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쭌님..
유동채비를 하심이 좋을듯합니다..
고정찌채비의 경우 찌날라리와 원줄의 꼬임현상은 피할 수 없습니다..
굵은 원줄을 사용하거나 찌날라리를 반대로 꽂아 사용하면 약간은 줄일 수 있으나 완벽하진 않습니다..
막대형찌보다 다루마형찌는 입수시 자체의 회전력이 생겨 줄꼬임이 더심하게 나타납니다..
예민한채비를 원하시면 유동채비를 하시기 바랍니다..
즐낚하세요..
찌에 줄이 엉키는 이유는 단 하나입니다.
줄의 문제라기 보다는 찌 자체의 제작상 문제입니다.
찌다리에 부착된 찌다리의 릴리안사의 조밀도가 좋지 않으면 신축성이 떨어져서 줄엉킴이 생기고요.
찌톱 길이 보다도 상대적으로 찌다리가 많이 짧으면 순간회적력에 의해서 줄엉킴이 생깁니다.
또 찌의 무게중심이 밑으로 있을수록 엉킴현상이 많아집니다.
참고로, 카본사가 엉킴이 더 잘 발생하고 파머현상이 일어나면 완전 라면으로 복원불가능 합니다.
물론 원줄이 약할수록 발생빈도가 심하겠죠.
문제해결은 찌의 교체와 전체적인 체비의 발란스를 맟추어야 할듯합니다.
낚시대 길이에 비해서 너무 약한 추를 사용하거나 던질 때의 자세가 좋지 않아도 엉킴이 생길수 있으므로
찌의 교체와 체비의 발란스를 보시기 바랍니다.
엉킨다고 유동채비로 전환은 문제해결이 아니라고 봅니다.
현장에서 채비 다시하기도 귀찮고
특히 야간낚시시.....
유동채비 추천합니다
님의 고민을 해결해줄겁니다^^
찌 날라리를 떼시면 줄 엉킴이 많이 줄어듭니다.
줄이 라면이 되는 이유는 모노 줄이기 때문이구요. ^^
찌의 형태와는 큰 상관이 없을듯 합니다.
2.찌날라리를제가하여 카본찌고무에 끼워쓴다
3.그래도꼬이면 유동체비하시구요.유동채비도 쇠고리형으로된것은 짤꼬임..찌분실도 있음 저두여러번 잊여버렸슴(챔질시주의,역시줄꼬임도있슴)
4.유도채비 고무로된것(일채형) 요거 괜챤음디다..
(참고 하세요^^)
한데 그 채비법을 보면 유동+고정 혼합채비가 대부분이더라구요. 특히 나이 드신분들. 그렇다고 뭐라 할 수준은 안되고 해서리~~~(죄송)
유동채비에 찌날라리가 부착된 장찌사용을하며, 상하 멈춤고무 간격이 거의 고정에 가깝도록 사용하고, 즉 채비는 유동이라고
할수 있지만 투척시 찌가 봉돌부분으로 내려오는것이 아니고, 고정처럼 수심부분에 있다보니 꼬임현상이 많이 발생하더군요.
(찌날라리로 인하여 완전고정보다 더 심하게 꼬임) 만일 요런 채비라면 수정을 하여 정상적인 유동채비를 한번 해보시기 바랍니다.
유동채비를 하심이 좋을듯합니다..
고정찌채비의 경우 찌날라리와 원줄의 꼬임현상은 피할 수 없습니다..
굵은 원줄을 사용하거나 찌날라리를 반대로 꽂아 사용하면 약간은 줄일 수 있으나 완벽하진 않습니다..
막대형찌보다 다루마형찌는 입수시 자체의 회전력이 생겨 줄꼬임이 더심하게 나타납니다..
예민한채비를 원하시면 유동채비를 하시기 바랍니다..
즐낚하세요..
고리형으로 되어있구 그 안에 원줄이 통과하죠.
일단 윗분들 말씀처럼 유동채비에 날라리를 제거하심 원줄과 수직을 이루기 때문에
찌꼬임 현상은 좀 덜하실 겁니다.
채비 현상은 대략 이렇습니다
------------------------------------멈춤고무------유동찌고무----------멈춤고무-----------------편납이나 본봉돌--------바늘..
여기서---------이것은 원줄이구요...........요기다 찌답니다. (유동찌고무에다 수직으로 꽂음)
질문 보니 아직 유동채비를 못 접해보신 듯 하여..쫌...이상하지만 자세히 설명해봅니다.
유동채비의 장점은...찌의 수직입수를 돕고 위에서 언급했지만 원줄과 찌의 꼬임을 방지하며
밑 멈춤고무를 본봉돌 쪽으로 내려놓으면 밤낚시에 줄잡기가 용이하며..
앞치기시 무게감을 던져나가려는 쪽으로 집중시킬 수 있어 앞치기가 용이합니다
단, 처음엔 적응기가 좀 필요합니다. 찌를 정렬시키신 후 앞치기를 시도하세요..
바늘을 잡고 뒤로 땡길떄 찌가 봉돌 쪽으로 내려왔는 지를 확인하신 후에..앞치기를 하심 좀 도움이 되실겁니다.
그렇지 않고 윗 멈춤고무 쪽으로 되어있음 던지려는 순간...찌의 뒤쪽으로 내려오는 움직임으로 인해..부정확한
투척이 야기될 수 있습니다. 이건 적응되시면 큰 문제는 아니시구요..요새는 고정 채비보다 유동 채비가 대세이구요..
단점이라 하면 양어장에서 찌의 입수지점과 미끼의 입수지점이 같아지기 때문에..수면에 소음이
상대적으로 크게 된다고 하는 점이 있으나..이정도는 크게 지장이 없으시니 걱정마시구요..
걍 단점이 생각이 안나서리..^^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그럼..꾸벅
만약 찌날라리를 제거하지 못하시겠다면,
찌고무에 찌를 끼우실때 반대방향에서 끼우시면
효과가 있습니다.
초릿대에서 봉돌 방향으로 꼽는것이 일반적인데
봉돌에서 초릿대쪽으로 끼우시라는 말입니다.^^
이해되시죠~!?
줄의 문제라기 보다는 찌 자체의 제작상 문제입니다.
찌다리에 부착된 찌다리의 릴리안사의 조밀도가 좋지 않으면 신축성이 떨어져서 줄엉킴이 생기고요.
찌톱 길이 보다도 상대적으로 찌다리가 많이 짧으면 순간회적력에 의해서 줄엉킴이 생깁니다.
또 찌의 무게중심이 밑으로 있을수록 엉킴현상이 많아집니다.
참고로, 카본사가 엉킴이 더 잘 발생하고 파머현상이 일어나면 완전 라면으로 복원불가능 합니다.
물론 원줄이 약할수록 발생빈도가 심하겠죠.
문제해결은 찌의 교체와 전체적인 체비의 발란스를 맟추어야 할듯합니다.
낚시대 길이에 비해서 너무 약한 추를 사용하거나 던질 때의 자세가 좋지 않아도 엉킴이 생길수 있으므로
찌의 교체와 체비의 발란스를 보시기 바랍니다.
엉킨다고 유동채비로 전환은 문제해결이 아니라고 봅니다.
평소 낚시용품을 구입하시는 낚시점에 가서 한번 물어 보세요. 간단하게
가르쳐 주실 겁니다. 어지간한 곳이면 유동축도 팔고 있습니다. 직접 보고 듣고
배우는게 최고죠. 아니면 낚시 하시는 곳에 가시면 요새 대부분 유동채비로 낚시
하시기 때문에 쉽게 볼 수 있습니다.
제 경우도 님 같은 적이 많이 있었는데 유동채비로 교체 후 줄 꼬임 없습니다.
단, 찌 멈춤고무는 줄 호수에 맞게 사용하셔야 찌가 고정 상태에서 움직이지 않습니다.
유동채비의 장점중 또 하나는 챔질시 찌가 밑으로 내려오는 현상이 거의 없다는 것입니다.
요즘은 챔질을 조금 강하게 하시는 스타일들이시죠. 그러다 보니 일반 찌고무는 챔질을
강하게 하면 찌가 밑으로 내려와 수심을 다시 맞추는 번거러움이 있었는데
유동채비로 멈춤고무를 줄 호수에 잘 사용 하시면 강한 챔질에도 찌가 내려오는 현상이
없어져서 너무 편합니다. 저도 겪은 일이라 허접한 말씀 드려봤습니다. 즐낚 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