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물낚시

· 생미끼 붕어 대물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대물 붕어들은 산란하기 몇일전부터 산란장에 머무를까요?

흔히 말하는 산란특수를 아직 한번도 맞추어보지 못해서 올해만큼은 한번 맞나보려 하는데 작년 기준으로 4월 10일경 알고있는 저수지(연밭)에서 호조황이 있었던걸로 기억하는데 올해는 언제쯤 그곳을 찾아가야 붕어의 얼굴을 볼 수 있을까요? 산란전 붕어가 머무르는 기간을 알아야 어느정도 시기를 맞출 수 있을것같아서요. 고수님들의 많은 가르침을 받고자합니다.

고수는 아니지만,,,^^;;아는데로답해드릴께요~
산란기 특수 그 타이밍을 맞추기란,,,,,,,참 힘들지 않을까요??
붕어란 놈이 기온 , 날씨에 워낙 민감한 놈이라,,,그리고 산란 잘~ 하다가도 갑자기 기온이 떨어지면 멈추기도 한답니다...
요즘 날씨 보는 사이트에는 가시면 작년 날씨 기온도 고스란히 볼수있으니,.,그때 맞춰서 들이대 보는게 좋은 방법인듯하네요~
항상 안출하세요~
글세 날짜로 말씀드리기는 정답이 없는것 같습니다..

수온상승에 따라 따소 차이가 있고 ,또한 평지 계곡지

별로 차이가 납니다..(평지형이 대체로 빠른편)

우리 낚시인이 육안으로 식별방법은 다들 아시겠지만

연안 수초대로 고기가 뒤집는다 하지요,그런 현상이

대체로 이루어 졌다면 산란을 시작한지 1주일 정도라고 생각듭니다.

또한 그것보다 더많은 개체수가 저수지 주변을 뒤덥는 다면 산란이

임박함을 알수 있을겁니다..

이런한 현상이 없다면 아지 산란 시작단계이거나 초기산란 이라 판단 됩니다.

초기단계나 산란중인 단계에서 노려 본다면 분명히 좋은 조과가 있을꺼라 예상됩니다.

그리고 산란이 끝이나면 고기는 회복기로 들어가는데 이때는 말풀이나 은신할수 있는

장소로 이동하여 4월말이나5월초정도면 서서히 먹이활동을 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두서 없이 몇자 적어 올립니다..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올해는 꼭 ...월하시길.....
막상 산란으로 고기가 수초대에서 뒤집히는걸 몇번봤는데 그때는 붕어가 떠있는 상태이기에 눈만 시리고 정작 고기는
잡히지 않더군요
산란직전이나 산란후 열흘 정도 있다 시도 해보세요
저두 잘은 모르지만 산란특수라하면 산란을 할때가 아니라(즉 푸덕푸덕 소리가 날때)
그전이라고 알고 있읍니다.. 즉 산란장으로 이동시 알을 낳기 위한 에너지 축적을 위하여
눈에 띄는 먹이는 닥치는 데로 취이한다고 합니다..
이말은 산란특수는 앞의 분들도 충분히 이야기 하였듯이
온도,습도등등등의 기후에 관련이 있으며
또한 포인트도 중요하다고 할 수있읍니다..
올해는 꽃도 일찍피는 따뜻한 시기임으로 작년보다는 약간 이르지 않을까 싶읍니다...
뭐 매일 담그고 계셔야겠지요~
산란특수..낚시시작하고 한번도 맞추어본적이 없습니다.
주말낚시꾼의 비애라고나 할까....헐~
겨우겨우 년차쓰고 산란특수 맞추어 들어가면 날씨가 받쳐주질 않으니..

1주일 정도 장박을 하신다면 모를까..
아님..누군가 들어가서 대박조황을 실시간으로 연락해서 들어간다면 모를까..
힘들지 싶습니다..
벌써 남쪽은 산란을 마친붕어들이 많습니다.
이상기온으로 날씨가 따뜻한날이 많아서요..
소류 천하님의 글에 한표 보탭니다.
계속 담그러 가셔야 할것 같은데요.

안출 하세요
허..산란특수는 거의 맞출수가 없었습니다.
일전에 그 터센 황학지에서 한번 맞았는데요.
이거는 챔질하다 걸리지 않아서 놓으면 그거 다시 입질하고 그랬습니다.
헌데 딱 2시간만에 끝나 더라는것이죠.
그것도 4월중순에 비오고 난후에 온도 올라갈때였습니다.
그이후는 한번도 그런입질 본적이 없습니다.
답이 정말 이거다 할수 없는 문제이네요?

일단은 음력 날짜를 보면 옛어른들 말쌈이 맞지만(춘삼월)

지금은 양력을 많이 하지요..근데 이노머 기상청이 구라청이라서

날이 따실라혀면 바람이 많이 불고 바람 안불면 수온이 내려가서

진짜 애매한 문제이네요..대입 준비 보다 더어려운 겁니다....

정답 못내려서 미안 해유....



2025 Mobile Wolchuck