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깊은수심(2m이상)에서는 50cm이상 쓰고요 얕은수심(2m미만)에서는 30cm정도 씁니다. 이유는 수심이 깊을수록 고부력에 장찌를 써야 수직입수가 원할하고 찌맞춤 및 투척이 용이하고요, 얕은수심은 찌가 짧아도 웬만하면 수직입수가 되고 찌맞춤도 용이하므로 짧은찌를 선호합니다. 아마도 깊은수심에서 짧은 대물찌를 사용하신다면 투척은 용이할지 몰라도 수직입수가 제대로 안되 사선질것입니다. 이는 어신전달에 문제가 있지 않을까요? 저에 짧은 소견입니다.
25cm전후 - 얕은 수심
35cm전후 - 1m 정도 수심
50cm전후 - 1.5m 정도 수심
60cm~장찌 - 2~3m 정도의 수심
이렇게 조금 더 세분화 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32cm 대물찌라면 봉돌 8~9호 정도 될터이고, 게다가 풍덩 채비라면
3m수심에서는 그냥 꼬로록 해서 찌가 먼저 잠긴 다음에 다시 찌 올라올거 같은데요...
물론 조금 더 가볍게 맞추심 되겠지만...이 참에 좀 더 긴찌 몇개 준비하심이 어떨런지요~
원당조사님께서 잘 설명해주셨구요.
저또한 깊은수심에서는 40이상을 사용하고있습니다^^
25cm전후 - 얕은 수심
35cm전후 - 1m 정도 수심
50cm전후 - 1.5m 정도 수심
60cm~장찌 - 2~3m 정도의 수심
이렇게 조금 더 세분화 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32cm 대물찌라면 봉돌 8~9호 정도 될터이고, 게다가 풍덩 채비라면
3m수심에서는 그냥 꼬로록 해서 찌가 먼저 잠긴 다음에 다시 찌 올라올거 같은데요...
물론 조금 더 가볍게 맞추심 되겠지만...이 참에 좀 더 긴찌 몇개 준비하심이 어떨런지요~
생미끼찌, 대물찌는 대부분 수초를 떠나서는 생각하지않고 만듭니다~
고로 50cm넘어가는 긴찌는 생미끼용이나 대물찌로는 없다고보셔야합니다~
제법 부력이나가는 떡밥찌를 사용하셔야할것같고요~~
또 생미끼나 대물위주의 낚시를 하시는분들이 3m권을 노리는경우도 별로없다고보셔야할거같습니다`~(특별한경우는 제외)
긴 떡밥찌사용이 싫으시면 40cm정도의 생미끼대물찌 쓰시면됩니다~
사선입수에 대해 말씀을하셨는데요~~
풍덩채비라면,,, 저수심에서 오히려 사선으로 채비가 정렬되는경우가 많습니다~
사선입수라하면... 찌와물속에 잠긴 봉돌이직각으로 놓여잇지않고 삐딱하게 놓여있는것을 말하는데...
찌맞춤이 무거울수록(풍덩의 찌맞춤이 무겁죠~) 그리고 수심이 앝을수록 사선이 많이생긴다고 봅니다~
채비를 들어뽕식으로 수면에 내려놓지않는한
앞치기하는 방향으로 봉돌이 찌보다 멀리날아갑니다~~
그 봉돌이 찌가서면 찌밑쪽으로 내려와서 위치하게 되는데~
수심이 얕으면 바로 바닥에 안착되거나 깊은수심보다 일찍 바닥에 닿게됩니다`~
채비가 수직에 가깝게 정렬될 시간이 없는거죠...
무겁게 맞춘찌가 사선입수되는경우가 가볍게 맟춘찌보다 사선입수가 많은데..
그것은 찌의부력으로 봉돌이 바닥에 닿는 시간을 지연시키기 때문입니다`~
고정찌보다는 유동찌채비 했을경우 사선입수가 어느정도개선이 되고요~~
찌맞춤을 가볍게 하시면 채비정렬에 도움이 됩니다`~
기본적으로 얕은수심 짧은찌 깊은수심에 길이가 긴찌를쓰시는게 좋습니다`~
찌가 한바디정도 올라옵니다~~
사선입수를 어느정도 해결해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