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까지 중층위주로 낚시를 해온 터라...그리고 표층에서 바닥까지 전층을 커버할 수 있는 중층이면 되지 내림은 필요없다고 생각해온 중층 메니아입니다.
4폰 이하 중층찌로 윗바늘 집어재 달고 바닥에 안착시키고, 아랫바늘 슬로프로 늘어지게 하고 바닥권 공략도 가끔씩 합니다.
몇일전 내림찌를 두세트 선물 받고 찌맞춤전에 의문이 생겨 질문 드립니다.
질문 1 내림찌에는 찌톱부력이 없다고들 합니다 만 과연 전혀 없는지?
일부 싸구려 내림찌만 찌톱에 부력이 있기도 한지? 궁금합니다.
제 내림찌는 확인해보니 아주 약한 미세한 부력이 있더군요.(쌀한톨 만한 글루텐 7목에서 2목까지 잠기게 할 정도..)
질문 2 찌톱에 부력이 전혀 없다면 몸통만 잠겨도 찌전체가 다 잠겨야 합니다.
이는 찌톱 중간 부분에 찌맞춤을 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말이 되겠지요. ->이게 사실인지 알고 싶습니다.
내림낚시 찌맞춤 질문입니다.-내림찌 찌톱의 부력과 찌맞춤
-
- Hit : 12015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2
대상어를 상황에 맞게 대처하여 좀더 쉽게 잡을수 있게 만들어지고
많은 조사님들에 의해 발전되어진 구분에 지나지 않는다 생각합니다.
상황에 맞는 미끼와 운용의 노하우를 겸한다면
내림찌로도 표층도 할수 있고 제등낚시도 할수있는것이지요.
튜브찌로 내림도 가능하구요~
조과를 떠나 어떤 장르이든 자기가 선호하고 좋아하는 취미인 낚시를 즐기는데
공통점이 있지요^^
찌가 물속에서 떠있는것에는 부력,중력,표면장력이외에도 많은것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전문적인 단어나 공식등으로 설명드릴 실력은 못되고 그냥 질문하신 내용에 대해서
부족하지만 아는데로 설명드릴까합니다.
질문 1 내림찌에는 찌톱부력이 없다고들 합니다 만 과연 전혀 없는지?
일부 싸구려 내림찌만 찌톱에 부력이 있기도 한지? 궁금합니다.
제 내림찌는 확인해보니 아주 약한 미세한 부력이 있더군요.(쌀한톨 만한 글루텐 7목에서 2목까지 잠기게 할 정도..)
-내림찌톱은 소재에 따라 틀리겠지만
일반적으로 속이 찬 형태의 솔리드계열이 주로 쓰이는듯 합니다.
무크란것도 있는데 가공법의 차이로 일반 솔리드보다는 비중이 가볍긴 합니다만
모두다 물에 가라 앉는 성질로 만들어 져있습니다.
찌톱자체엔 부력이 없는 것이지요.
(정확히는 부력이 있긴한데 부력보다는 중력이 커서 가라앉는상태입니다)
그럼 왜 redlies님의 찌에는 7목맞춤에 쌀알만한 글루텐으로 2목만 보이게 잠기게할
부력이 있는냐...... 그건 찌톱의 부력이 아니고 몸통의 부력이 작용하는 것입니다.
7목에 찌맞춤한 찌의 상태는 수면위로 나온 7목만큼의 찌톱의 무게가
수면아래의 솟아오르려고 하는 부력을 누르고 있는 상태라고나 해야 할까요?
거기에 쌀알크기의 글루텐 무게가 더해져서 찌를 밑으로 당기고 있지만
여전히 수면아래 부분은 뜨려고 하고 있고 이젠 찌톱의 2목만큼의 무게로
위에서 눌러 균형을 유지하는것이지요...
질문 2 찌톱에 부력이 전혀 없다면 몸통만 잠겨도 찌전체가 다 잠겨야 합니다.
이는 찌톱 중간 부분에 찌맞춤을 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말이 되겠지요. ->이게 사실인지 알고 싶습니다.
- 찌톱에 부력이 없다하더라도 위에 설명한 몸통부력의 작용으로 인해서
찌톱중간 부분에 찌맞춤이 가능합니다.
튜브톱이든 솔리드톱이든 11목찌에 7목 맞춤을 하였다면
수면위의 부분은 모두 아래로 누르는 중력으로 작용하고 있는겁니다.
그대로둔 상태에서 가위로 맨위를 한목만큼 잘라버리면 어떻게 될까요?
한목만큼의 무게가 줄어드니 찌가 가진 부력만큼 수면위로 올라오겠됩니다.
같은 무게/부피의 찌라도 소재,가공방법,칠의 두께에 따라
부력은 차이가 많이 납니다.
가령 2g의 무게가 나가는 두개의 찌가 있다고 하면
1g의 편납을 달아도 수면 아래로 가라 앉아 버리는 찌가 있고
4g의 편납을 달아도 찌톱을 수면위로 다 내어 놓고 떠있는 찌가 있습니다.
상황에 따라 개인적 취향에 따라 낚시하면 되는것이기에
어느쪽이 더 좋다고는 말하기 어려우나
주로 전자는 저가형 찌에 많으며 둔한 찌라고 얘기하며
(요즘은 저가찌라도 좋은 찌들이 많이 있습니다.)
후자는 보통 응답성이 빠른 예민한 찌라고들 얘기합니다.
저도 어제 가음지란 곳에 중층을 다녀 왔습니다.
항상 안전한 조행되시고
취미를 즐기는 기쁨을 자연과 함께 만끽하시기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