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이낚시의 플라이라인은 그 무게로 인조미끼를 던질 수 있어야하기 때문에 무겁습니다.
플라이낚시대로 하는 것처럼 민장대에 플라이라인을 연결하여 앞뒤로 휘두를 수는 있겠지만 낚시대에 상당한 무리가 갈 것 같고요. 그러한 동작 중에 라인을 더 길게 늘어뜨리는 기술도 필요치 않으니 무의미한 행동같습니다.
민장대면 그냥 툭하고 던져 넣어도 되지 않겠습니까.
플라이라인 다음에 연결되는 줄이 리더라인입니다.
플라이라인과 연결되는 쪽은 플라이라인과 비슷한 굵기이고 아래로 내려올 수록 점점 가늘어져서 티펫라인과 연결되기 쉬운 굵기가 됩니다. 플라이라인과 대상어종에 따라 사용되는 리더라인이 나뉘기는 합니다.
티펫라인에 훅을 묶습니다. 목줄이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훅을 자주 교환하기 때문에 붕어낚시의 목줄보다는 아주 길게 사용됩니다.
민장대에 적합한 원줄(붕어낚시용이나 루어낚시용 아니면 근처있는 아무 낚시줄이라도)을 연결하고요.
도래를 연결하고, 도래 위쪽 원줄에는 봉돌이나 유동홀더 아니면 루어낚시에서 사용하는 황동비드 등을 멈춤고무로 고정시켜주면 될 것 같습니다.
그리고 목줄(목줄은 원줄보다는 약하게) 한가닥을 묶어서 플라이훅을 연결.
예전에 이런 식으로 은어 잡았습니다. 비슷한 방식이었죠.
플라이훅이라고 하지 않고 비드 달린 파리낚시 있지 않습니까.
그 바늘 사용했었습니다.
던지고 난 후 살짝 살짝 들어주면서 이동 그리고 다시 던지고를 반복하면 어느 순간 은어가 물고 나와주더군요
대구 금호강에서는 비슷한 채비로 끄리, 누치를 잡으시는 분이 계셨는데요.
훌치기로 장르(?)를 옮겨가신 후로는 인상부터 달라 보이더군요.
금호강에서는 훌치기가 왕이긴하죠.
허접한 플라이대로 끄리, 준치, 누치, 배스, 갈겨니, 꺽지, 유료터 송어 등만 잡아본 경험이라서
정확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플라이낚시대로 하는 것처럼 민장대에 플라이라인을 연결하여 앞뒤로 휘두를 수는 있겠지만 낚시대에 상당한 무리가 갈 것 같고요. 그러한 동작 중에 라인을 더 길게 늘어뜨리는 기술도 필요치 않으니 무의미한 행동같습니다.
민장대면 그냥 툭하고 던져 넣어도 되지 않겠습니까.
플라이라인 다음에 연결되는 줄이 리더라인입니다.
플라이라인과 연결되는 쪽은 플라이라인과 비슷한 굵기이고 아래로 내려올 수록 점점 가늘어져서 티펫라인과 연결되기 쉬운 굵기가 됩니다. 플라이라인과 대상어종에 따라 사용되는 리더라인이 나뉘기는 합니다.
티펫라인에 훅을 묶습니다. 목줄이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훅을 자주 교환하기 때문에 붕어낚시의 목줄보다는 아주 길게 사용됩니다.
민장대에 적합한 원줄(붕어낚시용이나 루어낚시용 아니면 근처있는 아무 낚시줄이라도)을 연결하고요.
도래를 연결하고, 도래 위쪽 원줄에는 봉돌이나 유동홀더 아니면 루어낚시에서 사용하는 황동비드 등을 멈춤고무로 고정시켜주면 될 것 같습니다.
그리고 목줄(목줄은 원줄보다는 약하게) 한가닥을 묶어서 플라이훅을 연결.
예전에 이런 식으로 은어 잡았습니다. 비슷한 방식이었죠.
플라이훅이라고 하지 않고 비드 달린 파리낚시 있지 않습니까.
그 바늘 사용했었습니다.
던지고 난 후 살짝 살짝 들어주면서 이동 그리고 다시 던지고를 반복하면 어느 순간 은어가 물고 나와주더군요
대구 금호강에서는 비슷한 채비로 끄리, 누치를 잡으시는 분이 계셨는데요.
훌치기로 장르(?)를 옮겨가신 후로는 인상부터 달라 보이더군요.
금호강에서는 훌치기가 왕이긴하죠.
허접한 플라이대로 끄리, 준치, 누치, 배스, 갈겨니, 꺽지, 유료터 송어 등만 잡아본 경험이라서
정확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못 봤지만,
일본에는 민장대로 된 플라이 전용낚시대가 시판되고 있습니다.
일본의 낚시 지인이 한국에 왔을 때, 강원도 남대천 계곡으로
함께 출조해서, 플라이낚시 전용 민장대로 산천어를 잡은 적이 있습니다.
(저는 난생처음 해보는 경험이라 신기하면서도 살짝 놀랬음^^)
따라서, 다소 경질성을 띤 일반 낚싯대에다 08호~1.5호 내외의
원줄(모노) 끝에다 플라이 훅을 직결로 연결해서 바로 사용하시면 됩니다.
*당시 일본 지인에게 배웠던 낚시방법을 간략하게나마 말씀 드리자면,
☞플라이 훅이나 마커 등 미끼를 부착해서 투척하면
흐르는 물에 미끼가 떠내려 가는데,
☞이때 미끼가 떠내려 가는 속도에 맞춰 원줄의
긴장을 유지한 채, 낚싯대 끝(초릿대)이 미끼와
반드시 일직선이 되도록 해주는 것이 핵심 요령
이라고 가르쳐 주더군요.
<고탄성의 경질성을 띠는 낚싯대를 사용하는 이유>
플라이 훅이나 마커 등이 매우 가벼운 소재이기 때문에
시계 바늘10시~2시 사이의 간격 정도로 앞뒤로 휘두른
탄력을 이용해서 투척해야 미끼가 수월하게 날아가는데,
연질성의 낚싯대는 대가 너무 낭창거리기 때문에
탄력을 이용할 수 없기 때문이라고 하더군요.
(미끼가 매우 가벼운데다 바람만 약간 불어도 앞치기 구사 불가능)
잘 아시겠지만,
산천어나 무지개 송어 등은 사람을 보면
숨어버리는 습성이 있기 때문에,
낚싯대는 가능한 한 길수록 유리하며,
될 수 있으면 물가와 최대한 떨어져서
낚시를 해셔야 입질 받기가 용이합니다^^.
저의 경험을 말씀 드렸는데, 도움이 되셨나 모르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