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지식

· 기타지식

줄잡고 던지기 어떡케 하는가요?

이모님이 옛날에 낚시 할때 줄잡고 던지셨답니다. 저는 앞치기/옆치기 정도 까지는 해봤는데... 줄잡고 던지기는 어떡케 하는 건가요? 궁금해서요^^ 그리고 스윙 하는 법도 아시는 분 부탁드려요! 아주 옛날? 낚시대를 어르신한테 받았는데.. 버릴순없구요^^ 가끔 써볼라니.. 스윙 아니면 던질 수가 없던데.. 생각처럼 쉽지 않터군요! 스윙 좀 잘하는 요령좀 부탁드립니다! 연습밖에 없다시면 할 수 없지요 ㅠ.ㅠ

엣날에는 줄만 가지구 낚시했나보네요?

농담이구여..저두 금시초문이라 고수님께 패스~ㅋㅋ
줄잡고 던지는 방법은

일단 낚시대를 받침대에 거치를 시켜놓고 줄만 잡고 초리대가 팽팽할 때 까지 당깁니다.

한손으로는 팽팽함을 유지하게 줄을 잡고 한손으로는 바늘 있는쪽을 잡고 바늘 있는쪽을 던지며

줄 잡은 손을 놓아줍니다.

방법은 대충 이러한데 이 방법은 주로 인찌끼 낚시, 즉 오봉낚시를 할때 떡밥을 크게 달게되니까

무게때문에 주로 쓰던 방법이므로 요사이의 떡밥 콩알낚시에는 해당이 않되고 또한 낚시대의 발전으로

탄력이 좋아져서 앞치기가 잘 되니 이 방법을 쓸 필요가 없다고 보여집니다.

또한 말씀하시는 스윙낚시는 휘돌려치기를 말씀하시는것 같은데 이 방법은

한 손으로 낚시대를 잡고 한 손으로는 바늘있는 쪽을 잡고 낚시대 잡은 손을 머리쪽으로 반원을 그리며

휘돌리어 받침대와 일치되는 순간 바늘 있는쪽의 손을 놓아 주면됩니다.

이 방법은 뒤에 사람이 있는지 확인을 먼저하고 하여야 되고 또한 내가 잡고있는 바늘쪽 손을 조심해야

바늘에 내손을 낚는일이 없을 것 입니다. 이 방법 또한 요사이는 쓰이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아는대로 썼으나 도움이 되실런지 모르겠습니다. 항상 즐낚하시고 행복한 인터넷 즐기십시요.
오래전 아버지로부터 낚시 배울때 줄 잡고 던지기 돌려치기로 배웠는데 설명하려니 좀 난감 ㅎㅎ; 예전에는 요즘 처럼 다대 편성 안하고 2~3대 편성 했죠 . 낚시대도 경질대가 드물었고 지금에 비해서 많이 무거웠읍니다 35칸 이상 넘어가면 앞치기 하려면 힘 많이 빠졌죠.. 사설이 길었네요 .줄잡아 던지기 하는법은 낚시대을 받침대 위에 올려 놓은후 줄을 가슴 높이 만큼 왼손으로 잡은후 오른손으로 봉돌과 왼손으로 잡은 줄 중간 부분쯤 잡은후 앞 뒤 방향으로 시계추 처럼 흔들다가 반동을 이용하여 앞으로 던집니다. 던질때 왼손으로 잡아 두었던 줄도 같이 놓읍니다.. 리듬감과 타이밍 연습을 좀 하시면 수월하게 던지실수 있읍니다. 돌려치기 하는법은 낚시대을 오른손으로 직각에 못 미치게 든후 왼손으로 줄을 잡은후 놓으면 줄이 앞으로 갑니다 어느정도 앞으로 갔을때 낚시대을 뒤로 돌리면 줄이 뒤로 가고 뒤로 갔을때 앞으로 돌려 치면 낚시줄은 앞으로 갑니다 .. 원하는 포인트로 안착 시키려면 감각을 익히셔야 하고 연습이 필요합니다 ..줄잡아 던지실때 봉돌 무게가 너무 가벼우면 던지기 불편합니다 . 돌려치기 하실때는 주변 파악 하신후 하셔야 하고 장대(40 이상)같은 경우는 두손으로 돌리셔야 편합니다..설명이 충분치 못하지만 현장에서 연습후 즐낚하세요.
아..예전에 유료터에서 본거 같습니다
그게 그거였군요..^^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아무리 긴 대라도 채비를 원하는 지점에 던져 넣을 수 있습니다. 심지어 외바늘 채비도.....
숙달되시면 초릿대 자른다거나 , 줄을 짧게 매시는 문제의 답을 칮으시는 겁니다.

① 낚시대의 손잡이를 뒷꽂이에서 뒤로 밀리지 않게 합니다. 중요한 사항입니다.
무릅으로 손잡이의 밀림을 막거나 총알 쓰시는 분은 투척시에 일시적으로 총알 위치를 반대로 하면 됩니다.

② 한 손으로 바늘부분으로 부터 30~50cm 윗지점을 잡고 다른 손으로 줄을 잡아 당겨서 초릿대의 끝이 자신을 향하게 합니다.
이 때 휜 끝부분은 수면과 수직이 되야 하는데 약간 요령이 필요합니다. 연습하시면 되는 문제지요.
수직이 되지 않으면 절대로 채비가 원하는 방향으로 안갑니다.

③ 채비를 그네를 태우듯이 앞뒤로 스윙하시다가 당긴 원줄과 거의 동시에 놓으면 되는데 어는 쪽을 먼저 놓아야 되는가 하는
문제는 글로 설명하기가 대단히 어렵습니다. 실습 몇 번 하시면 아시게 됩니다.
양 쪽의 놓은 타이밍이 제대로면 초릿대 부분의 복원력을 이용하여 채비가 그네를 타듯이 쭉~ 멋있게 나아갑니다.
이 때 손잡이를 살짝 앞으로 밀어주면 채비 떨어지는 소리도 예쁘게("풍덩"이 아니고 "퐁") 줄일 수 있습니다.

이상의 방법으로 낚시대를 세웠을 때 방해만 되지 않는다면, 등뒤가 직벽이라도, 우거진 숲이라도 낚시를 하실 수가 있습니다.
수심이 깊은 경우 일반적으로 유리하지만 숙달만 되시면 얕은 곳도 얼마든지 가능합니다.

"사서 하는 고생" - 여러분 올해도 많이 고생하세요.
저는 줄바고 던지는 방법으로 용선 46칸이상을 사용하면 줄잡고 던지기를 사용 합니다. 너무 무거워서요 하지만 이 방법으로도 원하는 포인트 정확하게 넣고 있읍니다. 방법은 위에 계신 회원님이설명하였기 대문에 패쑤입니다.
위에서 잘 말씀해 주셨네요.

팁 몇 가지만~

우선 뒷받침대보다 낚시대를 한뼘이상 뒤로 빼 놓으셔야 합니다.
( 던지면서 낚시대가 조금 딸려 나가거든요~)

너무 위로 던지면 바람의 영향을 받거나, 떡밥만 날아갈 수 있습니다.

처음에는 인찌기 같은 무거운 것을 달아서 연습 는 것이~

밝은 낮에 열심히 연습 <------ 익숙해 지려면 이 방법 밖에 없심더~
그거 제가 전문입니다 ~~ 앞치기 방법중에 하나죠 ,ㅎㅎ
헐... 또 이런 실수를...
리플주신 분들에 대한 답글을 적어 놓쿠서, 위에 글들 확인하다가
답변채택을 눌렀더니.. 컥.. 열심히 적은 글이 날러 갔네여..
제가 추천은 여러분드릴 수 있는데... 답변채택은 하나 밖에 못하나 보네여..
이런.. rex님, FishingHolic님 여러분께 죄송하네여..
대구총알택시 님, rex님, FishingHolic님, 철없는붕어님, 얼라리오님, 라이트님, 저수지신령님 리플 감사드립니다.
한분씩 답글적어드려야 하는데... 다 날리구 나니 ㅠ.ㅠ 아들넘이 재워 달라구 난리네여^^
월척의 힘 리플 문화 아닐까요? ^^
다시한번 감사드리구요 워~ㄹ 하시구. 즐낚하세요!
앞치기는 많은분들이 말씀하셨고,저는 스윙에 대해서 짧은 소견 올려볼가 합니다.
저는 경북 김천입니다. 여기 분들은 긴대를 많이 사용합니다. 저역시도 보통 5~7칸 까지 사용합니다. 스윙은 다른거없습니다. 그저 연습이 최고입니다. 운동장에서 찌를 빼고 납은 2매나 2.5매 정도를 달고 밧줄을 돌리듯이 대를 머리위로 돌려서 원하는 장소에 던져넣습니다. 빨리 돌리면 잘 안날아갑니다. 납이 대를 따라올수있을 정도로 서서히 돌려보세요. 아니면 못에가서 찌를 꼽고 맘껏 돌려보세요 ㅎㅎ 근데 뚝방쪽이 좋을겁니다. 걸리적 거리는게 없잔아요. 이상 무수 조사 올림.
rex님 글 보니까 인치끼 라는 잊어가던 말에
옛날 간데라 비추고 낚시할때 생각이 나네요 ㅎㅎ
지금두 카바이트가 나오려나 ㅎㅎ
옛 생각에 두서 없는 한 말씀 ~~~~ ^^
흐르는 바다님 리플 감사합니다! 5~7칸이라.. 할수 있을까요.. 헐.. 언젠간 함 도전해 바야죠^^..
k3800님 리플 감사합니다! 조력이 상당하신듯 싶네요^^..
야밤에 잠시 들렀다가 글을 올려 봅니다! 즐거운 낚시하세요!
던지는 방법은 앞에 분들의 설명이 많으니 생량하고,
도움이라도 될까 하고 채비를 해 봅니다.
찌는 장찌 말고 단찌를 쓰세요 40센티를 넘지 않도록
그리고 부력을 좀 많이 나가는것으로 하구요.
채비하실때 찌를 유동으로 해서 아랫쪽 찌멈춤 고무를
봉돌로부터 찌길이보다 쬐끔(5센티 이내로)길게 위로 합니다.
줄을들었을때 찌의 낮케미가 봉돌보다 약 5센티 위에 있겠죠
이렇게 하면 스윙을 하던 줄을 잡고 던지던 봉돌과 찌의 무게까지 합쳐서
던지기 때문에 훨씬 수월할껍니다.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스윙은 웬만하면 권하고 싶지는 않네요.
아무래도 주위분들에게 불편함도 주겠고,
정확한 투척을 하기 위해선 연습도 많이 필요합니다.
정 앞치기가 힘드시면 차라리 쏠채를 준비하셔서 사용하세요.
조금만 연습하셔도 줄 잡고 던지는것보다도 더 정확하게
투척이 가능합니다.
미서님의 글에 동감합니다.
헌데 딱 한가지 제 경험으로 부연설명 하나 하겠습니다. (저의 경험담이니 참고만 하세요.)
제 경험으론 줄잡아 던지기 할때, 수심이 3m 이상 깊은곳에서 유동찌 사용을 하시면 채비가 잘 날아가지 않는 경향이 있습니다.
고수분들은 몰라도 저는 그렇더라구요.
줄잡아 던지기는 사람의 던지는 힘도 중요하지만, 낚시대 초리대의 탄력과 얼나마 잘 융화시켜 던지느냐가 매우 중요한거 같습니다.
보통 고정찌를 사용하면 찌의 날아가는 힘은 낚시대의 초리대의 탄력의 도움을 받아 잘 날아가게 됩니다. 헌데 유동찌사용시 찌가 바늘쪽이 아닌 낚시대 초리대 쪽에 가까이 위치하고, 아랫쪽 찌 멈춤고무를 바늘에 가까이 위치 시켰을때 초리대의 탄력은 (유동찌고무가 바늘쪽으로 미끌어 짐으로인해) 찌가 제대로받지 못합니다.
따라서 사람이 바늘은 던지는 힘에 찌의 무게가 가중되어 던지는 힘도 더들고, 채비도 잘 날아가지 않는 단점이 있더군요.
물론 유동찌 고무를 사용하더라도 수심이 깊지 않고 아랫쪽 찌 멈춤고무에 찌를 가까지 위치시키고 채비를 던진다면 덜하겠지만, 그것도 수심이 깊은 곳에서는 찌를 아랫쪽으로 놓고 채비를 던지는 것도 찌가 거슬려 만만치 않더라구요. 따라서 줄잡아 던지는 방법은 위의 다른 분들이 말씀 하셨듯 찌의 길이가 길지 않은 것이 던지는 것도 쉽고 찌의 손상우려도 적고 여러모로 유리하더군요. 또 봉돌의 무게나 떡밥의 무게가 무거울때 잘날아가겠죠 ^^ 그래서 저는 잉어전용터에서 낚시를 할때 이방법을 주로 이용합니다.
항상 낚시는 그때 그때 상황에 맞춰 던지는 법도 달라지는듯 합니다. 저역시 초짜라 채비 던지는 방법도 더 익혀야 하지만....역시 낚시에 있어 배움의 길은 끝이 없는듯 합니다. (__*
예전에 낚시대가 3칸대 이상 없을때 낚시대보다 30센치~1미터정도 낚시줄을 길게묶어 사용할경우 주로 했습니다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