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물낚시

· 생미끼 붕어 대물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낚시대 칸수별 사용빈도

10번정도 출조한다고 가정하면 1.7대 44대 48대 얼마나 사용하시는지요? 물론 장소가어디냐에따라달라지겠지만 저는 평지형 소류지를 많이찾는편입니다. 물론 생미끼낚시입니다 꼭필요한갓두같고해서 구매에앞서 조언좀얻으려합니다. 또한 쌍포외에 어느칸수가 더많으신지도 궁굼합니다 올한해는 시간이많아서 낚시를 자주다닐거같아서요

자주가신곳에 따라서 달라지지 않을까요 ㅎ 안출하세요!!
수초가 빼곡한 지역에선 거의 짧은대 위주입니다..(20~28칸)
맹탕지역에선 긴대위주로 편성을하구요..(28~40칸)
농띠님 말씀처럼 주변 상황에따라 달라질수있는게 칸수인듯합니다.
이곳 충북지역은 맹탕낚시가 주입니다 48-32까지가 주력대 입니다 (10대편성)
제 경우 42대 이상은 없으니 패스하고...

17은 산란철 제외하면 거의 사용빈도 없습니다.
25대 아래로는 거의 안쓰네요..ㅠㅠ

많은데...큰일이네요..ㅎㅎ
낚시터 상황에 따라 다릅니다 그래서 저는 20대서 부터 44대까지 가지고 다닙니다
거의 쌍포로요 대부분 주력으로 가장 많이쓰는 대는 29 32 36대 입니다
좋은 장비 준비하셔서 월이 하시고 안출 하십시요!!
초봄에는 긴대가 더유리한거 같습니다...44 48 초봄에 많이 활용하세요^^
평지형 소류지 라하시면 장대와 짧은대는 사용빈도수가 거의 아나올듯합니다..

자주가시는 곳 상황을 한번 생각해보시구 없어도 아쉽지 안으시다면 굿이 구입할 필요는 없을듯합니다...
맹탕지역으로 출조가 전무하여 44~48대 낚시대 자체가 없습니다.

수초위주에 중소형지 꾼이라 짧은대 활용이 많습니다.

24~34까지가 제일 사용을 많이 하네요

대구리 하이소~
수초지역에서만 해서 그런지 27,29,32대가 가장많이 들어가네요..^^
저에게 다 없는 칸수네요...!!

22 ~ 40대 까지 있읍니다...!!
29~40 요렇게..해도..행복합니다!! ㅎㅎ

저는 36대는 꼭핍니다 ㅎㅎ
예를드신 17,44,48대는 1~2회/년 사용합니다.
32,36은 최다빈도!
15,17대 1대 정도는 거의 편성을 하는 편이고 긴대(전40이 제일 긴대)는 좌우측으로 펼치는 외에 정면으론 거의 펼치지 않습니다.
수초지역에선 24대를 기준으로 조금 더 길게 짧게 편성하구요...닭발자리에서 솔직히30대이상도 거의 쓸일이 없지요...누군가 자꾸 자꾸 깊숙이 수초를 쳐내지 않는 이상...닭발 자리마저 점점 멀어지는게 안타까운 1인...
짦은대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것 같네여 28밑으로는 거의 안피는듯
가끔 양옆으로 붙여놓은 13대에서 새벽에 큰놈나옴니다.
저수지 상황에 따라 많이 달라지고요.
대부분 계절별보면 수초나기전이런봄. 수초싹은늦가을 주로긴대이상선호합니다.
직벽.또는말.마름.땟장등 수초난발한 계절에는 짧은대 위주로 편성이많읍니다.
주로쌍포를 선호하는편 ... 다수의대를 가고고있는대는 20 ~~ 30 대는 여러대 사용중입니다.
긴대던 짧은대던 저수지 상황에 만는 포인트 선정이 제일이라봅니다.
늘 안출하시고 즐거운 조행만 있기를 ...
요즘 가벼운 낚시대가 많이 보급되면서 3.2, 3.6대를 많이 주력으로 사용하시는것 같아요.

하지만 저는 2.5, 2.9, 3.2 요 세대를 주력으로 씁니다.(일반 저수지 기준)

물론 양어장에선 저도 3.2, 3.6위주로 ㅎㅎ
저는 떡밥의경우 21이나 25대 1대 사용합니다(짝밥의경우도)
포인트가 먼경우 29대까지 옛날에는 떡밥에 44대까지
작년에 1.7칸 한번 써보고 4.4칸은 서너번 써봤습니다..

올해는 얼마나 쓸련지 모르겠네요..
이름 봄...늦은 가을은 긴대!

보통 수온이 올라 가면은 짧은 대에서!

특히 나무 가장자리!
저는 보통 3.2칸대부터 4.4칸대 그리고 5칸대까지 자주씁니다.3.2칸대 이하는 잘 안쓰고요 그냥 떡밥낚시할때 맘편히 즐길때 2.9칸대나 2.5칸대 씁니다.
먼저여쭤보길 참잘했다는 생각이듭니다
조언해주신모든회원님들 감사말씀드립니다
장소 따라 계절따라 그때그때 물색 따라달라서 ㅎ 전 거의 30대 이하를 더많이 쓰는것같아요
26대 이하 거의 않쓰고요 44,47대는 처음엔 출조시마다 썻었는데 팔에 무리가오더군요 근래에는 40대 집중 배치합니다
저는 32대36대를 중심으로 좌우로 상황에 맞게 사용합니다.
지금 사용하는 소양강은 22 부터 40까지 사용하는데 32부터 36까지가 주로 많이 쓰이더라구요 주로쓰는거는 2대에서 3대씩가지고 다니고요 물론 대피는 장소마다 대편성은 다르죠
17대에서 51대까지 갖고 다니면서
주로 사용하는 것은
32대를 기준으로 27대, 29대, 34대, 36대, 38대, 40대, 44대
때론 47대, 51대까지 해서 10대 정도 사용하고 있습니다.
수초지역에서는 19대~25대까지 짧은 대도 사용하고 있고요~~~~
25대 이상만 사용하여 짧은대는 거의 사용하지 않음^(^
저는요^^조력이 짧바서 ㅋㅋ28,30,32주로 사용하는 칸수입니다^^
고기는 꼭~28대에만 나오는 징크스?ㅎㅎㅎ님들은 어떠하신가요?ㅋㅋ
24~36대 까지를 많은분들께서 주력대로 사용하실꺼라 생각합니다.
저도 그렇구요.

24,28,32,36 쌍포정도로 운영하다가 대가 한대씩 늘어납니다.
낚시대에 따라 틀리겠지만 각 한대씩을 더 추가할수도 있고 26,30,34 쌍포식 추가 해갈수도 있습니다.

그러다가 더 짧은 칸수가 필요한 곳에서 아쉬움이 남으면 철수해서 16,20 칸을 구매하고 있는 제 모습에 껌쩍껌쩍 놀라곤 합니다.
물론 40,44대도 구매를 해야지요. ㅎㅎㅎ
하다보니까 어떤 현장에서도 모자름이 없이 준비를 해다니고 싶은것이 욕심이고 어쩔수가 없었습니다. ㅎㅎㅎ
머리위에 지름신님이 강림하사
질러라~ 질러라~ 질러라~ 이런느낌?? ^^

아이고 자꾸 산으로 가려고 하는것 같습니다.

주로많이 쓰는 24~36대 쌍포정도로 구비하셨다가 많이쓰는 28,32대 정도를 한대씩 더 늘리는 것과
아니면 0.2칸대 단위로 출시되는 대를 선택하셔서

26,30,34 사잇대를 추가하는것이 좋은 방법 같습니다.

그리고 24 밑으로나 36 위로는 사용횟수는 많지 안지만 꼭 필요할때가 있을수도 있으니
필요성을 한번 느껴 보시고 준비하셔도 늦지 않을것 같습니다.
주로 맹탕에서 낚시를 하다 보니 주력대가 3.2칸 쌍포입니다.
그러나 만약을 위해 2.9칸 쌍포도 항상 휴대는 합니다.
그러나 역시 3.2칸이 제일 많이 사용되드군요.
짧은대 사용빈도가 가장 적습니다... 개인적으로요...
그러나 지금 가장 빛을 바라는 낚시대는 짧은대가 아닐까요... 이것도 개인적으로요.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