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지식

· 기타지식

짝밥낚시

쌍바늘 또는 세바늘 등 낚싯바늘이 두 개 이상인 채비의 한쪽 바늘에는 동물성 미끼를, 나머지 바늘에는 식물성 미끼를 달아 쓰는 식의 짝밥으로 달아 쓰는 낚시. 짝밥은 그 낚시터에서 어떤 미끼가 효과적으로 잘 듣는지를 파악하지 못한 경우 탐색을 위해 사용하기도 한다. 집어효과는 떡밥으로 보고 새우나 지렁이 등의 동물성 미끼로 입질을 기다린다는 목적에서 사용되기도 한다. 또한 일교차가 심한 봄철과 가을철 또는 큰비가 내린 뒤 수표면은 황톳물이 가라앉아 맑은 것같이 보이지만 저층은 황토와 앙금이 채 가라앉지 않아 매우 탁한 경우에도 사용한다. 비가 내려 물이 불어나는 상황이나 봄철 붕어의 산란 직후와 같은 여건에서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떡밥과 지렁이 또는 떡밥과 새우 등의 미끼를 동시에 사용하는 짝밥낚시를 시도한다. 바늘에 서로 다른 미끼를 달아 동시에 사용하는 '짝짝이 밥(=미끼) 낚시'로부터 비롯된 말이다. 피싱랜드에서 발췌...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