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배조사님 저는 대물낚시만 몇년을 해오고 있습니다. 대물낚는 대개외바늘 채비인 반면에 떡밥 짝밥낚시는 쌍바늘 채비를 대개 많이 하는편인데 궁금한점이 있어서 몇가는 질문드립니다. 짝바늘 채비에 단차를 주는 이유와 또 바늘한쪽은 짧고 한쪽은 긴데 어느쪽에 지렁이를 달고 어느쪽에 떡밥을 다는지 궁금합니다. 선배조사님들의 견해를 듣고싶습니다.
내가 편한대로 하면 되는것을... ...
굳이 단차를 주는 이유를 저의 경우를 말씀드리자면
두바늘의 길이가 같으면 미끼 구별이 쉽지 않기 때문입니다
짝밥미끼를 쓸때 긴쪽에는 떡밥류를 짧은쪽에는 글루텐류를 사용합니다
그래야 고기가 잡혔을때 무엇을 먹고 잡혔는지 알수있기 때문입니다
계속해서 떡밥류만 먹고 나올때는 두바늘 모두 떡밥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계속해서 글루텐을 먹고 나왔을 때에는
두바늘에 글루텐을 사용하다 가끔가다 한번씩은
집어를 위하여 떡밥을 짝밥으로 사용합니다
제친구녀석은 짧은쪽에 지렁이를 답니다
그이유는 긴바늘에 지렁이를 달면 뻘속으로 파고 들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짧은바늘에 지렁이를 달아서 바닥에서 약간 띄어놓아야 뻘속으로 파고들지 못한다고 합니다
캐미고무 아래에 가벼운 찌맞춤을 하는 친구의 입장에서 생각해보면 일리가 있다는 생각도 듭니다
무거운 채비를 하는 저는 긴쪽에 지렁이를 답니다
긴바늘 쪽에 달았을때 지렁이가 옆목줄을 꼬는 현상이 적은것 같아서 긴쪽에 사용합니다
그러나 어떻게 달아도
조과에는 큰차이가 없는것 같습니다
그냥 습관이 되서 이방법이 편하기에 이렇게 사용하고 있습니다
.
.
.
단 단차이가 큰것과(짧은목줄의 두배길이) 과 작은것(바늘높이만큼)을 가지고 다니다....
떡밥의 종류를 집어와 미끼용으로 구별할경우 작은것으로 하고....
지렁이나 새우 , 참붕어를 끼울경우 큰것으로 하는것이 미끼의 움직임으로 목줄이 꼬이는 현상이 적은듯했습니다.
싱싱한 지렁이의경우 뱀장어가 원줄을 꼬듯이 정신없이 감아놔서....... ^^;
저는 긴 목줄 바늘에 미끼용 짧은목줄 바늘에 집어제 달아 서 사용합니다
유속이 있는 곳에서 주로 낚시하기 때문에 목줄이 서로 꼬여도 흡입하기 용이하도록 긴쪽에 먹이용을 다아 사용함니다
지렁이와 짝밥 사용시도 긴쪽에 지렁이을 달아사용합니다
짧은 쪽에 지렁이달면 두바늘 모두 지렁이가 돌돌말아 버려서 긴쪽에 다고 떡밥은 짧은쪽에 달아서 사용합니다.........
이런 기준을 나름대로 정해놓고 상황에 따라 조금씩 변경합니다.
[떡밥류 사용시]
1. 두종류 이상의 떡밥 사용시
-. 짧은 줄엔 집어용(확산성), 긴 줄엔 먹이용 : 집어용이 먹이용 근처에 풀어지도록)
2. 한종류의 떡밥 사용시
-. 짧은 줄엔 크게, 긴 줄엔 작게(큰것은 푸석하게 작은 것은 말랑하게)
[떡밥 + 생미끼]
1. 짧은 줄엔 떡밥, 긴 줄엔 생미끼(목줄 엉킴 방지, 입질이 지저분할 때, 떡밥을 집어용으로 사용할 때)
2. 짧은 줄엔 생미끼, 긴줄엔 떡밥(바닥 뻘층이 심할 때)
위와 같은 기준을 나름대로 정해놓고 낚시를 하지만 제 경우엔 왠만하면 외바늘 채비로 낚시를 합니만,
가끔 두바늘을 사용할 경우의 원칙은
먹이용의 목줄을 조금이라도 길게(붕어가 느긋하게 취이 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를 주고자)
사용하고 있습니다.
* 주의 : 조과는 보장 못합니다.^^; 안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