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정확한 정보가 아닌 첩보에 귀기우리지 마시구여(혼란을 가져옵니다)
제일 중요한 건 수심이랍니다 아무데나 콩미기를 사용하는 일부 조사님들을 보면 한숨이..ㅎㅎㅎ
수심이 1미터 이내에는...보통 새우
1미터 이후에는 콩미끼를..
무엇보다도 중요한 건 조사님들이 고기질을 어케 들었야 따라 틀리지요 사전 정보가 중요합니다
어서 오십시오.
'콩미끼는 활성도가 낮은 저수온기에는 듣지 않는다.'
'마사바닥에서는 콩이 듣지 않는다.'
등등의 얘기가 있지만 사실과 다릅니다.
콩이 듣는 저수지에서는 시기나 수심등에 관계없이 듣습니다.
콩미끼가 듣지 않는 곳에 콩밑밥을 반복해서 뿌리면 콩이 듣게 된다는
얘기도 있지만 이것도 반드시 그렇지만은 않습니다.
콩밭밑의 포인트에서 콩이 듣지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콩이 듣고 안듣고는 직접 낚시를 해서 확인을 하는 방법밖에 없습니다.
항상 안전조행 하시고 사구팔 하십시오.
콩미끼의 사용을 3월에도 하고 4월에도 하긴 합니다만 저수지마다 차이가 있을수 있습니다 언제부터 시작이다라고 단정짖기는 어렵습니다만 초봄부터 여러대중에 몇대는 사용합니다 한마디로 저같은 경우에는 일년내내 사용을 하긴하는데 겨울에는 잘 사용을 하지않습니다.
겨울과 초봄에는 생미끼를 많이 사용하고 콩과 다른 곡물류는 비중을 적게 차지합니다..^^
즐낚하십시요^0^
답변 감사합니다.
어복 충만 하십시요.
콩은 생콩을 쓰는법이 없기에 삶아서 사용합니다
삶는다라는것은 콩을 푹 삶게되면 물러져 바늘에서 쉬이 이탈되고 잔챙이의 성화가 심할때엔 좋지않지만
이른 봄철이나 늦가을철에는 향이 더 잘 퍼지고 활성도낮은상태일때 잘 흡입되죠
제일 중요한 건 수심이랍니다 아무데나 콩미기를 사용하는 일부 조사님들을 보면 한숨이..ㅎㅎㅎ
수심이 1미터 이내에는...보통 새우
1미터 이후에는 콩미끼를..
무엇보다도 중요한 건 조사님들이 고기질을 어케 들었야 따라 틀리지요 사전 정보가 중요합니다
'콩미끼는 활성도가 낮은 저수온기에는 듣지 않는다.'
'마사바닥에서는 콩이 듣지 않는다.'
등등의 얘기가 있지만 사실과 다릅니다.
콩이 듣는 저수지에서는 시기나 수심등에 관계없이 듣습니다.
콩미끼가 듣지 않는 곳에 콩밑밥을 반복해서 뿌리면 콩이 듣게 된다는
얘기도 있지만 이것도 반드시 그렇지만은 않습니다.
콩밭밑의 포인트에서 콩이 듣지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콩이 듣고 안듣고는 직접 낚시를 해서 확인을 하는 방법밖에 없습니다.
항상 안전조행 하시고 사구팔 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