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림을 처음 접하시면 제일 궁금한 것이 찌마춤일겁니다.
찌마춤의 기본 변수는 찌톱의 굵기이고
굵기는 바늘의 무게와 직접 연관이 있습니다.
그다음이 슬로프 양일것이고,
이것은 목줄길이와 직접 연관이 있습니다.
가장 경계해야 할것은 이 찌는 몇목을 따야 잘 찍힌다는 말입니다.
대표적인 미신중에 하나입니다.
그럼 찌톱과 바늘 무게는 금방 눈치채시겠죠..
가벼운 바늘을 쓸수록 찌톱이 가늘어야 합니다.
무바늘 마춤이후 외바늘달고 몇목 내림되는지 확인하시면
바늘무게가 나옵니다. 집어바늘과 먹이바늘을 다르게 쓰실 경우
긴목줄 마저 달면 대충 감 잡을것입니다.
찌톱은 대부분 테이퍼톱,,위로 갈수록 가늘게 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몇목에서 따느냐에 따라 바늘무게에 의한 목내림이 다르게 나옵니다.
몸통 바로위와 찌톱 끝부분에서의 바늘무게에 의한 목내림목수가 차이가 납니다.
이 차이가 몇목에서 많이 찍히고 적게 찍히고의 차이로 나타나기도 합니다.
이점도 유심히 관찰해 보시면 감이 잡히실겁니다.
하지만 이런 차이들은 지엽적인 변수로 아주 예민한 상황에서 조절가능한 부분이고,
더 찍히던 덜 찍히던 다 챔질할 집중력이 제일 필요하다 생각합니다.
결론적으로 내가쓰는 바늘이 가벼운 바늘이면 찌톱이 가는쪽으로
무거운 바늘이면 찌톱을 굵은 것으로 쓰시면 됩니다.
무조건 가는것이 능사는 아님니다. 대류에 의한 찌목수의 침몰이
가늘수록 심하기 때문에 상황에 맞게 쓰셔야 제대로 입질표현이 나옵니다.
슬로프를 1센티 더 주는것과 목줄을 1센티 늘이는 것은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얼핏 보면 비슷한 상황이 되어 보이구요,,사실 효과도 비슷합니다.
하지만 목줄이 너무 길어지면 입질전달이 미약해 표현이 잘 나오지않고
너무 짧으면 고기가 흡입저항을 받아 깊이 흡입하지 못합니다.
슬로프의 원리와 같습니다.
그래서 찌가 찍히지 않고 꾸물거린다든지 살짝 살짝 밀리는 표현이 나오면
목줄을 조금씩 줄여가시면 어느 순간 깔끔히 찍히는 표현을 보실 수 있을것입니다.
반대로 찍는것 같은데 헛방이 자꾸난다 하면 목줄을 늘여 주시면 됩니다.
목줄자를 쓰는 이유가 여기 있습니다. 상황에 맞춰 목줄길이를 대응하면
더 나은 조과를 보실 수 있어서 입니다.
자주 가시는 곳의 목줄길이야 빤하니까 똑같은 길이의 목줄을 많이 묶어 다니시지만
2,3센티만 늘이거나 줄여도 안잡힌던 상황이 개선됨을 경험하게 될 것입니다.
위의 상황을 이해해야 찌마춤을 제대로 하실 수가 있습니다.
몇목따서 몇목 내놓아야하나 하는 것보다 바늘을 몇호 쓰고 목줄길이가 얼마이니
몇목따서 몇목 내놓을까 이렇게 스스로 질문하시고 대응하셔야 합니다.
목줄이 길 수록 슬로프를 적게 줄 수 있고 짧을수록 많이 줘야 하는데
긴목줄 쓰는 사람에게 슬로프를 더 주라하면 입질빈도수가 훨씬 떨어지는
방향으로 가기 때문입니다.
저는 일반적으로 목줄길이 40 정도, 경량바늘 4호 정도 쓸경우
수심 2m 기준 찌탑 반정도 따서 밥달고 70%투척시 한목정도 더 잠기면
낚시 시작 기준으로 봅니다.
여기서 입질, 대류 등을 보면서 한목씩 위로 대응해 갑니다.
슬로프로 1차 대응하고 상황이 개선이 않되면 목줄길이로 대응합니다.
그래도 않되면 찌를 바꿉니다.
물론 이와중에 밥의 질기와 점도는 동시에 대응합니다.
밥이야기는 다음에 하겠습니다.
목줄은 어신 전달 이외에 중층부에 떠있는 고기들에게 어필하여
바닥으로 유인하는 역할도 합니다.
그래서 부력이 작은 찌에 긴목줄은 어신전달에서 불리한 점이 있음에도
어필 이라는 더 역할이 있으므로 하우스에서 목줄을 길어지는 방향으로
대응하시는 것이 기본입니다.
점심시간을 이용해 쓰다보니 두서 없이 말만 길어 졌습니다.
즐낚하십시요..
하우스 내림 조금 다르게 보기
-
- Hit : 6896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6
많이 배우네요
다음편이 기대됩니다 ^^;
먼가 .. 어둠 ㅎ이 걷히는것 같습니다..
맞다 아니다 라고 단정 지을수는 없지만..
하우스 내름에서 제가 생각하는 핵심을 첨언합니다..
기본적으로 내림이든 바닥이든 채비는 가볍고 경량화를 하는 건 기본입니다.. 가능하면 예민하게..
저는 채비 관점이 아니라 붕어 먹이습성에 입각해서 접근합니다.
통상 겨울 하우스 낚시는 실내가 따뜻하기때문에 대체 적으로 중층 또는 그이상에 고기가 머물고 있습니다..
이놈들을 바닥으로 어떻게 끌어 내리느랴가 관건입니다..
왜 하우스는 내림이나 바닥이나 가변운 채비 , 예민함을 따지고.. 분할등을 사용할까요?? 입질표현 이면에 바로 고기를 바닥으로 끌고 위한 방법입니다..
예로 5호봉돌에 글루텐 어분도 크고 찰지게 달게 되면 덩어리져 빠른속도로 바닥에 안착합니다... 이런 패턴은 붕어의 먹성이나 공격성을 자극할수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바닥으로 내려오는 고기도 적고 조과도 적은 것이죠..(큰본돌로도 잘잡히는 날도 있습니다..)
다른 방법으로 미끼도 작고 풀림도 좋고 가벼운 채비로 바닥까지 안착할시.. 바닥안착까지의 시간도 길고 바늘의 먹이는 먹지 않을 지언정..중층에서 풀려 떨어지는 잔분은 받아 먹습니다..
붕어의 공격성을 자극해서 바닥까지 끌고오는 것이지요..
저는 이게 하우스 낚시의 키포인트라 생각합니다..
제가 내림할때 하는 고기를 바닥에 붇치는 방법입니다.(미끼는 작고 집어제는 잘풀리게..기본전제입니다.).
기본 시작할때는 정상적으로 봉돌을 목줄위에 위치시켜 고기의 활성도를 체크 합니다.. 활성도가 괜찬타고 하면 입질도 깔끔하기 때문에 계속합니다..
크게 입질이 없다고 할시에..
편납을 찌하부 50센티까지 이동합니다..(저는 쇠도레는 사용안합니다.. 고무오링 가장 작은거..씁니다..)
그러면 찌가 빠르기 기립하고 50센티 까지 침력만 존재하고.. 그 이 후로는 아주 천천히 바닥까지 자연스럽게 떨어집니다..(가장 느리고 자연스럽게 연출하기 위해 쇠도레를 안쓰고 가장 작은 오링을 쓰는 이유입니다..)
내려가면서 입질을 할 수도 있고 고기 건드림등을 체크합니다 // 대략적 고기가 머물고 있는 층.. 물론 바닥에 닫기전 챔질해서 낚을 수도 있지만.. 통상 중층은 하용하지 않는 곳이 많기때문에 메너로 안땡깁니다!!
고기층이 파악되면 상황을 봐가면서 순차적으로 봉돌을 목줄 위까지 내려가면서 고기를 점점 바닥으로 끌고 오는 것입니다... <--는 분명 개인의 경험과 능력입니다.. <br/>
이렇게 하면 그래도 어느정도 조과는 볼수 있기에 이렇게 저는 운용합니다..
이후 또 바닥에서 고기빠져 뜸하게 되면 위층부터 다시 짚고 내려옵니다..
하우스 노기는 먹이의 냄새에 반응하는 것이아니라.. 하강시의 자연스러움고 적은 잔분에 공격적으로 반응하는 것입니다.. 이점에 핵심을 두시고 낚시를 하면 어려운 하우스에서 그나마 손맛을 좀 더 볼수 있지 않나 합니다.
위에 방법은 잘하면 도움되고 어설프게 하면 낚시 조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