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jj1112님 안녕하세요.
님께서 질문하신 3항에 관해서 제생각을 말씀드리겠습니다.
moonflavor님 께서 말씀하신것도 맞는예기입니다.
하지만 사용할 이유는 있다고 봅니다.
1.겉보리보다 더 좋은 밑밥은 사실 저도 잘 모릅니다. 죄송합니다.
2. 겉보리를 사용했을때와 하지않했을경우의 차이점은
(사용했을때 새우나 참붕어를 불러모으는 효과가 있습니다.
어느정도 시간이 지난후 새우를꾀어 놓으면 새우나 참붕어들이
겉보리를 먹기위해 군집합니다. 이를 대물들이 놓칠리 없겠지요.
대물이 들어오는순간 새우나 참붕어는 순간흩으져 버리고
바늘에 매달린 새우나 참붕어가 대물의 희생양이 됩니다.)
겉보리 투척은 밤낚시용이라 생각하세요. 새우가 잘들어오지 않는시각에
겉보리로 묶어두는 방법입니다.
3. 당일투적후와 2-3일뒤의 차이점은 겉보리의 잔여분이 판가름한다고 봅니다.
하절기의 수온이 따뜻할때는 새우나 참붕어또는 여러 잡어들이 먹어치우니 못하면
수중에서 썪을 겁니다.
저도 이문제에 대해서는 심히 우려가 되는 부분이므로 꼭필요한 적당량만큼 사용
하려고 합니다.
다만 겉보리 투척후 떡밥낚시를 하지 않으므로 그나마 수질보호에 도움이 되겠지요.
이상 제가아는 정도입니다.
마지막으로....수질보호...자연보호..뭐..이런게 걸리시면 사용치 마세요..........
뿌려서 수질에 도움될께 뭐 잇겠습니까.....전 2년전부터 사용을 하지 않고 있는데
그 결과는.......대충 이렇습니다....보통 제가 한해에 12~15마리정도 월척을
구경하다가.....2년전부터는 7~8마리정도.....이것두 운이 다한건지,밑밥때문인지
는 확실치 않겠죠.
참 겉보리땜에 말 많지요...
저는 수질 환경을 전공한 사람이라 언젠가는 썩게되는 보리땜에 포인트는 고사하고 전체 수질을 혐기화시켜서 용존산소의 결핍을 초래하는 수가 있으므로 인의적으로 뿌리지는 않았으면 합니다. 실험차 낚시대 한대당 한 포대씩 직접 들어가서 놓고 낚시를 한것과 안한 것의 차이점을 연구하는 낚시명인을 보았습니다. 그 분 말씀은 별 차이가 없다고 하시더군요... 단지 겉보리 판매를 업으로 하시는 분들께 피해가 갈까해서 방송으로 말씀을 못한다 하시더군요...정말 낚시를 좋아하신다면 자신의 어복을 믿고, 붕어와 깨끗한 한판 승부를 걸자구요...바다낚시도 아닌데...
겉보리 사용 하지마세요
어차피 우리낚시가(대물낚시) 고기의 회유로를 보고 대편성을 하는것 아니겠습니까?
겉보리가 대물의 먹이감을 불러모은다는 설이 맞다고 해도,대물낚시의 결정적인 방해 요소가 되는 잔챙이와 잡어(수생곤충등) 들도 불러모은다고 봅니다
가령 이놈들이 주 미끼인 새우에 손상을 준다면 그리고 이때문에 잦은 미끼교채와
소란 투척음등이 발생하면 회유한는 그넘들이 좋아할까요?
불러모아서 잡고 십으면 떡밥낚시를 하세요.
가령 노루를잡고 십다고해서 그리고 노루를 불러모의기 위서서 밭에다가
온갓 곡시과 풀들을 갖다 두었다고 칩시다
과연 거기에 누루만 올까요? 거의 모든 산짐승들이 다올꺼라 생각듭니다
노루는 누루 다니는 길에 거기에 맞는 올무를 토끼는 토끼다니는 길에 토끼에 맞는 올무를 설치하는게 맞지 않을까요?
겉보리를 투척하기위해서는 황토를 2대1이나 3대1정도로 썩어서 투척을 하지요 물론 겉보리만 투척을 하면 수질에 영향을 줄수도 있지만 황토를 같이 썩어주기 때문에 수질에 큰 영향은 주지않을것입니다.
수질이 걱정되시면 겉보리와 황토에 비율을 1대1로 해보세요.
아니면 황토만으로도 집어효과가 있으니 황토을 사용해 보세요
전 개인적으로 겉보리 사용은 하지 않고 있습니다.
그래도 운이 좋아 큰 고기 구경 좀 합니다.
대물 낚시는 다대 편성을 우선으로 합니다. 그렇다고 아무곳에나 대를 펴는것도 아니고요,한대 한대 조사가 보기에 붕어가 붙을만 한 곳에 찌를 세웁니다. 역으로 말하면 밑밥질을 했다면 10대 를 폈으면 10대에 다 입질이 붙어야 하겠지요.그러나 우리가 실상 낚시를 해보면,그렇지 않는다는것을 알겁니다. 어느 한대에서 멋있는 입질을 받았다면 붕어가 다니는 길목에 찌를 세웠기 때문이지,밑밥때문에 입질을 받았다고 생각 하지 않습니다.
붕어는 누가 비싼장비를 사용하는지 모릅니다.
다만 회유로에 먹이가 있는것은 압니다.
대물 낚시는 맡밥연구보다,물속사정을 어떻게 잘 읽어,찌를 세우는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봅니다.
감사 합니다.그리고 절대짱님 의견 맞습니다.
밑밥의 과다 사용 하지 맙시다.
밑밥값 연말에 불우 이웃돕기 사용 하심이.....
한 마리 더 낚기위해 굳이 사용하신다면 물론 써야 겠지요.
하지만 그 순간부터 낚시인이 아닌 어부가 되시는 거겠지요. ^^
pjj1112님 안녕하세요.
님께서 질문하신 3항에 관해서 제생각을 말씀드리겠습니다.
moonflavor님 께서 말씀하신것도 맞는예기입니다.
하지만 사용할 이유는 있다고 봅니다.
1.겉보리보다 더 좋은 밑밥은 사실 저도 잘 모릅니다. 죄송합니다.
2. 겉보리를 사용했을때와 하지않했을경우의 차이점은
(사용했을때 새우나 참붕어를 불러모으는 효과가 있습니다.
어느정도 시간이 지난후 새우를꾀어 놓으면 새우나 참붕어들이
겉보리를 먹기위해 군집합니다. 이를 대물들이 놓칠리 없겠지요.
대물이 들어오는순간 새우나 참붕어는 순간흩으져 버리고
바늘에 매달린 새우나 참붕어가 대물의 희생양이 됩니다.)
겉보리 투척은 밤낚시용이라 생각하세요. 새우가 잘들어오지 않는시각에
겉보리로 묶어두는 방법입니다.
3. 당일투적후와 2-3일뒤의 차이점은 겉보리의 잔여분이 판가름한다고 봅니다.
하절기의 수온이 따뜻할때는 새우나 참붕어또는 여러 잡어들이 먹어치우니 못하면
수중에서 썪을 겁니다.
저도 이문제에 대해서는 심히 우려가 되는 부분이므로 꼭필요한 적당량만큼 사용
하려고 합니다.
다만 겉보리 투척후 떡밥낚시를 하지 않으므로 그나마 수질보호에 도움이 되겠지요.
이상 제가아는 정도입니다.
(2)차이점은 딱 집어서 말하면....경험에 의하면...그날 큰넘들이 내 포인트로
회유한다는 가정하에서...1마리 잡을넘....2~3마리 잡겠죠...
(3)보통은 당일보단....다음날이...나았지만...그것두 포인트쪽에 회유를해야
해당사항이 있겠죠..
마지막으로....수질보호...자연보호..뭐..이런게 걸리시면 사용치 마세요..........
뿌려서 수질에 도움될께 뭐 잇겠습니까.....전 2년전부터 사용을 하지 않고 있는데
그 결과는.......대충 이렇습니다....보통 제가 한해에 12~15마리정도 월척을
구경하다가.....2년전부터는 7~8마리정도.....이것두 운이 다한건지,밑밥때문인지
는 확실치 않겠죠.
저는 수질 환경을 전공한 사람이라 언젠가는 썩게되는 보리땜에 포인트는 고사하고 전체 수질을 혐기화시켜서 용존산소의 결핍을 초래하는 수가 있으므로 인의적으로 뿌리지는 않았으면 합니다. 실험차 낚시대 한대당 한 포대씩 직접 들어가서 놓고 낚시를 한것과 안한 것의 차이점을 연구하는 낚시명인을 보았습니다. 그 분 말씀은 별 차이가 없다고 하시더군요... 단지 겉보리 판매를 업으로 하시는 분들께 피해가 갈까해서 방송으로 말씀을 못한다 하시더군요...정말 낚시를 좋아하신다면 자신의 어복을 믿고, 붕어와 깨끗한 한판 승부를 걸자구요...바다낚시도 아닌데...
님 말씀처럼 어부가 되는것은 싫습니다
저는 낚시꾼이 아닌 낚시인이 되고 싶기 때문에 입니다
어우심공님!
자주 뵙습니다 ㅎㅎ
님의 답변을 많이 읽어 보니 확실히 저보다 한수 위 인것같습니다
성의 있는 글 너무나도 감사드립니다
덕분에 많은 것을 배우게 되는것 같습니다 ㄳㄳ
다가 올 봄에는 워리에 498하시길 바람니다
이인님! 반갑습니다
그런데 헉!! 워리를 1~2마리도 아이고....저것이 몇마리여? 대체!!
나도 겉보리 포대기로 가따가 부어야 것네...ㅎㅎㅎ
지금도 7~8마리라니 엄청 고수인가 봅니다
앞으로도 계속 기록갱신 하시기 바랍니다
절대짱님! 반갑습니다
님께서 말씀하신것에 전적으로 공감 합니다
그래서 저두 올가을 부터 겉보리 사용을 자제 하고있습니다
제 질문은 수질 오염없이 사용할수 있는 밑밥을 물어 본 것입니다
아무쪼록 건강 하시고 어복 충만 하시길 바랍니다
것입니다
어차피 우리낚시가(대물낚시) 고기의 회유로를 보고 대편성을 하는것 아니겠습니까?
겉보리가 대물의 먹이감을 불러모은다는 설이 맞다고 해도,대물낚시의 결정적인 방해 요소가 되는 잔챙이와 잡어(수생곤충등) 들도 불러모은다고 봅니다
가령 이놈들이 주 미끼인 새우에 손상을 준다면 그리고 이때문에 잦은 미끼교채와
소란 투척음등이 발생하면 회유한는 그넘들이 좋아할까요?
불러모아서 잡고 십으면 떡밥낚시를 하세요.
가령 노루를잡고 십다고해서 그리고 노루를 불러모의기 위서서 밭에다가
온갓 곡시과 풀들을 갖다 두었다고 칩시다
과연 거기에 누루만 올까요? 거의 모든 산짐승들이 다올꺼라 생각듭니다
노루는 누루 다니는 길에 거기에 맞는 올무를 토끼는 토끼다니는 길에 토끼에 맞는 올무를 설치하는게 맞지 않을까요?
수질이 걱정되시면 겉보리와 황토에 비율을 1대1로 해보세요.
아니면 황토만으로도 집어효과가 있으니 황토을 사용해 보세요
그래도 운이 좋아 큰 고기 구경 좀 합니다.
대물 낚시는 다대 편성을 우선으로 합니다. 그렇다고 아무곳에나 대를 펴는것도 아니고요,한대 한대 조사가 보기에 붕어가 붙을만 한 곳에 찌를 세웁니다. 역으로 말하면 밑밥질을 했다면 10대 를 폈으면 10대에 다 입질이 붙어야 하겠지요.그러나 우리가 실상 낚시를 해보면,그렇지 않는다는것을 알겁니다. 어느 한대에서 멋있는 입질을 받았다면 붕어가 다니는 길목에 찌를 세웠기 때문이지,밑밥때문에 입질을 받았다고 생각 하지 않습니다.
다만 회유로에 먹이가 있는것은 압니다.
대물 낚시는 맡밥연구보다,물속사정을 어떻게 잘 읽어,찌를 세우는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봅니다.
감사 합니다.그리고 절대짱님 의견 맞습니다.
밑밥의 과다 사용 하지 맙시다.
밑밥값 연말에 불우 이웃돕기 사용 하심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