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저 끼우고자 하는 낚시대 3번대 끝 굵기를 재어 보시고
그리고 구입한 통초릿대 굵기를 재어보세요.
끼워보면 알겠지요. 통초릿대를 끼우기 전에 먼저 통초릿대 촐 길이를 재어 놓았다가
낚시대 3번대에 끼워서 통초릿대가 앞으로 빠저 나온 길이를 재어 보면은
3번대 안에 얼마만큼 길이의 통초릿대가 남아 있는지를 알게 되겠죠?
그러면 덜 빠저 나오고 3번대 안에 남아 있는 곳을 짤라 내시면 됩니다.
낚시대를 보다 강하게 쓰기위해서 통초릿대를 쓰는 것인데
초릿대 앞을 짤라 낸다면은 아무래도 작대기를 들고 낚시를 하는것이 아니겠읍니까?
그렇게 말한대로 재고 재어서 뒷쪽을 짤라 내신다면 접을때 남지 않고 딱맞게 다 들어 갈수 있읍니다.
보기도 좋고요. 3번대 물리는 부분에 통초릿대가 너무 굵다면은 800방 페이퍼로 살짝 갈아서 맞추시면 깔끔 합니다.
멸칠 있으면 한가위네요. 더도말고 덜도말고 한가위만 같아라~~~넉넉하고 풍성한 한가위 맞이 하시길~~~^^
붕어n님 말씀이 맞습니다.
그런데...
한가지더 말씀드리자면....
통초릿대가 3번대에 물리는 부분이 정확하지 않은 관계로 어떤 것은 잘라내면 바로 쏙 빠져버립니다.
(3번대 끝부분에 물리는게 아니고 초릿대 끝 굵은 부분이 3번대 안쪽에 끼어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럴경우 그냥 남는 부분 자르시면 초릿대가 걍 빠져버립니다.)
예를 들면,, 통초릿대 길이가 60cm인데 3번대 밖으로 나온 부분이 50cm일 경우,
여기에 물리는 부분 대략 3cm 빼고 7cm를 잘라내시면 그 초릿대는 그냥 3번대에서 빠져나옵니다. 못쓰게 되는거죠..
이럴때는 처음 3cm정도 잘라서 길이를 다시 재어보고, 1cm정도씩 아주 조금씩 잘라내고 갈아내면서 길이를 재고 측정하셔서 맞추셔야 합니다. 그러다가 마지막에 물리는 부분이 대략4~5cm정도 남게되면 손톱 다듬는 거루 끝부분을 조금 다듬어주고 페이퍼(사포)로 아주 살짝 갈우주셔야 합니다.
첨에 저도 이거 모르고 했다가 5개나 날려먹었습니다.
절대루 첨에 길이 재보고 남는 부분 바로 막 자르지 마세요... 나중에 분명 후회하십니다...
자꾸 하다보면 늘지요.
주의 하실건 물리게 되는 부분이 너무 길거나 짧으면 안좋아요.
1.길경우: 각 절번마다 마디 끝부분이 약간 두껍게 보강처리되어 있는데 만약 물리는 부분이 보강 처리된 부분 보다 더 길면
그부분이 힘받을때 낚시대가 휘어지면서 보강 안된 부분에 부담을 주어 부러지게 되는 경우가 생기며.... 쓸데 없이
낚시대 무게만 더 나가겠죠.
2. 짧을경우:수초에 걸리거나 큰고기 제압시 절번에 끼여서 잘 안나오게 되고(접을 때 안들어감) 심한경우는 제압시에 초릿대가
힘없이 빠져나와 밑에마디 끝부분이 갈라져서 못쓰게 되는 경우가 생깁니다.낚시대야 수리하면 되지만 떠나간 월이
와 찌는 누가 물어주나요?
아무튼 직접 통초릿대를 사다가 다이 하실거면 물리는 부분에 각별히 신경쓰시기 바랍니다.(4-5센티가 적당)
참고로 통초릿대가 얇아서 그냥 빠질때 순간접착제로 바르고 말리고 바르고 말리고 해서 싸이즈를 맞추시는 분들이 계신데 그건 임시 방편은 몰라도 오래 되면 속 썪입니다.
순간접착제가 물속에 오래 담가두면 희옇게 뜨면서 벗겨지는 경우가 있는데 이게 나중에 접을때 속을 썪이게 되지요. 가능하면 맞는 싸이즈로 사서 끼우세요.(수분이 하나도 없게 낚시대 보관가능하면 그냥 써도 됨)
간혹 낚시집에서 그렇게 작업(?)해주는데 그 분들은 팔기만 하지 일년후까지 관리 안해주거든요.일년쯤 후에 속썪이면 본드 묻힌건 다 까먹고 또 돈들여서 고치게 됩니다.애꿎은 낚시대 공장 욕하면서..............
제경험상 그랬습니다. 참고 하시고 장비 오래오래 사용하세요.
그래도 안되면 통초릿대 두깨 종류가 두가지입니다. 다른걸로 구매한데서 교체하심이.....
그리고 구입한 통초릿대 굵기를 재어보세요.
끼워보면 알겠지요. 통초릿대를 끼우기 전에 먼저 통초릿대 촐 길이를 재어 놓았다가
낚시대 3번대에 끼워서 통초릿대가 앞으로 빠저 나온 길이를 재어 보면은
3번대 안에 얼마만큼 길이의 통초릿대가 남아 있는지를 알게 되겠죠?
그러면 덜 빠저 나오고 3번대 안에 남아 있는 곳을 짤라 내시면 됩니다.
낚시대를 보다 강하게 쓰기위해서 통초릿대를 쓰는 것인데
초릿대 앞을 짤라 낸다면은 아무래도 작대기를 들고 낚시를 하는것이 아니겠읍니까?
그렇게 말한대로 재고 재어서 뒷쪽을 짤라 내신다면 접을때 남지 않고 딱맞게 다 들어 갈수 있읍니다.
보기도 좋고요. 3번대 물리는 부분에 통초릿대가 너무 굵다면은 800방 페이퍼로 살짝 갈아서 맞추시면 깔끔 합니다.
멸칠 있으면 한가위네요. 더도말고 덜도말고 한가위만 같아라~~~넉넉하고 풍성한 한가위 맞이 하시길~~~^^
즐거운 명절 고향기 안전운전 하세요
그런데...
한가지더 말씀드리자면....
통초릿대가 3번대에 물리는 부분이 정확하지 않은 관계로 어떤 것은 잘라내면 바로 쏙 빠져버립니다.
(3번대 끝부분에 물리는게 아니고 초릿대 끝 굵은 부분이 3번대 안쪽에 끼어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럴경우 그냥 남는 부분 자르시면 초릿대가 걍 빠져버립니다.)
예를 들면,, 통초릿대 길이가 60cm인데 3번대 밖으로 나온 부분이 50cm일 경우,
여기에 물리는 부분 대략 3cm 빼고 7cm를 잘라내시면 그 초릿대는 그냥 3번대에서 빠져나옵니다. 못쓰게 되는거죠..
이럴때는 처음 3cm정도 잘라서 길이를 다시 재어보고, 1cm정도씩 아주 조금씩 잘라내고 갈아내면서 길이를 재고 측정하셔서 맞추셔야 합니다. 그러다가 마지막에 물리는 부분이 대략4~5cm정도 남게되면 손톱 다듬는 거루 끝부분을 조금 다듬어주고 페이퍼(사포)로 아주 살짝 갈우주셔야 합니다.
첨에 저도 이거 모르고 했다가 5개나 날려먹었습니다.
절대루 첨에 길이 재보고 남는 부분 바로 막 자르지 마세요... 나중에 분명 후회하십니다...
1cm~2cm 정도 여유롭게 자르시면 됩니다
낚시대 길이보다 길면 앞 부분절단하시고요
걸면월척님 말씀이 맞네요..
왜 그 생각을 못했었는지... ^^;;;;
주의 하실건 물리게 되는 부분이 너무 길거나 짧으면 안좋아요.
1.길경우: 각 절번마다 마디 끝부분이 약간 두껍게 보강처리되어 있는데 만약 물리는 부분이 보강 처리된 부분 보다 더 길면
그부분이 힘받을때 낚시대가 휘어지면서 보강 안된 부분에 부담을 주어 부러지게 되는 경우가 생기며.... 쓸데 없이
낚시대 무게만 더 나가겠죠.
2. 짧을경우:수초에 걸리거나 큰고기 제압시 절번에 끼여서 잘 안나오게 되고(접을 때 안들어감) 심한경우는 제압시에 초릿대가
힘없이 빠져나와 밑에마디 끝부분이 갈라져서 못쓰게 되는 경우가 생깁니다.낚시대야 수리하면 되지만 떠나간 월이
와 찌는 누가 물어주나요?
아무튼 직접 통초릿대를 사다가 다이 하실거면 물리는 부분에 각별히 신경쓰시기 바랍니다.(4-5센티가 적당)
참고로 통초릿대가 얇아서 그냥 빠질때 순간접착제로 바르고 말리고 바르고 말리고 해서 싸이즈를 맞추시는 분들이 계신데 그건 임시 방편은 몰라도 오래 되면 속 썪입니다.
순간접착제가 물속에 오래 담가두면 희옇게 뜨면서 벗겨지는 경우가 있는데 이게 나중에 접을때 속을 썪이게 되지요. 가능하면 맞는 싸이즈로 사서 끼우세요.(수분이 하나도 없게 낚시대 보관가능하면 그냥 써도 됨)
간혹 낚시집에서 그렇게 작업(?)해주는데 그 분들은 팔기만 하지 일년후까지 관리 안해주거든요.일년쯤 후에 속썪이면 본드 묻힌건 다 까먹고 또 돈들여서 고치게 됩니다.애꿎은 낚시대 공장 욕하면서..............
제경험상 그랬습니다. 참고 하시고 장비 오래오래 사용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