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물낚시

· 생미끼 붕어 대물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경질과 연질대의 기준

  • Hit : 7612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9
초보 조사입니다.듣기로는 경질대가 좋다고하는데 초보에 맞게 가격도 저렴하면서 어느정도 빧빧한 낚시대가 있다면 추천해 주세요. 그리고 아직도 낚시대를 많이 접해보지 못해서 그런데 연질과 경질의 기준에 대해 설명 부탁드림다.

예상하는 가격을 먼저 말씀 하시고 대를 찾으시는 것이 더 도움이 될듯합니다.
얼마가 저렴한 가격인지를 책정하시고 물으신다면 더 많은 코멘트가 올라 올것입니다.
예를 들자면 2-3만원대,5만원대, 5-10만원대,10-15만원대
그리고 칸수는 얼마를 선호하시는지에 대한 것들도 포함이되겠군요.
연질대와 경질대의 기준은 낭창거림이라고 표현하는데요.쉽게 말하면 흔들어보아서 많이 흔들거리면 연질대에 가깝고 그와 반대이면 경질대에 가깝습니다. 대체로 연질대보다는 경질대가 가격이 비쌉니다.
안냐세여 나그네님? 우선 나그네님의 낙시 패턴이 궁금하군요. 대물낙시인지 ,떡밥낙시인지? 낙시대 선택은 본인의 낙시 패턴에 따라 구입하셔야 합니다. 중요한 부분입니다. 초보이시니 아직은 반카본대가 무난하시리라 봅니다. 가격도 저렴할거구요. 경질대는 거의가 케브라 재질이고, 카본 재질이라도 연질과 경질이 잇다고 봐야 합니다. 본인의 취향에 따라 구입하세요. 내게는 연질이라도 타인에게는 경질로 느껴질 수도 잇습니다. 저같은 경우는 떡밥 낙시를 해도 성질이 다른 2벌의 낙시대를 사용합니다. 원다에서 나오는 하이옥수와 하이옥수 케브라를 사용합니다. 하이옥수는 깔끔한 포인트에서 사용하고, 케브라는 다소 험악한 포인트에 서 사용합니다. 또한 케브라는 배수기에 자주 찾는 양어장에 갈때 사용 합니다. 연질과 경질 을 떠나 대 끝의 복원력을 보시고 구입바랍니다. 복원력은 앞치기와 손맛과 챔질에 많은 영향을 끼칩니다.

반갑습니다 나그네님
제가 사용하는 대는 슈퍼포인트인데 저도 한동안은 경질을 찾아다녔는데
지금은 약간불편한것은 참기로하고 그냥 사용합니다만, 정히 경질을 저렴한 가격에 구입을 하실거면 향어대를 구해보세요

값도 싸고 얼마나 믿음직 스러운지 모릅니다
한대 가지도 있는데 정말 믿음이 가더군요...

허접한 글 도움이 되었는지 모르겠습니다.
즐낚하시고 안전조행 하시길....
나그네님 어서 오십시오.
민물대에 연질이니 경질이니 하는 표현이 쓰인것이 최근의 일인데
대의 탄성에 따라 고탄성대, 중탄성대, 저탄성대가 있는데
고탄성대라면 경질대라고 할 수 있습니다.

대를 펼쳐서 흔들어 보아서 대의 끝이 찰랑찰랑 움직이면
고탄성대일 확률이 높으며
대끝이 뻗뻗하다면 허리가 노는 중탄이나 저탄성일 확률이 높습니다.

우리가 알고 있는 대부분의 민물대들이 저탄성이나 중탄성이며
비교적 가격이 낮은 고탄성대로 아피스의 프로페셔널 슈퍼대를 권할게요.

내구성으로 볼때에 질긴대가 있고 약한 대가 있는데
중탄성이나 저탄성대중에 질긴대가 많고
고탄성대중에 질긴 성질까지 갖춘 대는 또 흔하지 않습니다.

중탄성의 대중에 질긴대로는 아피스의 엑설런트 골드대를 권합니다.

대를 판단하는 많은 기준중에 일부분만을 안내 드렸는데
의문이 남으시면 또 질문을 해주십시오.
좋은 선택 하셔서 낚시의 즐거움을 더하시기 바랍니다~
안냐세여 물사랑님 ? 연질대니 경질대니 하는 표현이 최근의 일이라니 좀 듣기에 뭣 합니다. 제대로 아시고 문자화 햇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꽂이식 낚시대가 나오고 안테나식 낚시대가 출현 햇을 때 쯤으로 알고 잇습니다. 송소석 님의 붕어 교본에서도 나와 잇구요. 그분 조력이 아마 60여년 됏을 겁니다.
그리고, 연질이니, 경질이니 하는 단어가 이미 한자 라는 것도 알고계셧으면 합니다. 물사랑님은 월척에서 지대한 영향력을 가지신 분으로 느껴지는데 , 문자화하는 과정에서 세심한 주의와 노력을 바랍니다. 수많은 초보 매니아들이 지켜 보고 계십니다.
아웃싸이도님 어서 오십시오.
민물낚시대를 경질이니 연질이니 하는 구분을 짓기 시작한 것은
최근의 일이 분명 합니다.
바다대에 경조니 중경조니 하는 표시를 한것은 오래 되었지만
민물대에는 지금도 연질, 경질이라는 표시를 해놓은 대는
흔하지 않습니다.

저는 근거가 없이 결론만을 주장하는 것은 이론이 아닌 고집이라는
생각을 평소에 하고 있습니다.
제가 문자화 하는 얘기들에는 가급적이면 읽는분들이 공감을 하거나
반박을 할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려고 노력하며 글을 씁니다.

아웃싸이도님께서 몇년도에 출시된 무슨민물대에 연질
혹은 경질이란 표시가 되어 있다라고 근거를 제시 하신다면
저도 더욱 명확한 답을 할수 있을것 같습니다.

저는 낚시꾼으로서 각종 낚시대를 두루 사용 해보았고
몇가지의 낚시대를 제작도 해보았지만
낚시대란 탄성, 내구성, 무게등이 그 낚시대의 성능을 가늠하는 척도가 되며
경질이니 연질이니 하는 구분을 할 필요성을 별로 느끼지 못하고 있습니다.

고탄성카본이 저탄성카본에 비해서 경도가 높으니 고탄성카본을
소재로 만든 대를 경질대라고 굳이 표현을 한다면
틀린말은 아닐것이나 이것을 표현하는 것이 그리 중요한 일은 아니라고
생각 합니다.

그러나 아웃싸이도님께서 저의 주장이 틀렸다는 것을 확인을 하신다면
중요성 여부를 떠나서 저의 주장을 철회하고 틀린 주장을 한것에
대해서 본란에 공개적으로 사과를 할 것 입니다.
좋은밤 낚으십시오~

물사랑님 , 물사랑님 말씀이 맞습니다. 민물대에 연질이니,경질이니 문자로 표기한 예는 없는 걸로 알고 잇습니다. 다만 강도의 단위를 나타내는 표식은 잇는 걸로 알고 잇습니다. 연질이니 ,경질이니 하는 것은 다만 표현의 한 부분인데요. 제가 민물대에 연질, 경질 표식 한다고는 하지 않앗구요. 글 을 좀 더 세심히 읽는 주의를 가지셧으면 합니다. 그리고 대화와 토론에 이미 감정이 개입돼면 올바른 태도는 아니리라고 봅니다. 제가 고집이 아니라는 것을 증명 해 보겟습니다 이제부터. 송소석님의"붕어 낚시 교실" 1991 년도 판에 이미 연질대와 경질대에 대해서 설명하구 잇구요. 또한 이책은 1979년도 "붕어 낚시 특강" 의 개정 판입니다. 무려 2페이지에 걸쳐서 그림까지 그려서 설명하고 잇습니다. 다만 , 물사랑님의 그 "최근 " 이란 시간의 단위가 궁금하군요. 그리고, 한자로도 이미 "부드러울 연", "굳셀 경" 이라 함은 그 뜻이 분명히 드러남이 아닐런지요?

좋습니다. 물사랑님의 그 "최근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공감합니다. 보통의 대낚시가아닌, 대구의 y 씨에 의해 새로운 지평을 연 새우 대물 낚시가 성행을 할 즈음 하여 굳이 연질이니, 경질이니 구분 한 걸로 이해 하겟습니다. 하지만 그 시간도 이미 적어도 6,7년은 됀거 같군요. 그런것 같습니다. 굳이 연질이니,경질이니 구분을 할 필요는 없다고본다는 님의 말씀에 공감합니다. 그런 표현도 중요 하지 않다는 말씀에도 공감합니다.

물사랑님, 저도 님의 낚시철학에 경의를 표하며, 님의 강의와 이론을 누구보다 경청하는 사람입니다. 또한 낚시에 대한 열정도 님못지 않다고 자신 합니다.
행여 큰줄기에 아주 잔잔한 잔가지 정도도 안 돼는 일로 님의 심기가 불편 하셧다면 관용을 베푸시고, 충언에서 비롯 돼엇으려니 큰 마음 으로 대하소서.
아웃싸이도님 송소석님의 그런 해석이 있었군요.
하루 6천카운트가 넘어서는 월척싸이트에서 님들께
낚시를 안내하는 역할을 하고 있기에
어떤 주장을 할때는 항상 '근거'를 생각 합니다.

아웃싸이도님의 글로 인해서 더욱 신중히 글을 써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됨을 진심으로 감사 드립니다.
질문 해주신데 대해서 더욱 겸허하게 답을 했어야 했다고 자책을 합니다.
낚시대를 판단하는 방법에 대한 안내를 자료로 올려야겠다는 생각을
한지가 오래인데 게으름을 피우고 있습니다.
곧 숙제를 해결 해야겠습니다.
왕성한 활동을 부탁 드리고요
항상 안전조행 하시고 좋은밤 낚으십시오~
아닙니다 물사랑님. 오히려 제 자신의 그릇작음에 부끄럽기도 합니다. 모두가 낚시에 대한 열정이 누구보다도 크고 웅대함에서 비롯돼엇으려니하고 이해해 주셧으면 합니다.
아뭏든 님의 낚시 철학에 무궁한 발전과 저를 포함한 후학 지도에 열과 성 다하시는 모습 늘 뵈엇으면 하는 마음입니다. 이제 낚시도 레저,놀이,문화의 차원을 넘어서 학문적 접근도 태동 할때가 돼엇다 싶기도 합니다. 그러한 큰줄기에 물사랑님의 우뚝한 모습 ,지켜 보고자 합니다. 늘 행복한 물가가 돼시길 빕니다.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