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워낙초보라서 좁쌀봉돌 채비 배우는 것이 쉽지를 않습니다.
귀찮으시더라도 가르켜주심 감사하겠습니다.
제가 하는 방식은
1) 수조밖에서 바늘 (10cm목줄에서 3cm정도에 2b좁쌀을 물리고), 본봉돌, 캐미까지 달고 가영점을 잡습니다.(좁쌀봉돌이 닿게 하고 찌는 1.2마디 나오게)
2) 그리고 수조에 넣어서 목줄이 휘지않고 올라올 정도로 본봉돌을 깍아냅니다. 어느정도 휘지않은 상태에서 수조뜰채를 조금씩 들어올려 찌가 올라오는지 확인합니다.
3) 현장에 가서 맞춰진채비(바늘,캐미,본봉돌 다 달고)를 원하는 위치에 투척하여 먼저 수심을 잡습니다. 그다음 50cm정도 내려서 다시 같은 장소에 투척합니다. 100% 찌가 가라앉습니다. 이상태에서 케미반혹은 1/3정도 나오게 다시 본봉돌을 깍아냅니다.
4) 그리고 다시 50cm 올려 1-2마디 나오게 하여 사용합니다.
질문드립니다.
1) 상기 방식으로 수조 및 현장 찌 맞춤하는 것이 맞는지요?
2) 좁쌀봉돌만 바닥에 닿아야 하는데 이를 확인할 수 있는지요?
3) 어느싸이트 보니 다른 분은 좁쌉봉돌 대신 8자 도래(바늘 채비의 교환용이성)를 사용한다고 하는데 이경우 도래는 몇호(머텔에보니 8.9.10호가 있습니다만)를 써야 2b좁쌀 봉돌 과 같은가요?
4) 8자도래를 쓸 경우 보통 (원줄-본봉돌-합사목줄 (약7cm)-8 자도래-합사 목줄(3cm)- 바늘)로 되어 있는데 이경우 본봉돌과 8자도래사이를 원줄로 연결해도 되는지요?
5) 그리고 좁쌀봉돌채비가 아닌 일반채비(캐미,캐미꽃이, 본봉돌, 바늘까지 모두 다달고)일경우 현장 찌 맞춤시 케미의 어느부분이 나와야 하는지요 ?일반채비의 현장찌 맞춤 설명 부탁드립니다.
미리 질문에 답변 감사드립니다.
좁쌀 봉돌 찌 맞춤 설명 부탁드립니다,
-
- Hit : 4899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1
머쪄머쪄라고 합니다.
질문에 대한 적당한 답을 말씀드리겠습니다.
1) 1차 수조 맞춤과 2차 현장에서 맞춤을 올바로 사용하시는 것 같습니다.
2)좁쌀봉돌이 바닥에 닿는 지는 이미 수조에서 맞춤으로 확인 하셨을 것입니다.
영점을 잡으신 후, 찌톱을 어느정도 까지 올리면 좁쌀이 닿는지,
좁쌀이 닿았다면, 닿았을때의 찌톱의 최저 높이를 기억해 두셨다가 현장에서
수조에서 맞춤한 높이만큼 내어놓고 낚시를 하시면 좁쌀이 닿을 것입니다.
3)8자도래의 정확한 무게에 대해선 저 역시 알수가 없어서 답변을 못드릴 것
같습니다만, 단지 바늘채비의 용이성만으로 도래를 사용한다면
오히려 좁쌀채비를 여벌로 몇개 준비하셔서 채비를 바꾸시는 편이 좋을 듯합니다.
4) 물론 원줄로 사용하셔도 관계가 없습니다만, 보통 바닥낚시에서 사용하는
원줄은 좁쌀채비에서 사용되어지는 목줄인 테크론사에 비해 부드러움이
덜 하므로 찌올림에 다소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
5)좁쌀봉돌채비 뿐만이 아니라 일반채비의 현장 찌맞춤은 각각의 찌가 가진
부력에 따라 달라집니다. 따라서 반드시 수조에서의 맞춤을 해주셔서
그 찌가 가진 영점을 잡으셔야 됩니다.
-유료터 Q&A나 자료실에 보시면 좁쌀봉돌채비 찌맞춤이 설명되어져 있습니다.
살펴보시는것도 도움이 되시리라 생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