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물낚시

· 생미끼 붕어 대물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계곡지 급심지역에서.....

수심 3~4m의 계곡지 급심대에서 생미끼 대물낚시를 즐깁니다. 찌든 수초대에서 사용하는 30cm 전후의 대물찌와 떡밥용 고부력 장찌(오뚜기형 80cm) 중 어떤 것을 사용하는 것이 나을런지요..... 둘 다 사용해도 안될 것은 없겠지만 찌라는 것이 상황에 따른 나름의 용도가 있고 그것은 과학적으로 타당한 이유가 있다고 생각하기에 짧은 저의 식견으로는 도저히 답을 찾을 수가 없어 고수님들께 문의드립니다. 좋은 말씀 부탁드립니다. 좋은 날 물가에서 행복한 시간 보내시고 항상 건강하시길 빕니다.

전그냥 대물찌그대로 사용합니다

도혁아빠님 말씀데로 찌라는 것이 상황에 따른 나름의 용도가 있고 그것은 과학적으로 타당한 이유가 있지만서도

그 기능이나 역할은 동일하다고 생각됩니다

대물찌야 수초대를 공략하기위해 채비안착이 쉽도록 자연히 짦아지고 부력이 큰걸 사용하는것 아니겠습니까?

전 3.5M 급심지역에서도 원채비그데로 사용합니다
365 낚시를 하는 입장이라 ㅋ
그냥 낚시를 즐기심이
안녕하세요,저두 회원님과 같은 상황에서 자주낚시합니다.저는 떡밥찌로 50-80센티찌을 씁니다.
투척음과 찌올림 등에서 저에겐 더 편하드라고요.
*생미끼 낚시 하는데 투척음 걱정하는냐하시는 회원님께시는데, 한번투척후 기다릴수 있는 저수지가 흔치않습니다. 먹이 탐하는놈들이 많아서요. 살치,구굴이.게.피리 등등
떱밥찌에 한표입니다

수심이 있고 맹탕지역이라면 당근 장찌가 시원한 찌올림도 있을거라 생각됩니다
아무래도 떡밥찌가 좋치 않을까요..

항상 안출하세요~
원래 찌라는것이 수심에 비례하여 그 기준을 설정하고 용도를 맞추어 주어야하는데도 불구하고 충분하다, 귀찮다는 식이

저 역시도 그렇고 그냥 사용하는 사람들이 많지요~ 사실 다대편성시 여간 귀찮은게 아니거든요~

출조 장소가 수심이 깊은 계곡지로 마음을 먹고 시간적 여유가 있으시다면 깊은 수심 3~4m를 공략할때는 60-70cm 길이는

최소 보장 되어야한답니다. 이 기준을 바탕으로 낚시를 해보면 , 대어들의 입질을 한치의 오차도 없이 분명하게 간파할 수 있으며

찌올림 또한 확실한 점을 느낄 수가 있답니다. 그러면서 챔질의 실수도 전혀 염려할 필요가 없어 조과의 승패에 많은 도움이 된다

네요. 새우 대물낚시 윤기한 아저씨의 오랜 경험을 바탕에서 깔린 이론이네요.

저도 수심 깊은 계곡지로 출조 장소를 정하면 그 전날 찌세팅을 새로 한답니다.

그냥 갑자기 예전에 책 읽었던게 생각나서 몇글자 적어보았습니다.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안출하시고요~
절묘한타이밍님의 의견에 동의합니다.
아무래도 찌올림의 묘미는 장찌에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과학적 의미는 굳이 생각하지 않더라도 장찌의 찌올림은 환상적이겠지요.

그러나 편하게 낚시하자면 대물찌를 사용해도......

저는 아예 장찌가 없어서 어느 곳에서나 같은 찌를 사용합니다만......(그래서 나름대로 절충한 자작찌를 사용합니다)
좋은 말씀주신 여러 조사님들께 감사드립니다.
일일이 거명하지 못해 죄송합니다.
저 역시 그놈의 귀찮으니즘 때문에 그냥 대물찌를 사용해 보았는데.....
뭔가 부족하고 어색해서 문의 드렸습니다.
시간 좀 내서 상황에 맞게 사용해야 겠네요....
좋은 말씀 주신분들께 다시 한번 감사드립니다.

항상 건강하시고 행복하시길 빕니다.
수심 기푸마 무조건 장찌 써야죠
걍잇능거쓰세요^^
농담이구요 3~4미터에 30짜리는 아닌거 분명합니다
떡밥찌두 나름이겠지만 ... 맞춤에 따라 유용하게 쓰시리라 생각 됩니다 ^^

부력이 넘작은거만 아니라면 !! 추천해봅니다
무늬만프로, 채바바님 감사합니다.
시간과 열정이 문제이지 채비가 큰 문제는 아닌거네요.....
잡탕꾼의 비애네요.....
허구헌날 채비를 이렇게 저렇게 바꿔야 하니.....
좋은 주말 보내시고 출조길 안전하게 다녀오시길 빕니다.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