,아래로 움직입니다.
그래서 물밖에 건져내면 찌+찌고무는 아래쪽 봉돌쪽의 찌멈춤고무(=스토퍼=멈춤고무)가 있는 위치까지 흘러 내려 가구요.
이상태에서 이걸 물에 던지면 *찌+찌고무와 *봉돌이 같이 날라가 수면에 떨어집니다.
이후 *찌+찌고무는 수면에 떠있는 상태에서 찌고무고리로 봉돌이 묶인 낚시줄은 흘러 바닥까지 내려가게 됩니다.
그러다, 초리실쪽(찌+찌고무 위쪽)의 찌멈춤고무에 찌+찌고무가 걸리면서 찌 위치는 멈추고 수면에 서게 됩니다.
낚시줄에서 찌+찌고무는 위,아래로 움직이는 상태이고, 찌멈춤고무의 위치를 위,아래로 조정하며, 찌가 수면에서 보이는 적당한 위치를 정하는게 되고
그렇게 찌맞춤하구요.
그러면 찌는 그 위치에서 입질에 따라 떠오르고 가라앉고 하게 되는 겁니다.
그에 맞춰 낚시하는 사람이 챔질시 여유를 어느정도로 할지 경우에 따른 감(?)이 필요 한 것이라 생각합니다.
둔한 물고기는 과감히 미끼를 물것이고, 예민한 물고기는 깔짝깔짝 잔 입질을 많이 할것이고...
대상붕어의 특성과 채비의 감도등 따질게 너무 많습니다...
기분 나쁘셨다면 죄송합니다.
상처나 기분이 나빠서 글을 쓰지 않았습니다.
괜찮습니다.
물라방님,
작성해주신 글 잘읽어보았습니다. 말씀하신 메커니즘 그대로의 상황이 맞습니다.
언급하신데로, 낚시는 특성과 채비의 감도등 따질게 너무 많고 감이 요구됩니다.
헌데, 찌고무 아래의 찌멈춤고무를 봉돌쪽으로 옮겨 찌유동 거리를 풀어버렸을경우, 발생할 수 있는 오차 경우의 수가 추가된다는 생각입니다.
즉,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입니다.
캐스팅한 찌는 뒷줄의 누르는 침력과, 찌부터 봉돌까지의 원줄.채비 침력을 지탱하고 있습니다. 또한 대를 거치후 초리를 일정수준 이상 물에 담궈
뒷줄이 뜨지 않게 세팅하기도 합니다. (즉, 뒷줄에 침력이 더해집니다.)
찌 자중 대비 순부력이 낮고, 원줄의 무게비중이 높거나 홋수를 높게 사용하는 낚시의 경우, 입질시 찌의 반발력이 낮아지고 움직임이 둔하며, 이에 원줄의 수중비중(무게)와 찌를 누르는 뒷줄의 무게에 따라 찌에 순간적인 고정력이 생길 수 있습니다.
또, 낚시자가 구성한 채비의 무게 비율(원줄~봉돌)에 따라. 일정 수준이상의 가속도 입질을 받을 경우, 수직으로 고정된 물체가 아닌 유연성이 있는 낚시줄이기 때문에 이로 인해 찌에 어떠한 반응은 보이겠으나, 수중원줄이 먼저 찌고무를 통과할 가능성도 열릴수 있다는 생각입니다.
통상 대상어의 입질은 봉돌의 침력과 찌의 부력을 상쇄시켜 위쪽 찌멈춤고무에 찌고무가 걸려 찌가 떠오릅니다. 헌데, 찌에 일시/순간 고정력이 발생할 경우, 이에 반발력을 넘어서는 가속도가 붙은 움직임이거나, 어떠한 환경적 요인, 채비, 세팅 등이 작용하여 아래쪽 찌멈춤고무에 의해 찌고무가 걸려 위로 떠오른 움직임 표현이 포기되기 때문에 저는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0가 아니며, 절대적으로 배제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는 것입니다.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서 합니다.
적어주신 글 읽어보고 이해하기에는 '어떤 작용으로 인하여 아래쪽 찌멈춤고무에 찌고무가 걸린다' 라는게 이해가 어렵네요.
입질을 받아 찌가 부력에 의해 떠오르는 과정에서 찌와 위쪽의 낚시줄 보다 그 아래쪽 봉돌쪽의 낚시줄이 먼저 오르게 되어 찌가 걸린다는 이야기 인지요?
그런 경우가 있을까 싶은게~ 찌의 부력 세팅이 맞다면, 입질시 찌는 바로 반응하여 떠오를 것인데, 그 과정에 아래에 있는 봉돌쪽 낚시줄이 먼저 떠올라 아랫쪽의 멈춤고무에 찌고무가 걸릴수 있을까요?
수심이 엄청 깊고, 입질하는 대상어가 아주 빠른속도로 떠오르는 찌보다 더 높은 위치에 봉돌을 들어 올리지 않고서야...
찌가 어디 걸리던지 하자가 발생하지 않으면 불가능 할 것 같습니다.
행여 그렇게 된다면 낚시줄이 꼬이거나 엉키지 않을까요?
봉돌도 생각보다 무게가 있어서 낚시바늘을 먼저 들고 한바퀴 감긴줄 푸는것도 쉬운게 아니던데 말이죠.
찌고무보다 아래쪽 있는 멈춤고무에 찌고무가 걸릴수 있다고 말씀 하시는게, 부유뮬이나 장애물로 인해 찌나 봉돌이 수면에 떨어지지 않은 상황이
아니라면,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인지 의아한 점 있네요.
저같은 경우는 그때그때 다르게 쓰는데 노지에서 장대사용이나 바람등 외부여건에 의해 투척이 어려우면 유동을 최대한 많이주고(채비들었을때 캐미의 위치가 봉돌에 걸리지않을정도) 양어장의 경우는 거의 주질않습니다. 이유는 유동을 많이주면 아무래도 채비가 내려가는 속도가 더뎌지는것은 자명한 일이라 양어장 떡밥낚시시 깊은수심을 설렁설렁 내려가면서 떡밥이 과도하게 풀려 집어에 좋지 않다고 생각이되고 또 찌가 입수하는맛이 좀 떨어져서 입니다. 투척후 찌가 벌떡일어서서 부드럽게 내려가는것이 또 입수하는맛인데 깊은수심에 유동을 많이주면 찌가 선상태에서 앞으로 휘청거리며 끌려오다가
자리를 잡기때문에 그런맛이 많이 떨어지죠...정 궁금하시거든 최대한 같은조건에서 실험해보시는것이 좋겠죠~
더 정확하개 표현하자면 간격이 벌어지지 않는다. 보다는 위쪽찌고무와 유동찌고무를 밀착시키는 것은 찌의 부력인데 그 힘이 아주 살짝 약해질 수는 있지만 간격이 벌어지지는 않을 정도이다 라고 표현하면 될 것 같습니다.
30분 정도 실험해 본 결과인데 찌의 부력이나 낚시줄의 두께 유동찌고무의 유동성(도래내경) 등에도 어느정도 영향이 있응 수도 있으나 미미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3.4그램 부력, 나일론 3호줄로 실험했습니다.
찌가 너무 내려오면 채비투척 시 바늘과 찌가 엉키는 경우가 많습니다.
저는 찌는 항상 찌 길이보다 약간 더 긴 위치까지만 내려오게 합니다.
찌가 40cm라면, 찌는 봉돌 위 45cm 정도까지만 내녀오게 합니다.
수심이 너무 얕지만 않다면요.
그리고 찌의 유동이 헛챔질을 유발할 어떤 이유도 떠오르지 않네요.
낚시대를 들었을 때를 빼고는, 어떤 경우라도 찌는 항상 상단 찌멈춤고무에 고정돼서 움직입니다.
제가 자연현상, 타생물에 의해 이루어지는 작용을 모두 예측하고 이해하기는 어렵겠으나,
제가 이 게시글을 보자마자 댓글을 쓰며, 첫 의문을 품었던 예시를 적어보겠습니다.
"4.4칸, 카본3~4호 원줄, 수심 1.5에 45cm, 캐미꽂고 캐미중간맞춤 찌를 세웁니다. 대략 초릿대~찌 6m(뒷줄), 찌~봉돌 1m.
투척 후 찌가 서고, 초리를 담군후 서서히 카본줄무게로 뒷원줄(찌~초릿대)눌림 발생..., 바람, 흐름, 대류, 바닥상태등 자연현상들과 뒷줄이 눌림으로 서서히 첫 투척위치 대비 낚시자 쪽으로 당겨지고..."
이런 자연 상황에서 '찌고무 아래 찌멈춤고무가 없다'면,
찌고무 위의 찌멈춤고무가 잡고있어 지속적으로 잘 표현해 주고 있을까.
들썩이는 현상의 영향을 받아 밀림-움직임으로 인해 봉돌은 계속 바닥을 찍고 찌는 내가 찍은 목수를 표현해 주고 있지만, 찌고무는 나도 모르게(바닥 높낮이등) 이미 아래로 밀려 봉돌과 찌거리는 동일하게 표현하지만, 찌고무와 위쪽 찌멈춤고무의 거리는 이미 점점 벌어져 있는것은 아닌지?
캐스팅한 봉돌이 돌 위에 라도 올라타면 ? 찌 아래로 봉돌과 수직은 이뤄 찌는 제 목수를 보이겠지만 위쪽 찌멈춤고무와 거리가 벌어지겠는데..
만약 그렇다면 입질을 받아도, 찌고무가 위쪽찌멈춤고무에 걸리기 전까지 입질받아도 깔짝이는 (오차)가 발생하겠는데....? (1번)
혹시나 수위변화가 있거나 - 수심이 낮아지는 만큼 찌는 계속 내려가 자리를잡겠는데, 뒷줄은 더 영향을 받겠고,나는 예민하지 못하니 못알아채겠군... (2번)
이게 의문의 시작이었습니다.
"찌고무 아래 찌멈춤고무가 있다면"
자연영향을 받아 조금 밀리더라도,
바닥이 울퉁불퉁하네, 돌맹이에 올라 탔네. 이물에 올라탔네 등.. 조금이나마 오차를 줄일수 있겠는데. 입니다.
위의 댓글에 말씀드렸듯, 개인의 채비, 터, 자연환경에 따라 다르니 "있다. 없다." 깔끔하게 증명해 보일수 없으나, "오차 가능성있고 , 그 경우의 수를 늘린다."라는 생각입니다.
1도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