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 단어를 생각하면 간단 합니다.
LONG = (L) , SHORT= (S)
절번이 길고 짧은것의 영단어 이니셜 입니다.
오래전엔 낚시대 칸수는 0.5칸 단위로 구분이 되었으나. 카본대가 보급되면서 부터 제조사별로 몰드(금형)가 각각 다르니
변칙칸수가 생기기 시작하여 3.0칸대가 사잇대로 물러나고 3.2칸대가 정칸수로 자리매김 하는 시절이 됐습니다.
정칸수 : 28,32,36,40 등.....
사잇칸 : 26,30,34,38 등.....
3.2칸대를 정칸수로 정했으니 위,아래로 0.4칸씩 크고 작아지는 칫수가 정칸수고
3.2칸대에서 0.2칸 차이나는 대를 기준으로 0.4칸씩 크고 작아지는 칫수가 사잇대가 된겁니다.
정칸수를 기준으로 할때 , 한칫수 아래의 사잇대는 전체 절번이 정칸수와 같습니다. (30대=9절,32대 =9절)
그렇다면 정칸수와 다르게, short(짧은절번)으로 이루어지는 금형이 별도로 있어야 하고
그렇게 만들어진 낚시대의 일정 절번이 정칸수에 비해 조금씩 작아지다 보니 전체 길이에서 차이가 나는 겁니다.
참고)
초창기 자수정Q의 경우 몰드가 4개 였습니다. 정칸수도 손잡이대 길이가 2가지로 각각 다르고....
사잇칸도 각각 다르니 각 2종류씩 이었던것이.....대량생산 및 덤핑을 시작하면서 부터 몰드가 2개로 통폐합 되면서
사잇칸은 일정 윗절번의 길이를 짧게 조정하는 방식으로 단편화 되었습니다.
그러니 당연히 윗부분이 짧은 절번으로 이루어진 사잇칸의 텐션이 짱짱하게 느껴지는 겁니다.
느낌이라기 보다....사실 사잇칸이 더 짱짱하고 앞치기가 잘됩니다.
위에 예시한 큐대처럼 금형이 각각 달라서 칸수별로 길이의 오차가 없는 정확한 낚시대를 생산해야 정상이겠으나....
요즘 조구사들 보면 거의 전부가 2개의 금형으로 제작하고, 그것도 회사별로 각자 달라서
낚시대에 표시한 칸수와 어이없게 칫수의 차이가 나는 낚시대가 생기게 되는 겁니다.
유명조구사의 고가 제품군은.....나름 칫수에 신경을 쓴듯 낚시대에 표시한 칫수에 근접한 칫수가 나옵니다만....
어떤 조구사의 낚시대의 경우 2.9칸대로 표시된 낚시대가 타 조구사의 2.8칸대 보다 짧은 낚시대가 있는 경우가
위에 설명한 금형의 차이와, 절번 합세부위의 연마 오차로 인한 해프닝으로 보시면 됩니다.
제가 현제 사용하는 짧은 2.2칸 대도 이른바 사잇대인데요....그 윗 칸 수인 2.4칸대와는 아주 다른 휨새를 보입니다.
근데 그렇더라도 구매자 입장에서는 헷갈리게 왜 굳이 L이든 S든 왜 굳이 그 타입을 설정해서 올렸는지는 의문입니다.
이렇다 저렇다 설명도 없이...
같은마디수로 짧은대가 조금더 경질로 느껴지긴 합니다 .
https://www.wolchuck.co.kr/bbs/bbs/board.php?bo_table=jo_001&wr_id=15353&sfl=&stx=&sst=wr_datetime&sod=asc&sop=and&page=82
http://www.wolchuck.com/bbs/bbs/board.php?bo_table=jo_001&wr_id=27520&sfl=&stx=&sst=wr_hit&sod=asc&sop=and&page=122
LONG = (L) , SHORT= (S)
절번이 길고 짧은것의 영단어 이니셜 입니다.
오래전엔 낚시대 칸수는 0.5칸 단위로 구분이 되었으나. 카본대가 보급되면서 부터 제조사별로 몰드(금형)가 각각 다르니
변칙칸수가 생기기 시작하여 3.0칸대가 사잇대로 물러나고 3.2칸대가 정칸수로 자리매김 하는 시절이 됐습니다.
정칸수 : 28,32,36,40 등.....
사잇칸 : 26,30,34,38 등.....
3.2칸대를 정칸수로 정했으니 위,아래로 0.4칸씩 크고 작아지는 칫수가 정칸수고
3.2칸대에서 0.2칸 차이나는 대를 기준으로 0.4칸씩 크고 작아지는 칫수가 사잇대가 된겁니다.
정칸수를 기준으로 할때 , 한칫수 아래의 사잇대는 전체 절번이 정칸수와 같습니다. (30대=9절,32대 =9절)
그렇다면 정칸수와 다르게, short(짧은절번)으로 이루어지는 금형이 별도로 있어야 하고
그렇게 만들어진 낚시대의 일정 절번이 정칸수에 비해 조금씩 작아지다 보니 전체 길이에서 차이가 나는 겁니다.
참고)
초창기 자수정Q의 경우 몰드가 4개 였습니다. 정칸수도 손잡이대 길이가 2가지로 각각 다르고....
사잇칸도 각각 다르니 각 2종류씩 이었던것이.....대량생산 및 덤핑을 시작하면서 부터 몰드가 2개로 통폐합 되면서
사잇칸은 일정 윗절번의 길이를 짧게 조정하는 방식으로 단편화 되었습니다.
그러니 당연히 윗부분이 짧은 절번으로 이루어진 사잇칸의 텐션이 짱짱하게 느껴지는 겁니다.
느낌이라기 보다....사실 사잇칸이 더 짱짱하고 앞치기가 잘됩니다.
위에 예시한 큐대처럼 금형이 각각 달라서 칸수별로 길이의 오차가 없는 정확한 낚시대를 생산해야 정상이겠으나....
요즘 조구사들 보면 거의 전부가 2개의 금형으로 제작하고, 그것도 회사별로 각자 달라서
낚시대에 표시한 칸수와 어이없게 칫수의 차이가 나는 낚시대가 생기게 되는 겁니다.
유명조구사의 고가 제품군은.....나름 칫수에 신경을 쓴듯 낚시대에 표시한 칫수에 근접한 칫수가 나옵니다만....
어떤 조구사의 낚시대의 경우 2.9칸대로 표시된 낚시대가 타 조구사의 2.8칸대 보다 짧은 낚시대가 있는 경우가
위에 설명한 금형의 차이와, 절번 합세부위의 연마 오차로 인한 해프닝으로 보시면 됩니다.
막연하게 알고있던 정칸대와 사잇칸의 차이를 아주 잘 이해하고 갑니다.
정칸수를 표준으로 설계후 생산하여
그것을 초리부터 2~4번대를 절단하여 짧게 만들어서
대부분 낚시대들은 사잇칸수가 더 빳빳하게 느껴지고 앞쏠림도 있지요.
예를들어 3.8칸대(7m)와 4.0(7.3m)대가 있습니다 그런데 마디(절)수는 똑같은 10마디(절) 입니다
여기서 바톤대(손잡이대)는 장절과 단절 길이가 똑같지만 나머지 9마디가 3.8칸대는 조금길고(장절) 4.0대는 조금씩 짧게(단절) 만들어서
전체 길이는 틀리지만 마디수는 똑같이 한겁니다
^^
정 칸수 중경질대 사잇대 경질대 이므로 앞치하다보면
손이 적응하기가 불편하고 나중에는 졸라 짜증만 나더군요.
근데 그렇더라도 구매자 입장에서는 헷갈리게 왜 굳이 L이든 S든 왜 굳이 그 타입을 설정해서 올렸는지는 의문입니다.
이렇다 저렇다 설명도 없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