잉어과에 속한다고 보나 아직 속명 종명으로 등록이 되어있지않아 학명이 없다.
희나리 붕어에 관하여 상세하게 알아보자.
희나리 이름을 찾아 불러주자.
희나리 붕어
(희나리 붕어 사진)
희나리 붕어는 낙동강수계 댐이나 늪 저수지 낙동강 본류 일부 서식한다.
정확한 원산지나 생성과정은 알수 없다. 그러나 진양호가 최초 생겼을
때 부터 희나리 붕어는 우점종으로 다량 서식하였다.
그러므로 경남 진주시 진양호에 최초 생긴 원산지라고 생각 된다.
진양호땜에서 서식하던 희나리 붕어가 홍수 때 낙동강 본류로 떠 내려가
희나리 붕어들이 낙동강 전수계에 서식하고 있다고 본다.
또한 진양호댐에서 처음부터 떡붕어는 없었고 지금도 없다.
구분
(3종의 잉어과 어류)
위 사진은 맨위 붕어, 중간에 희나리 붕어, 아래 잉어다.
위 사진에서 떡붕어는 없다 차후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체형이나 크기나 모두 떡붕어도 아니요 잉어도 아니며 붕어도 아니다.
특성
(붕어 치어 사진)
한국어류학회 한국산붕어 어류분자 계통에서 보면 붕어 세파수는44-52개
떡붕어 세파수는 84-114개이며 희나리붕어 세파수는 71-91개로 구분되어 있다.
일부에서 떡붕어와 붕어가 교잡하여 생긴 새로운 변이종으로 보기도 하나
정확히 구분 하기는 어럽다고 보나 DNA 등 구분이 나타 나는 현상으로 보아
희나리 붕어는 새로운 아종으로 구분 명명을 붙어 주는 것이 좋을 것 같다.
수십년 동안 한곳에서 다수의 우점종으로 서식하고 있는 희나리 붕어이다.
생태종
(붕어 자어 사진)
희나리 붕어 하나의 종에서 또럿한 종으로 보아야 하질 않을까?
하나의 종 내에서 형질의 특성이 차이나는 개체군을 아종으로 또는 변종으로
취급하며 이들은 특정 지역 환경에 적응해서 생긴 것으로 생태종으로 보아도
충분한 가치기 있지 않을까.
생활
(붕어 알.)
붕어는 맑은 물에서 살지 않으며 댐이나 저수지 바닥이 뻘 밭을 좋아 한다.
붕어 산란시기는 가장 빠른 4월부터이며
희나리 붕어의 산란 시기는 5월~8월까지로 붕어보다 늦다.
성장은 붕어보다 약간 빠른 편이나 3년성장 해야 성체로 된다.
생식 능력은 만2년(3년)이 되며 가능하고 치어기는 미생물 등 작은 먹이를 먹고
성체는 잡식성이다.
붕어
(재래종 붕어 사진)
붕어는 우리 조상과 함께한 재래종 붕어이다.
요즘은 수입 개방으로 인해 다량의 붕어가 수입 되면서 중국산 붕어가 많다.
중국산 붕어와 재래종 붕어의 구분은 측선 비늘로 구분하며 중국산 붕어 검은 편이고.
수입산 전체가 양식산이다.
그래두 4짜가 넘네요 친구분 축하드립니다
아래입술이 튀어나왔고..
근데 측선이 잘안보여서 헤아려보지는 못하겟내요...
꼬리 자루로 봐서는 희나리 쪽에 가깝게 보입니다
축하 합니다^^
하지만 4짜......엄청난눔이군요.
축하합니다^^
축하 합니다.
희나리 같네용~ㅎㅎ
눈이랑 입이 거의 같은라인에 있는걸로 봐서는..
실물은 보면 좋겠지만, 자세한것은 용왕님께 물어보시져..ㅋ~
꼬리와 입쪽을 보니 토종은 아니네요..............교잡종인거 같은데...
토종+희나리 = 토나리
토종+떡붕어 = 토종떡 ^^
여하튼 보기가 좋습니다..
희나리 붕어 경남 낙동강 수계 전 지역에 분포하고 있다.
잉어과에 속한다고 보나 아직 속명 종명으로 등록이 되어있지않아 학명이 없다.
희나리 붕어에 관하여 상세하게 알아보자.
희나리 이름을 찾아 불러주자.
희나리 붕어
(희나리 붕어 사진)
희나리 붕어는 낙동강수계 댐이나 늪 저수지 낙동강 본류 일부 서식한다.
정확한 원산지나 생성과정은 알수 없다. 그러나 진양호가 최초 생겼을
때 부터 희나리 붕어는 우점종으로 다량 서식하였다.
그러므로 경남 진주시 진양호에 최초 생긴 원산지라고 생각 된다.
진양호땜에서 서식하던 희나리 붕어가 홍수 때 낙동강 본류로 떠 내려가
희나리 붕어들이 낙동강 전수계에 서식하고 있다고 본다.
또한 진양호댐에서 처음부터 떡붕어는 없었고 지금도 없다.
구분
(3종의 잉어과 어류)
위 사진은 맨위 붕어, 중간에 희나리 붕어, 아래 잉어다.
위 사진에서 떡붕어는 없다 차후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체형이나 크기나 모두 떡붕어도 아니요 잉어도 아니며 붕어도 아니다.
특성
(붕어 치어 사진)
한국어류학회 한국산붕어 어류분자 계통에서 보면 붕어 세파수는44-52개
떡붕어 세파수는 84-114개이며 희나리붕어 세파수는 71-91개로 구분되어 있다.
일부에서 떡붕어와 붕어가 교잡하여 생긴 새로운 변이종으로 보기도 하나
정확히 구분 하기는 어럽다고 보나 DNA 등 구분이 나타 나는 현상으로 보아
희나리 붕어는 새로운 아종으로 구분 명명을 붙어 주는 것이 좋을 것 같다.
수십년 동안 한곳에서 다수의 우점종으로 서식하고 있는 희나리 붕어이다.
생태종
(붕어 자어 사진)
희나리 붕어 하나의 종에서 또럿한 종으로 보아야 하질 않을까?
하나의 종 내에서 형질의 특성이 차이나는 개체군을 아종으로 또는 변종으로
취급하며 이들은 특정 지역 환경에 적응해서 생긴 것으로 생태종으로 보아도
충분한 가치기 있지 않을까.
생활
(붕어 알.)
붕어는 맑은 물에서 살지 않으며 댐이나 저수지 바닥이 뻘 밭을 좋아 한다.
붕어 산란시기는 가장 빠른 4월부터이며
희나리 붕어의 산란 시기는 5월~8월까지로 붕어보다 늦다.
성장은 붕어보다 약간 빠른 편이나 3년성장 해야 성체로 된다.
생식 능력은 만2년(3년)이 되며 가능하고 치어기는 미생물 등 작은 먹이를 먹고
성체는 잡식성이다.
붕어
(재래종 붕어 사진)
붕어는 우리 조상과 함께한 재래종 붕어이다.
요즘은 수입 개방으로 인해 다량의 붕어가 수입 되면서 중국산 붕어가 많다.
중국산 붕어와 재래종 붕어의 구분은 측선 비늘로 구분하며 중국산 붕어 검은 편이고.
수입산 전체가 양식산이다.
본연구소 김진규 경험 연구 자료이며
사진 저작권은 본 연구소에 있습니다.
희나리에 대한 정보가 없어 찾아 보니 이렇답니다...
일단,4짜 하신거 축하드립니다~^^*
희나리..같습니다. 토종붕어는 아니네요.
희나리도 낙동계의 토종이라는..
엄청 손맛 보셨을것 같습니다
축하드립니다
글구 넘 토순이만 찾지마시구여 친구분께
4짜 하심을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아니????
히이~~~~~~~~~~~~~~~~~~~~~~~~~~~~~~~~~~~~~~~~~~~~~~~~~나리
희나리입니다.
그래도 4짜가 어딥니까 ~~~~
4짜 축하드리구여 앞으로 더더욱 좋은 소식 있으시길^^
벽암님 말씀처럼 꼬리쪽에서 몸통쪽으로 5줄의 선이 보이면
희나리로 판명됩니다..
4짜하심을 감축!!!
친구놈 4짜 잡더니만 낚시 않다닌다고 합니다.
이~~~~~~~~런
부러워 죽겠습니다.
모두들 4짜하십시요.
낸..원재나..저런거 걸어보나..ㅜㅜ
아..거 잡으신분..한턱 쏘션나??
여긴.월척잡음..집애올때..밥 사는건.기본예의인대...ㅎㅎㅎㅎ
4짜 희나리 측선이 32~33개 인걸루 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