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지바늘채비는 입질이 어떤 형태로 나타나는지요?
가지바늘채비는 내림채비와도 흡사한것 같은데
봉돌위에 있는 가지바늘을 붕어가 흡입할 경우 찌가 내려가는 입질이 나오는지요
아니면 살작 내려갔다가 다시 올리는 입질이 나타나는지요?
또 한가지
만약 올리는 입질이 있을 경우 가지바늘의 경우 흡입 후 일반채비보다 2배 더 많이 올려줘야 찌에 어신이
나타날 것 같은데 맞는지요?
많은 가르침 기다리겠습니다.
가지바늘채비 입질은 어떤가요?
-
- Hit : 6209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6
그런데 저의 경험으로는 약간 빠르게 올라오는것을 느꼈습니다...정상적이기보다 약간 잔씨알같아도 7치이상이 되던군여!
입질의 경우에는 2배를 올려주기보다 원줄과 봉돌은 연결되어 있기에 목줄만 올려주면 바로 예신으로 전달이 된다 생각합니다...
질문하시는 거 같습니다. 왜 가지채비를 사용하셨는지는 제가 모르겠지만....
일반적으로 가지채비를 사용하는 이유는 바닥에 뻘이 쌓여 있거나
낙엽등으로 인해 미끼가 투척되어 바닥에 안착될때
퇴적층 부유물질속으로 함몰되어 대상어가 미끼를 잘 찾지 못하기 때문에
봉돌 위로 가지바늘을 달아 대상어가 미끼를 먹을 수 있게 하기 위하여 가지바늘을
사용하는 이유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보통의 바닥낚시와 마찬가지로
봉돌은 바닥에 닿은 상태에서 미끼가 부유물질 위로 올려져 있는
상태에서 흡입되므로 바닦낚시처럼 찌가 위로 올라가게 될 뿐, 찌를 2배 더 올려주지는 않습니다.
생각은 있으되 확신이 없어서 선배님들의 답변을 기다리겠습니다.
개인적인 생각은 윗바늘의 어신의 경우 확률상 올리더라도 끌고가는 입질이나 내림에서처럼 찌가 한두마디 쏙 내려가는 입질이 아닐까 합니다. (원줄의 호수나 찌의 부력에 따라 그 민감도가 차이는 있겠지요)
제 경험으론 생미끼 대물낚시에서는 별로 차이가 없음을 느낍니다.
간혹 차고 나가는 입질도 있지만 올려주는건 마찬가지입니다.
따라서 챔질은 일반적인 챔질로 하면 무리없습니다.
반면 떡밥낚시에서는 약간의 차이가 있음을 느낍니다.
주기적으로 윗바늘은 물고나온 입질을 보면 살짝 찌가내려갔다가 올리는 입질을 보일때가 많습니다.
또한 찌올림이 안정적이지 못할때도 있어서 헛챔질의 확률도 높더군요. 제경우에... ^ ^
가지바늘...
저도 자주 활용하지는 않지만 분명 효과를 볼때가 있습니다.
하나더 말씀드리자면 윗바늘의 높이를 정하실때
바닥육초길이,침전수초의 높이등을 잘 고려하셔서 적당한 높이에 정하시는게 중요합니다.
안출하시길....
어복 충만하시길......
바닥에 닿지가 않을때 사용하는 채비입니다.
육초가 자라 떡밥이 달린 바늘이 바닥으로 안착이 되지않고 육초의 가지에 걸려 떠있는상태에서 붕어가 먹이를 취한다해도
찌에서는 아무런 반응을 하지않습니다.
음성 *남지 의 장마철오름수위낚시때 대물찌에 8대정도 다대편성하여 전부가짓바늘채비로 월척급들 많이 잡아 보았습니다.
예신과 본신은 확실하지 않으나 붕어가 먹이를 먹고 물위로 올라오면 찌또한 올라올 것이며 빨고 잉어처럼 내빼는 입질또한
생길것입니다.
중층낚시 처럼 미끼가 물위에 떠있는 상태이므로 지렁이 미끼가 편하며 떡밥낚시시에는 **텐 처럼 잔분이 오래남는 떡밥을
딱딱하게 게어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민한 입질보실려면 그냥 2봉채비 쓰시구요. 올리던 내리던 정확한 타이밍만 잘잡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