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객 료오마님 어서 오십시오.
답이 늦었습니다.
유동채비는 장점이 많은 방식 입니다.
익숙해지실때까지 불편이 있더라도 꾸준히 사용 해보시기를 권해 드립니다.
관통찌의 장점은 작은 수초구멍에 채비를 넣기에 편리함이 강조된
점을 들 수 있습니다.
반면 불편한 점은 굵은 원줄이 찌의 상단에 걸쳐져 있음으로 해서
찌의 기움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는 점과
거친 챔질을 주로 하는 대물낚시에서 챔질때마다 찌가 봉돌을 때리게 되니
그로 인한 불편함이 있습니다.
항상 안전조행 하시고 좋은밤 낚으십시오.
수초가 적고, 포인트에 채비를 투척 시 큰 장애가 되지 않은 지역에서는 유동채비가 관통식 채비보다 월등히 좋습니다.
이러한 지역에서 낚시를 하시는 분들께서는 굳이 관통식 채비를 하실 필요가 없다고 봅니다. 그리고 유동식 채비가 찌 올림에 있어 관통식 채비보단 장애를 받지않고 멋진 찌 올림을 볼 수 있겠지요. 하지만 수초가 많은 지역에서 유동식채비를 하실 경우 앞치기에 자신이 있으신 분을 제외하고는 초보자일수록 채비 넣는 구멍을 좀 크게 뚫어야 하는 점이 있습니다. 마무래도 관통식 채비 보단 찌가 수초 위에 올라타는 경우가 많겠지요.
관통식 채비가 나온 이유는 꾼들의 욕심땜에 기능성으로 개발되어 나오지 않았나 생각됩니다.
수초가 빽빽히 들어선 곳에 수초제거기로 수초 정리를 하지 않고, 꼭!! 대물이 있을 것 같은 예감을 주는 이러한 포인트에 채비를 세울려 할때... 도저히 유동식으로는 채비를 넣지 못할때... 이러한 경우는 관통식 채비가 탁월합니다.
위 캐미마이트님께서 올리신 자료를 보시면 관통식 채비(관통찌)가 여러가지 형태로 나뉘어져 물사랑님께서 얘기하신 원줄로 인해 찌의 기우는 현상이 생기는 것은 찌톱까지 원줄 완전 관통식 채비 경우 찌의 기움 현상이 생깁니다.
하지만 변형관통식(반관통찌) 채비일 경우는 원줄로 인해 기움현상이 전혀 생기질 않습니다.
변형관통찌에도 단점이 있습니다. 원줄과 찌톱 사이에 이물질이 끼게 되면 챔질시 찌톱이 부러지는 상황이 종종있습니다.
강한 챔질 시 관통식 채비는 원줄을 찌가 잡아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챔질에 안정성이 있어 좋습니다. 챔질시 봉돌이 찌를 때리는 현상은 찌 하단부분에 고무를 추가 함으로 인해 예방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채비의 흐름 : 고정식 채비 -> 유동식 채비 -> 기능성(관통식)채비
고정식은 포인트 투척에 어려운 점들이 많았습니다. 그래서 유동식이 이를 보완해서 나왔습니다. 하지만 유동식은 고정식보다 원줄을 손상시키고, 원줄이 잘못 끊어졌을 때 찌를 분실할 위험성이 큽니다.
기능성(관통)찌는 초보자도 전문가처럼 포인트에 쉽게 안착 시킬수 있도록 합니다.
고정식이 좋다는 분들이 있는 반면 유동식이 좋다는 분들이 있습니다.
또한 기능성이 좋다는 분들도 있습니다.
저는 항시 수초를 끼고 낚시를 하기 때문에 기능성 쪽에 손을 들어 주고 싶네요.
대물(월척)낚시에 있어 다대편성의 이유도 확률을 높이기 위함 때문입니다.
30대,50대를 볼 수 있는 능력이 있다면 예상 포인트에 다 잡아 넣고 싶은 욕심이 생기겠지요.
명 포인트가 있다면 당연 꾼이라면 넣고 싶은 맘은 똑 같겠지요. 그때 수초를 건드리지 않고 자연 그대로의 구멍에 넣을 수 있는 찌가 기능성 찌입니다.
저는 선운사가 고향이랍니다
참고할 만한 자료가 있기에 얼른 스캔 떳습니다
죄송합니다 물사랑 근처에도 못가는 사람이...
출처 : 붕어낚시21 2004.06
http://editor.freechal.com/GetFile.asp?mnf=1631653%3FGCOM22%3F4%3F16421277%3FSC1.jpg">
http://editor.freechal.com/GetFile.asp?mnf=1631653%3FGCOM22%3F4%3F16421277%3FSC2.jpg">
http://editor.freechal.com/GetFile.asp?mnf=1631653%3FGCOM22%3F4%3F16421277%3FSC3.jpg">
http://editor.freechal.com/GetFile.asp?mnf=1631653%3FGCOM22%3F4%3F16421277%3FSC4.jpg">
답이 늦었습니다.
유동채비는 장점이 많은 방식 입니다.
익숙해지실때까지 불편이 있더라도 꾸준히 사용 해보시기를 권해 드립니다.
관통찌의 장점은 작은 수초구멍에 채비를 넣기에 편리함이 강조된
점을 들 수 있습니다.
반면 불편한 점은 굵은 원줄이 찌의 상단에 걸쳐져 있음으로 해서
찌의 기움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는 점과
거친 챔질을 주로 하는 대물낚시에서 챔질때마다 찌가 봉돌을 때리게 되니
그로 인한 불편함이 있습니다.
항상 안전조행 하시고 좋은밤 낚으십시오.
요즘 제가 관통찌를 사용하고 있는데요.
제 경험은 이러합니다.
수초가 적고, 포인트에 채비를 투척 시 큰 장애가 되지 않은 지역에서는 유동채비가 관통식 채비보다 월등히 좋습니다.
이러한 지역에서 낚시를 하시는 분들께서는 굳이 관통식 채비를 하실 필요가 없다고 봅니다. 그리고 유동식 채비가 찌 올림에 있어 관통식 채비보단 장애를 받지않고 멋진 찌 올림을 볼 수 있겠지요. 하지만 수초가 많은 지역에서 유동식채비를 하실 경우 앞치기에 자신이 있으신 분을 제외하고는 초보자일수록 채비 넣는 구멍을 좀 크게 뚫어야 하는 점이 있습니다. 마무래도 관통식 채비 보단 찌가 수초 위에 올라타는 경우가 많겠지요.
관통식 채비가 나온 이유는 꾼들의 욕심땜에 기능성으로 개발되어 나오지 않았나 생각됩니다.
수초가 빽빽히 들어선 곳에 수초제거기로 수초 정리를 하지 않고, 꼭!! 대물이 있을 것 같은 예감을 주는 이러한 포인트에 채비를 세울려 할때... 도저히 유동식으로는 채비를 넣지 못할때... 이러한 경우는 관통식 채비가 탁월합니다.
위 캐미마이트님께서 올리신 자료를 보시면 관통식 채비(관통찌)가 여러가지 형태로 나뉘어져 물사랑님께서 얘기하신 원줄로 인해 찌의 기우는 현상이 생기는 것은 찌톱까지 원줄 완전 관통식 채비 경우 찌의 기움 현상이 생깁니다.
하지만 변형관통식(반관통찌) 채비일 경우는 원줄로 인해 기움현상이 전혀 생기질 않습니다.
변형관통찌에도 단점이 있습니다. 원줄과 찌톱 사이에 이물질이 끼게 되면 챔질시 찌톱이 부러지는 상황이 종종있습니다.
강한 챔질 시 관통식 채비는 원줄을 찌가 잡아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챔질에 안정성이 있어 좋습니다. 챔질시 봉돌이 찌를 때리는 현상은 찌 하단부분에 고무를 추가 함으로 인해 예방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채비의 흐름 : 고정식 채비 -> 유동식 채비 -> 기능성(관통식)채비
고정식은 포인트 투척에 어려운 점들이 많았습니다. 그래서 유동식이 이를 보완해서 나왔습니다. 하지만 유동식은 고정식보다 원줄을 손상시키고, 원줄이 잘못 끊어졌을 때 찌를 분실할 위험성이 큽니다.
기능성(관통)찌는 초보자도 전문가처럼 포인트에 쉽게 안착 시킬수 있도록 합니다.
고정식이 좋다는 분들이 있는 반면 유동식이 좋다는 분들이 있습니다.
또한 기능성이 좋다는 분들도 있습니다.
저는 항시 수초를 끼고 낚시를 하기 때문에 기능성 쪽에 손을 들어 주고 싶네요.
대물(월척)낚시에 있어 다대편성의 이유도 확률을 높이기 위함 때문입니다.
30대,50대를 볼 수 있는 능력이 있다면 예상 포인트에 다 잡아 넣고 싶은 욕심이 생기겠지요.
명 포인트가 있다면 당연 꾼이라면 넣고 싶은 맘은 똑 같겠지요. 그때 수초를 건드리지 않고 자연 그대로의 구멍에 넣을 수 있는 찌가 기능성 찌입니다.
이상 허접한 초보꾼 코뿔소 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