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주말에 저번부터 점찍어둔 낙동강으로 나가보려고합니다
수로와 본류가 만나는자리인데 수심이 평균 20cm~30cm 정도밖에 안됩니다
생자리인데 붕어는 확인했구요
이번에 구입한 짧은찌가 기존 찌보다 가벼운지 쓰던채비에 달아보니 수조에서 그냥 가라앉네요ㅠㅠ
세팅하려니 시간이없고...
보통 얕은곳은 끌고가는입질이많다고하셔서요
얕은 수심에서도 찌맞춤이 중요할까요?
이번주말에 저번부터 점찍어둔 낙동강으로 나가보려고합니다
수로와 본류가 만나는자리인데 수심이 평균 20cm~30cm 정도밖에 안됩니다
생자리인데 붕어는 확인했구요
이번에 구입한 짧은찌가 기존 찌보다 가벼운지 쓰던채비에 달아보니 수조에서 그냥 가라앉네요ㅠㅠ
세팅하려니 시간이없고...
보통 얕은곳은 끌고가는입질이많다고하셔서요
얕은 수심에서도 찌맞춤이 중요할까요?
사용하는(채비된) 원줄의 무게에 따라 다릅니다만. 와셔추가 등으로 (가벼워진 만큼) 좀 더 무겁게 해주시면, 정상적인 찌올림을 보실 수 있을 겁니다.
먹이를 물고, 떠오를 공간이 없으니, 찌가 없으로 이동하늠 것이 보이는 것이구요. 결국 찌오름을 위한 찌맞춤을 할 필요는 없는 것입니다.
사용중인 채비가 있다면, 그대로 사용하시고, 가벼우면 쇠링, 편동, 편납 등으로 추가하여 적당히 안정적으로 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요듬 조황들이 살아나고 이ㅛ다고 하니, 사구팔하시구요. 산불재난지역에서는 자제하시는 것이 좋알 것 갘습니다.
당장 찌맞춤이 어렵다면 그냥 대충이라도 작은 봉돌로 교체하여 사용하시는걸 추천합니다.
2~30Cm의 낮은 수심에서 어차피 봉돌은 바닥에 닿을것이고 ~
무거운봉돌 끌고 중노동을 하고있을 붕어를 생각해서요
낮은 수심에서 찌가 끌려가는것은 찌를 올릴만한 공간이 없다보니 그렇게 표현되는것입니다
찌톱다 노출하셔도 됩니다
강이고
찌맞춤 따로 안하셔도 됩니다
찌부력3~4배 봉돌 다시면 되요
기존 찌보다 가벼운지 쓰던 채비에 달아보니 수조에서 그냥 가라앉는다면
무거운 거네요.
수초지대 극저수심에는 아무래도 바닥이 불안정하므로
무거운 채비가 봉돌이 닿을 내리기 유리합니다.
단, 목줄 길이가 20cm 이상으로 다소 긴 쪽이 끌고 가는
입질 파악이 용이하다고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