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물낚시

· 생미끼 붕어 대물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낚시줄에 관하여... 질문요. 선배 조사님들 답변 부탁 드립니다

오늘 첨 가입햇습니다.많은 정보도 얻고 많이 배울수 있으서 참 좋은것 같습니다. 궁금한게 잇는데요...바다 낚시도 가끔 다니는데 릴에 줄을 감고 나면 항상 조금씩 남씀니다, 버릴려니 아깝고 해서 민물 민대에 묶어 쓸려고 하는데 괜찮을까요? 아시는 조사님들의 의견을 묻고 싶습니다. 부탁 드립니다

바다릴에 감는 줄이라면 몇호인지....
민물낚시에서도 어떠한 장르의 낚시를 하느냐에 따라 달라진다고 생각합니다.

기본적으로
릴줄이 모노필라민트줄이죠....
모노줄이라고 모두 물에 뜨는 것은 아닙니다.
물에 뜨는 플로틴계열과 모노줄이면서도 물에 가라앉는 씽킹계열이 있지요...
낚시도 배우면 배울수록, 예민함을 추구하면 추구할수록 어렵습니다.
님이 하시는낚시가 생미끼 대물낚시인지 또한 떡밥낚시인지 혹은 내림인지 중층인지..
에 따라 답변은 달라질수 있다고 봅니다....

하지만, 제 생각에는 일단 묶어서 사용해 보십시오...

어떤 장르를 불문하고 일단 사용해 보시고 이상하거나 불편한점이 있을때 다시 한번 본 게시판을 이용하시는 것은 어떠실지....
아님, 구체적으로 줄의 종류, 님이 하시고자하는 민물낚시의 장르...
이런것들이 필요하네요....
플라톤님의 답변 많이 참고 하시구요..

보통 바다 낚시도 장르에 따라 줄을 수면에서 띄우기도 하는 플로팅과 살짝 잠기게 하는 세미 플로팅...그리고 가라

앉는 싱킹이 있는 데요..

어떤 장르의 낚시건 간에...릴에 감긴 원줄 정도의 호수와 무게라면..

큰 지장은 없습니다.

다만..바다와 마찬가지로 파도가 높게 치거나 바람이 많이 불면 미끼와 밑밥의 동조가 힘들고

채비가 떠서 가라 앉지 않아 미끼를 띄운 상태에서 낚시를 하게되는 어려움이 있죠?

그래서 저 같은 경우에는 주로 플로팅보다는 세미플로팅을 사용해서 많이 낚시를 했는 데요..(그냥 제판단하에..)

민물도 바다와 마찬가지로...바람이나 물결에 영향을 받는 경우가 있습니다.

특히 다대 편성을 하게 되는 대물 낚시의 경우는 그 문제점이 더더욱 부각 될 수도 있구요..

더구나 모노계열 이시라면 복원력이 상대적으로 카본줄보다는 약하고 또한 그에 따른 인장강도의 수명

역시 상당히 약해 질 수도 있어 잦은 채비교체가 필요하기도 하답니다.

저두 원줄에 너무 큰 비중을 두고 고가의 줄만 사용하다보니..후달려서...

모노줄을 사용해 보았는 데 개인적인 느낌인지...앞치기시 줄이 바람의 영향을 많이 받더군요...

이건 저두 이번에야...느낀 점이랍니다...

거의 태풍수준에서 낚시를 해보았거든요..

개인적으로 바다 릴줄이 모노줄이라면...일단 쓸림 확인하시고 사용하셔도 무방하나...

개인적인 취향으로는 되도록 카본줄을 사용하셨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참고가 되셨으면 하는 바램인데..걱정입니다.^^
낚귀님의 말에 공감치 못하는 부분이 있어 적습니다.
카본4호줄과 모노4호줄을 서로 걸고 당기면 어느 줄이 먼저 터질까요?
어릴때 친구들과 많이 했던 머리카락 끊기놀이처럼요.
직접해보세요 아마도 7대3정도로 카본줄이 먼저 터집니다.
카본줄은 인장강도는 모노줄보다 강할지 몰라도 매듭부분과 꺽임부분은 모노줄보다 약합니다.
그리고 쓸림이 있을때도 카본줄이 모노줄보다 먼저 터집니다.
전 개인적으로 모노줄을 선호합니다.
카본줄은 사용치않습니다.
카본줄은 대물낚시에는 큰 영향을 주진 않지만
떡밥낚시및노지,양어장잉어낚시에는 카본줄이 엄청난 영향을 미칩니다.
예민함을 추구하는 떡밥낚시에서는 모노줄이 훨씬 좋습니다.
카본줄은 비중이 높아 예민한 찌올림에 막대한 영향을 줍니다.
붕어단속중님 제 말씀에 오해가 있으셨군요..

저두 양방가믄 모노줄 사용한답니다.^^

말씀하신 대로 예민한 찌올림을 요하는 낚시에선 카본줄의 물레 가라 앉으려는 성질이

찌의 부력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사용을 꺼리죠..

제가 단 댓글은 대물낚시 q &a 올라와 있는 질문이라 대물 낚시 위주로 말씀 드렸구요..

위에서 말씀드린 인장강도는 잘 읽어 보시면 알겠지만 일단 늘어짐에 따른 인장강도를 말씀

드렸습니다. 떡밥낚시와 같이 잦은 채비교체가 이루어지기 힘든 대물낚시의 여건상..

아무래도 그러한 면에서 카본줄이 좋다는 말씀이었답니다.

떡밥낚시 Q&A였다면 댓글이 내용이 달라질 수도 있겠죠..
1. 바다낚시 원줄을 대물낚시 원줄로 사용해도 좋습니다.
저의 경우 바낚원줄을 릴에 감고남은 짜투리를 대물낚시에 사용하고 있고 앞으로도 사용할 예정입니다.
왜냐, 카본사에 견주어 강도면에서 별반 차이를 느끼지 못했으며 사용상 불편한 점도 없었기 때문입니다.
어쩌면 물에 뜨는 성질이 강한 플로팅사가 수초대를 끼고 이루어지는 대물낚시에서는 수초위에 얹혀서
수초대를 파고들지 않으므로 개인적으로 좀 더 유리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해 봅니다.
싱킹사를 제외한 플로팅.세미플로팅,써스펜드사는 뜨는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물에 뜨는 성질이 강해서
채비의 신속한 내림 그리고 바람과 물결의 영향을 다소 받는다는 측면에서는 카본사에 비하여 쬐매 못하지만
그 외에는 사용하는데 별 무리가 없다고 봅니다.

2. 사용예를 간단히 들어보면
몇 년전 억센 갈대와 부들이 혼재한 와촌 대현지에서 3.0호 바다원줄을 맨 케브라옥수 1.9대로 척급 3마리를
하룻밤에 땡긴적이 있으며,
작년에는 역시 바다원줄 3.0호를 맨 하이옥수 3.5대로 금호 사일못에서 두자반 정도의 잉어를 뽑아낸 적이 있고,
올해에도 청통소재 작은 소류지에서 바다원줄 3.0호 케브라옥수 3.3대로 70cm가 넘는 가물치를 무난하게 걸어낸 적이 있습니다.
그 외에도 많지만 요 정도로만......

3. 바다원줄을 릴에 감을 때
릴의 종류와 제원에 따라 다르지만
예를 들면 2000번 릴의 권사량은 2.0호 150m, 3000번은 3.0호 150m를 감을 수 있습니다.
릴찌낚시에서는 통상적으로 2000번 릴에 3.0호 원줄을 감아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100~120m 정도 감으면 더 이상 감을 수 없게 되어 짜투리줄이 남게 되어 바다낚시에 재활용은 한정적하고
버리기엔 아까운 경우가 발생하게 되는데......
원도권 본류대낚시를 제외하고는 80m 이상의 원줄이 필요한 경우는 극히 드물므로
원줄 한통으로 75m씩 2회로 나누어 사용하면 짜투리 발생도 안되고 경제적이라고 생각합니다.
원줄이 짧아 웬지 모르게 불안하시면 예비스풀에는 원줄을 꽉차게 감아 가지고 다니시면 됩니다.
남는 짜투리 원줄은 당연히 민물대 원줄로 사용하시고......
즐낚하십시요.

http://www.wolchuck.co.kr/img/best05.gif>
많은 답변 감사 합니다. 플라톤님,낚귀님,붕어 단속중님,체게바라님 대단히 감사 합니다 많은 도움이 되엇습니다. 앞으로도 모르는 부분에 질문 드리겠습니다...감사 합니다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