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지식

· 기타지식

이고기 이름이 뭔가요?아시는분??

경남부근 계곡에 가족나들이 갔는데 이물고기 이름이 뭔지모르겠더군요.. 아시는분 이름부탁드립니다... 계곡물은 1급수같던데...쉬리도 아닌거 같고...078.jpg
[이 게시물은 운영자님에 의해 2009-08-21 14:30:08 작품 조행기에서 이동 되었습니다]

중태기입니다.. 만지만 우윳빛깔의 진액이 나오고

맑은계곡에서만 서식을 합니다..
버들치 .중태기 호박시 어릴때 많이 잡은 고기네요
버들치 라고 하지요..
전국 강 , 하천에 서식하고 주로... 계곡 찬물에서 많이 에서 볼수 있더군요..
우리나라 토종 어종입니다.

절대적 1급수에만 서식하며, 물이 깨끗하면서도

수온이 찬곳에 주로 서식합니다.

이름은 표준어로는 버들치이며, 황어아과 잉어목 잉어과이며,

크기는 6 ~15센티이며, 환경청 보호어종입니다.

먹이는 실지렁이,새우무리,식물의 뿌리, 떡밥등 잡식성이며.

우리나라에는 주로 남해로 흐르는 하천에 폭넓게 분포되어 있는 비교적 흔한 어종입니다.

일본,중국,러시아등에도 있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오래전 친구와 낚시를 갖는데 이 친구가 이고기를 잡고서
누가 송어 치어를 엄청 방류 해 놨다고 했던걸 떠올리며 웃어봅니다...

이 고기가 사는물은 대부분 1급수라고 하던데 맞는가는 모르겟습니다.

주로 물맗은 계곡 및 산속 계곡지에 많이 서식합니다.

정답은 윗분들이 잘 말씀 해 주셧내요~~!!
중태기, 버들치(공식 명칭)네요.

저기 좀 큰 중태기, 붕어 크기로 치면 준척급 이상이네요. ㅎㅎ
틀림없는 버들치(중태기)입니다.
작고 희게 반짝이는 고기는 한마리는 피리네요
여기 횐님들께서는 어종 박사님들 이십니다
쿠마 잘배우고갑니다 감사합니다
버들치.... 월척님들 말씀대로 1급수 깨끗한 물에만 살며, 주록 계곡에 서식. 냉수어종이죠

긍데~ 사실... 왠만한 계곡에서는 다 볼수 있죠

사람들이 심각하게 자연을 훼손하지 않는 이상! 산의 계곡물이 2급수 3급수로 전락할 이유가 뭐 있겠어요
중태기 매운탕 ...

행복하고 건강한 출조 되십시요
제 전용낚시터에는 저거 흔해빠졌습니다. 버들치
버들치 아직 시골 개울가에서 좀 불수있죠
버들치(중태기)입니다.

가을에 루어낚시 생미끼로 많이 사용했습니다. 쏘가리 잡으려면 작은 버들치가 아주 효과적이죠....
어릴쩍에 마을계곡에서 지렁이 쪼끔씩짤라서 바늘달아 넣으면

10초에 한마리씩 나왔엇는데 ~ ㅎㅎ

그립네요 ..
충청도에서는 중태기라고 부르는 고기로 별로 인기가 없는 어종으로 밥풀이나 미끼를 가리지 않고 입질을 해 대는 웃기는
고기로 버들치가 표준어로 알고 있습니다.
계곡 가믄 물가에 많은뎅..중태기하죠,,
경상도에선 중태기..

다른곳에선 버들치..

그래도 피래미 한마리 끼었네여.^^
버들치 입니다...^^

계곡지에서 채집망 담그면 단골손님이죠...^^ㅋ
위에 다른늠은 갈겨니 같고요
다른늠들은 버들치네요
저히 동네에선 중고기 라고 합니다.
친구네 할머니댁 뒤에있는 소류지에가면 중태기가 바글거리죠 ㅎㄷㄷ; 20센치넘는것도봣다능.
어릴적에 낚시바늘이 없어 바느질바늘 굽혀서 밥풀이나지렁이 끼우면 5초에 한마리*** 우리는 중태 라고 불렀어요.
중태기 맞네여..
전 어릴적에 중태기를 먹지 않았어요..이유는..음...
그냥 남들이 안 먹어서..???
지금 잘 잡기도 힘들어 못 먹죠...
와우 대왕 버들치네요. 중태기라고도 하던데요. 중태기, 버들치, 버드쟁이, 버드재이ㅋㅋ
버들치욤...
중태기? 방언인가요? 아니면 토속어......

중트라지는 알고있는뎁 같은건가....
어릴적 강원도 원주에서 중트라지라고 불렀던 것 같네요...
중트라지 나오면 에~이
붕어나오면 와~우
금붕어나오면 올래~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