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십니까 대물 초보.. 바람입니다......
8월에 정출 간 소류지가 있는데 새우가 엄청나게 많았습니다.......
거의 그때쯤에 대물.. 아니 낚시 자체를 시작했다고 봐야죠.. 첨시작을 아시는분들 따라
대물을 하게 됐는데 채집망 그 큰 망에 1/4이 차있더군요.. 놀랐습니다..
어릴적 집앞에 도랑에서 손이나 소쿠리(채? 머라고 해야죠?)로 고기를 잡으면 제일로
귀하게 쳐준게 새우였습니다.. 그도랑이 좀 더러웠거든요.. ㅎㅎ
그 귀하게 생각하던 새우가 .. 그곳엔 망에 1/4 정도 차있으니.. 그것도 3시간정도 넣어뒀는데요..
24일날 그곳에 낚시를 가서 옥수수미끼에 낚시를 시작했습니다.당연히 대를 피기 전에 채집망먼저 던져두었는데요
... 새우가 3마린가/ 들어와있더군요..
지식검색 보니깐 민물 새우가 참 맛있다는 말씀에... 남는건 가져가서.. 새우탕 해묵자 생각해서
두개나 넣어 뒀는데.... 3마리 ㅠㅠ 5시간동안 ㅠㅠ... 그것도 새우들 죽으면 하얀색으로
변하는데.. 거의 하얀색을 띤 3마리의 새우.. 입질도 한번 못받고 철수했습니다.......
그많던 새우가 다 어디간건지.. 궁금해서 이렇게 글을 올려봅니다..
겨울잠 자러.. 깊은 곳으로 ?/
아니면 기온이 낮아져서.. 다 죽은건지//
알려주세요 ㅠㅠ
겨울이 되면 새우가 없어지나요?
-
- Hit : 8978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12
그래서 통발놔서 생업을 하시는 분들도 이맘때쯤이면 통발을 다 걷더군요 넣어도 거의 채집이 않되니깐..
지금 낚시방에 남아있는건 그전에 잡아놓은거겠죠 그래서 두어군데 뒤져서 새우를 사곤합니다
올해는 날이 덜 추어서인지 아직 새우를 파는곳이많더군요
먼저 낚시병원에 입원하신걸을 진심으로 축하드리며 반갑게 환영하는 바입니다~!
민물새우는.. 단년생( 1년생 ) 으로써 초여름에 산란을 하며 1년에 4번 탈피를 합니다..
그리고 산란을 하고나면 죽어버립니다...
새우가 제일 활발하게 활동하는 수온은 17도 ~ 21도 사이를 제일좋아하며 활발하게 활동합니다..
초겨울 저수온기의 시기에는 최대한 깊은곳으로 이동을 하며 죽거나 없어지는것은 아닙니다..
그러니 내년 봄에 그저수지를 다시 찾으셔서 새우탕을 해드시면 될것같습니다~! ^^
그럼 앞으로 낚시하시면서 어복충만하시구요.. 498 하시길 바랍니다....건강하세요~
좋은 정보 감사 합니다
항상 많은 지식 회원님들께 주셔서 감사합니다
님의 말씀대로라면 새우채집망에 긴 줄을 연결해서 수심 2미터 이상 3미터 정도에
던져놔야 하는지요? 아니면 훨씬 깊은곳에 던져야 하는지요?
혹시 글 읽으시면 설명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추운 날씨에 안출하시고 즐거운 낚시하세요
지난주 일요일에 가게 놀러 갔는데 안계시던데요 ㅎ
저는 올해 낚시 정리하고 총 잡았습니다.ㅋ
지난주에도 지나가다 오리 몇마리 드릴려고 들렀는데요.
다음주에 함 들리겠습니다.
저 누군지 아실지 모르겠습니다. ㅡㅡ?
새우를 꼭 채집을 하고 싶으시다면... 줄을 길게 하시는것보다...
저한데..연락을 주시는게~ 편할거 같아요~
잡아보고 싶으신거라면 얼음이 얼때를 기다리셔도 되요..
얼음 깨고.. 저수지의 젤 깊은곳을 찾으셔서 채집망 넣어보시면 채집이 됩니다...
줄을 길게해서 하는 방법은 해보지 않았습니다.. 채집망을 날리기도 힘들테구요..^^
그럼 즐거운 하루 되세요~
글 남기실때마다 유익한 정보 주셔서 뭐라 감사의 말씀을 드려야할지
모르겠습니다
얼음 얼면 꼭 시도해보겠습니다
항상 행복한 일만 가득하시길 빕니다
참고하세요.
새우 종류는 징거미새우과·새뱅이과·가재과 등 종수가 적고 대부분은
바닷물에서 삽니다. 이 가운데 질문자가 올리신 민물새우란 새뱅이를
말하고 있는듯 하군요.
새뱅이과 새우는 우리나라에 4종류가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저 있습니다.
새뱅이의 수명은 1년 입니다. 5 - 7월에 알을 낳은 후 일제히 죽습니다.
<새뱅이>
몸길이 약 25mm이다. 민물새우이다. 몸빛깔은 어두운 갈색이고 윗면 가운데선에 등뼈모양 얼룩무늬가 있다. 갑각에 더듬이윗가시가 있고 눈윗가시는 없다. 갑각의 앞쪽 옆모서리는 가시모양이다. 이마뿔은 곧고 작은더듬이자루의 끝에 이르거나 지난다. 이마뿔 윗가장자리에 10∼20개, 아랫가장자리에 1∼9개의 이모양 돌기가 있다.
꼬리마디 윗면에는 3∼5쌍의 가시가 있고 끝 가장자리에 12∼14개의 가시가 있다. 눈자루는 짧고 굵다. 제1·2 가슴다리는 집게를 갖는다. 집게의 부동지와 가동지 끝은 숟가락모양이며 가장자리에 털이 촘촘하다. 수컷의 제1 배다리의 안다리는 끝부분에서 부풀어 부채꼴이다.
하천이나 연못·호수에 살며 5∼7월에 알을 낳는다. 한국·일본·중국에 분포한다.
<네이버 백과사전>
1. 징거미새우
학명 Macrobrachium nipponense
분류 십각목 징거미새우과
부속지수 10개(가슴다리)
크기 몸길이 수컷 약 9cm, 암컷 약 6cm
생식 난생
서식장소 바다에 가까운 하천 유역
분포지역 한국·일본·중국·타이완
2. 새뱅이과 [Atyidae]
학명 Atyidae
분류 갑각강 십각목
종수 2속 4종(한국)
부속지수 10개(가슴다리)
생식 난생
서식장소 민물
분포지역 한국·일본·중국
3. 가재과 [Cambaridae]
학명 Cambaridae
분류 갑각강 십각목
종수 1속 2종(한국)
생활방식 저서생활
부속지수 10개(가슴다리)
생식 난생
서식장소 민물
분포지역 전세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