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물낚시

· 생미끼 붕어 대물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녹조현상

  • Hit : 3875
  • 본문+댓글추천 : 0
  • 댓글 3
녹조 현상에대해 문의드립니다. 낚시가되는지? 왜 생기는지? 궁금합니다.

녹조현상을 차단할 수 있는 방법은 없습니다. 녹조류는 물속에 약간의 무기염류만 존재하면 증식이 가능하기 때문에 어떤 방법으로도 차단은 불가능합니다. 일부 전문가 들은 녹조현상의 원인이 오염에 의한 부영양화라고 하는데, 질소고정 능력이 뛰어난 녹조류는 부영화와 무관하게 대량증식이 가능합니다.
가장 합리적인 방법은 빛을 차단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당일낚시에는 약간의 황토를..
장박시에는 다소 많은 양을 뿌려주므로써 빛을 차단하나 약간의 효과는 있읍니다.
따라서 낚시에서 황토의 가장 큰 목적은 빛의 차단이도 고수온기나,녹조현상시에 큰 효과를 발휘합니다.
무조건족인 겉보리 투여는 자제를 하시고 황토를 듬쁙 주세요..
녹조님!!!!
지극히 저의 생각이니 참조만 하이소...
그럼 어복 충만하이소~~~~~!!!!
네이버 검색어중 제일 쉽게 설명된글 펌입니다.
녹조란 호수나 강물에 플랑크톤이 과잉 번식하여 물 빛이 녹색을 띠는 현상을 말하는데요.

합성세제 등과 같이 질소(N)와 인(P)성분이 들어있는폐수가 물 속에 흘러들어가면 플랑크톤의 먹이(양분)가 되어 플랑크톤을 과잉 번성하게 됩니다. 플랑크톤이 많아지면 수 중으로 유독성 물질을 내보내고, 수 중의 산소를 소비하며, 또 죽어서 분해될 때에도 물 속의 산소를 소비하여 수 중의 산소가 부족하게 됩니다. 따라서 물고기, 새우, 조개 등의 수생 생물이 살 수 없게 되는 현상이지요.

매년 여름철이면 대청호 등의 호수에서 녹조가 발생하여, 많은 피해를 주고 있지요. 올해는 비가 너무 많아서 별 문제가 없었던 듯 하지만요.

합성세제가 중요한 원인 중의 하나인데, 그 사용량이 줄지 않는다더군요. 우리들이 먹어야 할 물을 보호하기 위해선 합성세제 등의 폐수가 하천으로 흘러들지 않도록 해야겠습니다.

●개인소견●
여기서 한가지더 추가하자면..
예전에 물사랑님의 글에서 읽은거 같습니다만...
농약입니다. 주변에 과수원이나 논등이 있다면 의심해봐야겠지요.
소량의 우수로 인해 농약이 씻겨져 내려와 녹조를 발생시키기도 한답니다.

제가 알고 있는 김천어모에 덕마에 위치한 소류지에 약 1달전에 녹조가 생겼더군요.
그곳 형태가 지금보다 큰 소류지인데... 밀려들어온 토사로 그위에 배와 복숭아를
심은거 같더군요. 약 3분에 1은 토사로 줄어든거 같구요. 주변에 과수원이 있습니다.
그런데... 큰비가 온뒤 녹조가 싹~ 업어졌더군요. 워낙에 좋아하는 소류지인지라...
헛걸음 하는 샘치고 갔었는데... 물색도 좋았고 만수위에 녹조가 업더군요.
조과는 준척 1수와 잔챙이 20여수 였습니다. 가물치도 2수했군 ㅇㅇ...

낚시가 되느냐에 질문에... 간단히 말씀드리면...
절대 낚시가 안된다!! 입니다 ^^
고등학교 3학년때 선배랑 밤에 도착한 잘아는 소류지에서...
밤에 확인도 안되고 해서 그냥 했는데 완전 꽝! 꼼짝도 안했습니다.
이상하다고는 생각했지만 날이 밝고 나서야 알았지요.
그날 이후 녹조가 조금 진행중이면 그냥 했지만...
녹조가 짙은 경우 절대 피합니다.
요즘 낚시 할 만한곳이 업네요. 후유... 조금 멀어도 산속에 손타지 안은곳만
돌아다닙니다. 기름값도 많이 오르는데 이거 경비가 만만치 안네요.
좋은 소류지에서 좋은밤 지세우세요~
낚시 안됨니다
자연적인 녹조라면..
플랑크톤의 낮시간 아주 뜨거워진 온도에 의해 더 많은 광합성으로 인해 생기는 것으로 알고 잇는데요
이렇게 녹조가 생긴 수중은 뜨거운 낮에 용존산소량이 기준치를 한참 넘어서고
다시 열기가 가라앉는 시간대인 밤엔 측정이 어려울정도로..
한마디로 낮엔 산소량이 과잉으로 밤엔 산소 결핌으로......
붕어는 물론이고 수서곤충들조차 기피하는곳으로 보면 될것임니다



2025 Mobile Wolchu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